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리
지층
뉴스
"
성층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기층에
성층
권있는 외계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8.03
있다. 에반스 박사는 “산화바나듐 등이 모항성에서 오는 복사에너지를 흡수해 지구의
성층
권처럼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이 생긴 것”이라며 “(WASP-121b는) 외계행성의 대기에서 온도 분포가 달라지는 분리된 층의 존재가 확인된 첫 관측사례”라고 말했다 ... ...
지구공학, 지구온난화의 새로운 묘안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6.02
도달 일사량이 30% 줄면서 2, 3년 동안 냉각 효과가 지속됐다. 코이치 교수는 “이산화황은
성층
권의 오존층을 감소시킬 우려가 있지만 방해석은 오존층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동아일보 제공 ● 대형 반사경 설치부터 식물플랑크톤 증식까지 미세입자 외에도 과학자들은 태양 ... ...
[사이언스 지식IN] 오존주의보는 오존층 파괴와 다른 건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5.26
성층
권에 있는 오존은 ‘오존층’이라 부르며 태양에서 오는 자외선을 막습니다.
성층
권의 오존이 부족해지면 강한 에너지를 가진 자외선이 지표까지 도달해 지표에 사는 생물에게 안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반면 지표 인근 오존은 생물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이 때문에 대기 중 오존 ... ...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7.05.21
넓은 아크릴판을 올리고 우주먼지가 붙을 수 있게 실리콘오일을 바른다. 이 비행기가
성층
권을 날면서 위에서 떨어지는 우주먼지를 받는다. 이렇게 회수하면 우주먼지가 아크릴판에 부딪히면서 부서진다는 단점이 있다. 실리콘오일을 세척할 때 우주먼지 속 유기물이 씻겨갈 수도 있다. ... ...
우주여행 태양광 비행기 ‘눈길’
팝뉴스
l
2017.05.09
언론의 주목을 받는 것은 제작사가 야심적 목표 때문이다. 솔라스트라토스는 최초로
성층
권까지 날아오르는 태양광 비행기가 될 것이라고 제작사는 공언한다. 2018년에는 이 비행기가 20km 이상의 고도까지 날아오를 것이라는 말이다. 상승에는 2시간이 걸리고 이후 비행기는 15분 동안 우주 공간에 ... ...
유럽에서 시작된 ‘사회에 책임지는 과학기술’
2017.03.23
것이다. 영화 속 CW-7 가스와 비슷한 기술은 현실에도 있다. 영국연구위원회는 지구
성층
권에 수증기와 같은 특정입자를 주입해 기후 변화를 완화시키려는 시도가 공학적으로 실현가능한 것인지를 연구하는 스파이스(SPICE) 프로젝트를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지원했다. 스파이스 연구팀은 1km 높이의 ... ...
사드 국내 배치 시작...중국은 왜 그토록 꺼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3.08
적국 주요 거점을 향해 내리꽂히는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을 경우, 대기권내의
성층
권과 전리층 사이에서 요격한다. 미사일의 사거리는 대략 125 마일(200㎞)에 이르지만 요격이 가능한 최대 고도는 93마일(150㎞) 정도다. 최대 속도는 음속의 8배 이상이다. 사드 1대의 포대는 고성능 레이더 1대와 ... ...
NASA의 예술적인 로봇 발사 사진
팝뉴스
l
2017.02.12
의해 만들어진다. 일산화질소는
성층
권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 결과 오존을 파괴하고
성층
권 온도와 바람의 변화를 일으키며 지구 표면의 대기 순환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미국 항공우주국이 촬영 공개한 위 사진은 로켓의 발사 과정을 담은 것이다. 해외 소셜미디어에서 뒤늦게 ... ...
아프리카 화산재, 한반도까지 날아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2.09
6월까지 화산재를 관측한 결과, 이 화산재는 대기를 따라 이동해 당시에도 한반도 상공
성층
권에 6개월 동안 분포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진은 당시 대기권 관측 후 장기간 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를 공유했다. 당시 화산재는 한반도 상공 15~17㎞ 상공에 2㎞ 대기층 사이에 분포했으며, 2개월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0) 남극 오존층을 구하는데 일조한 랄프 시세론
2017.01.04
일을 하는지 규명해보기로 했다. 박사후연구원 마리오 몰리나와 연구를 시작한 롤런드는
성층
권에 도달한 CFC가 자외선으로 쪼개져 염소가 생기고 시세론과 스톨라르스키가 제안한 것처럼 오존층을 파괴함을 입증했다. 이들은 이 결과를 1974년 ‘네이처’에 발표했고 언론에도 알려 위험성을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