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육
발달
발전
발아
뉴스
"
생장
"(으)로 총 15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다소 줄어 2014년 현재 10무리 83마리라고 한다. 2001년 논문은 늑대복원이 포플러나무의
생장
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싣고 있다. 1920년대 늑대가 사라지자 대형 사슴인 로키산엘크의 개체수가 늘어나면서 어린 포플러 나무가 남아나지 못해 숲의 4~6%를 차지하던 포플러가 20세기 말에는 1%로 ... ...
감자에 싹이 나서 잎이 나서 훨훨훨, 과정 보니…
2014.12.29
분비되면 전사억제인자가 사라지면서 전사인자의 활동이 시작됐다. 서 교수는 “식물
생장
호르몬의 작동 원리를 밝힌 만큼 작물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 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5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방선균에 대사공학 접목해 새로운 항생제 개발 시도
2014.12.28
인 바이오테크놀로지’ 22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방선균 중 일부는 다른 세균의
생장
을 막는 항생물질을 2차 대사산물로 내놓는다. 현재 사용하는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 ‘반코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등이 모두 방선균에서 유래한 물질이다. 연구팀은 이 방선균에 시스템 ... ...
‘내 머릿속의 지우개’ 해답 찾았다
2014.11.25
원인은 아직까지 수수께끼였다. 연구팀은 골수줄기세포에서 유래하는 혈관내피세포
생장
인자(VEGF)의 양이 줄어들면 스핑고 지질의 양을 조절하는 효소(SphK)의 활성이 감소하면서 지질과 콜레스테롤이 축적된다는 기전을 새롭게 밝혀냈다. 실제로 C형 니만피크병을 앓는 생쥐의 신경세포에서 이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즉 배양액에 사과추출물을 더할 경우 어떤 미생물은 더 잘 자라게 하고 어떤 미생물은
생장
을 억제하는데 그 결과가 날씬한 쥐 대변의 미생물 조성과 비슷해지는 것. 예를 들어 날씬한 쥐나 사람에서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피도박테리아나 엔테로코쿠스, 대장균(무해한 균주)의 비율이 ... ...
쌈배추에 개똥쑥 추출물 계속 뿌렸더니…
2014.09.17
줄기와 뿌리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다. 김 연구사는 “천연
생장
조절제로 쌈채소류의 안전과 품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연구진은 이 물질에 대한 국내 특허 출원을 마쳤으며, 현장에서 다양한 작물에 적용하는 시험을 거친 뒤 기술을 이전할 계획이다. ... ...
해남 메뚜기들은 왜 떼를 이루었을까
2014.09.01
활성산소농도가 높아지고 면역계가 교란되면서 페로몬을 만드는 장내미생물의
생장
이 억제된다는 것. 그 결과 페로몬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고 따라서 세로토닌의 수치도 줄어들어 결국 집단행동을 하는 성향이 사라져 원래의 개인주의자로 돌아간다. 결국 메뚜기는 형태나 행동이 ... ...
살아있는 세포를 유리로 코팅한다고?
2014.08.12
유리껍질로 감싼 암세포는 접시 표면에서 분리돼 배양액에 떠서 자라는 등 세포의
생장
방식도 바뀌었다. 이렇게 피포화 한 세포는 각종 화학물질이나 단백질 분해효소를 장시간 처리해도 보통의 자궁경부암 세포보다 생존률이 높았다. 양성호 교수는 “환경 변화에 민감한 동물세포를 인공적 ... ...
2050년, 한반도에서 소나무 보기 힘들어진다
과학동아
l
2014.07.27
온실가스 농도를 뜻하는 ‘대표농도경로(RCP) 8.5’ 상황을 가정했더니 소나무와 밤나무의
생장
이 지금보다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현상은 내륙지역보다 해안지역에서 더 심각한 것으로 예측됐다. 반면 신갈나무를 포함한 참나무류는 분포 지역이 넓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 ...
대짜 고등어 다 어디갔니
동아일보
l
2014.04.23
어류인 고등어의 서식 수온은 15∼17도인데 최근 러시아에서 한류가 내려오는 바람에
생장
여건이 나빠졌다는 것이다. 고등어의 먹이인 플랑크톤과 새우의 개체 수 감소, 고등어를 잡아먹는 참다랑어의 개체 수 증가 등도 거론된다. 학자들은 남획의 영향을 원인으로 들기도 한다. 이동우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