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빗장
vault
나사못
걸쇠
문빗장
벼락
뉴스
"
볼트
"(으)로 총 284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품만 놓인 무대에 태블릿 비췄더니 ‘AR 뮤지컬’이 활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전기가 잘 통하는 고분자 물질을 결합해 부드럽고 잘 휘는 전극을 제작했다. 전극은 1
볼트
(V)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 1초 만에 반응을 하며 문어 다리처럼 180도 구부러진다. 연구팀은 이 전극을 이용해 인공근육을 만들었다. 1만8000번 이상 구부렸다 펴도 성능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게 연구팀의 ... ...
나비처럼 우아한 날갯짓 가능한 인공근육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19.08.22
고분자와 결합시켜 부드럽고 잘 휘는 전극을 제작했다. 그 결과 건전지 1개보다 낮은 1
볼트
(V) 이하의 낮은 전압만으로 문어 다리처럼 180도 구부러지는 고성능 인공근육을 완성했다. 전압을 가하면 1초 만에 반응해 빠른 움직임이 가능하고, 1만 8000번 이상 구부렸다 펴도 성능 변화가 없을 만큼 ... ...
'로봇 슈트' 입고 가뿐하게 걷고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0~70와트(W), 뛸 때는 90~100W의 전기에너지가 소모된다. 전기에너지는 엑소슈트에 부착된 48
볼트
(V) 3.7암페어시(Ah) 용량의 배터리를 통해 공급받는다. 배터리를 완충할 경우 약 8~10km의 거리를 걷거나 뛸 수 있다. 김 연구원은 “엑소슈트는 군장을 메고 산악길을 행군하는 군인들이나 부상자를 ... ...
백두대간 동물들의 흔적 찾아 숲속에서 펼쳐진 1박2일간의 작은 모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10
잡았다. 학생들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 설립된 야생식물 종자 보관소인 시드
볼트
를 비롯해 겨울연못, 어린이 정원 등을 둘러보며 개미와 새의 흔적을 찾았다. 수목원 내에서 자주 출몰하는 포유류인 멧돼지와 고라니의 흔적을 찾기 위해 트랩 카메라도 설치했다. 첫날 탐사는 개미의 흔적을 ... ...
[2019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D-3, 망해가던 부품회사에서 세계적 우주기업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7.15
세계의 우주산업을 보이지 않는 곳에서 지탱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겨우
볼트
나 너트?’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정밀함이 생명인 우주공학에서 이런 기본 부품과 소재의 정밀함과 신뢰성이 갖는 중요성은 상상 이상입니다. 유키 정밀은 우수한 품질로 짧은 시간에 이 까다로운 분야에서 ... ...
‘신의 입자’ 입증한 CERN, 업그레이드 현장에 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4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구멍은 검출기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호일에 수백
볼트
의 전압을 걸면 구멍 내부에 강한 전기장이 생성돼 1개의 전자가 들어오면 수백, 수천 개의 전자를 만들어낸다. 입자의 존재나 성격을 알려주는 신호를 증폭할 수 있는 셈이다. CERN은 2026년 가동 예정인 고광도 ... ...
세계 최고 전압 견디는 전력변환 반도체 국내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5.15
프로젝트리더팀이 새로운 반도체 물질로 주목 받고 있는 ‘산화갈륨’을 이용해 2320
볼트
(V)의 높은 전압을 견디는 새로운 전력 변환 반도체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대부분의 전자제품은 높은 전압을 견디기 어려운 부품을 탑재하고 있어 내부에 전압을 적절히 낮춰주는 전력 변환 ... ...
“우주에서 활약할 ‘작은 변신 로봇’ 만들고 싶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교수는 “복잡한 기계를 같은 움직임을 갖는 작은 로봇으로 만들 수 있다”며 “복잡한
볼트
너트를 모두 없애고 접는 부분 하나만 남겨 훨씬 간단하게 구현해 낸다”고 말했다. 대량제작에도 유리하다. 복잡한 종이 인형은 제작이 까다롭지만, A4 용지는 오차가 거의 없이 완벽하게 균일하게 만들 수 ... ...
장갑처럼 끼고 문어처럼 움직이고...‘소프트로봇’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플라스틱으로 만든 로봇은 접합 부문에
볼트
와 너트가 많이 들어가지만 소프트 로봇에는
볼트
와 너트 사용을 크게 줄였다. 최근에는 이 소프트 로봇에 센서나 모터를 달거나 인공지능(AI)까지 접목하고 있다.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이 탑재돼 착용자의 의도를 ... ...
장갑처럼 끼고 문어처럼 움직이고… ‘소프트 로봇’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플라스틱으로 만든 로봇은 접합 부문에
볼트
와 너트가 많이 들어가지만 소프트 로봇에는
볼트
와 너트 사용을 크게 줄였다. 최근에는 이 소프트 로봇에 센서나 모터를 달거나 인공지능(AI)까지 접목하고 있다.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AI)이 탑재돼 착용자의 의도를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