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균
세균
박테리아
미소동식물
여과성병원체
바이러스
뉴스
"
병원균
"(으)로 총 2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와 질병] 공생 혹은 공멸···감염균의 진화
2020.02.01
저항력이 강해진다. 감염의 진화에 관한 가장 전통적인 시각이다. 이러한 가설에 따르면
병원균
은 점점 숙주와 공생하는 방향으로 적응한다. 이를 이른바 병원성 균형 이론이라고 한다. 병원체는 낮은 병원성을 향해 진화하고, 숙주는 면역성을 향해 진화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제법 설득력이 ... ...
빛 쪼여 이산화탄소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0
이효영 부연구단장은 “이번에 개발한 촉매를 이용해 공기 중 미세먼지와 병원 내
병원균
등을 제거하는 데에도 탁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향후 전 세계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활용될 전망”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머터리얼스 투데이’ 온라인판 3일자에 실렸다 ... ...
"슈퍼박테리아 막을 항생제 사실상 없다" WHO 심각성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1.19
면역력이 떨어진 체내에서 과다증식하면서 치명적인 위막성 대장염을 일으키는
병원균
이다. WHO 관계자는 "글로벌 민간 기업, 연구소 등이 공동 연구해 슈퍼박테리아를 대응할 신약 개발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WHO는 국제감염병연구재단(DNDi)과 글로벌항생제연구및개발파트너십(GARDP)을 맺었다. ... ...
2시간만에 정확하게 폐결핵 진단 '슬림칩'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객담 외에도 환자에게서 추출한 다른 시료로부터
병원균
을 농축해 DNA를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폐결핵 외에도 다양한 질환을 진단하는 데 활용도가 높을 전망”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지난달 5일 국제학술지 ‘유럽호흡기학회지’에 발표됐다 ... ...
모유 수유로 엄마의 건강한 항체 전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9
미생물로부터 보호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며 “모계가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병원균
에 대해서도 면역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모유수유와 출산 방법이 신생아들의 장내 미생물과 면역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학계의 보고는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다. 지난해 9월 영국 ... ...
중국 우한 폐렴환자 59명으로 늘어…시장판매용 야생동물서 유래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보고도 있었으나 어머니는 단순 감기 증세로 퇴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정 공간에서
병원균
으로 전파성이 없는 폐렴이 집단 발병하는 사례는 국내에서도 보고된 일이 있다. 2015년 10월 건국대 동물생명과학대에서 55명이 집단으로 가벼운 폐렴 증상을 보인 사례가 있다. 질병관리본부의 ... ...
중 후베이성 우한 폐렴 사태…WHO 주시, 전문가들 신종바이러스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5
새와 뱀처럼 살아있는 동물이나 토끼와 다른 야생동물의 장기를 판매하면서 동물성
병원균
에 감염될 우려가 크다고 지적했다. 이런 이유로 전 세계 37개국으로 확산해 감염자 8000명, 사망자 774명을 낳은 사스가 재발했다는 소문이 온라인을 타고 확산하기도 했다. 이 질병은 동물 시장에서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
2020.01.04
자신의 생존에 인간의 몸을 이용하고, 인간도 마찬가지다. 특히 장내 미생물총은
병원균
의 침입을 막는다. 물론 주인을 위해서 그러는 것은 아니다. 자기 영역을 지키려는 것이다. 덕분에 인간의 장도 제법 튼튼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최근 장내 미생물총을 메타지노믹스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글루텐이 뇌 염증, ADHD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9
뇌에서 염증을 일으킨다"고 말한다. 장 누수 현상이란 장벽 기능이 떨어져 영양분이나
병원균
이 장 밖으로 흘러나가는 것이다. 또 다른 유튜버는 "글루텐에 의해 만들어지는 조눌린 단백질이 뇌 혈관 장벽을 뚫고 들어가 주의력 결핍 및 과잉 행동 장애(ADHD)나 틱 장애, 발달 장애, 자폐증 등 뇌 기능을 ... ...
"국내 HIV 감염인 48% 매독에도 중복 감염"
연합뉴스
l
2019.11.22
케어'(AIDS care) 최신호에 발표됐다. 매독은 '트레포네마 팔리덤'(Treponema pallidum)이라는
병원균
감염으로 발병한다. 초기에는 성기 주변에 염증이나 발진 등이 나타나지만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다양한 피부병변을 일으키거나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입힐 수도 있다. HIV 감염인은 체내에 HIV를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