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리
집단
모임
그룹
군체
군
무더기
뉴스
"
떼
"(으)로 총 235건 검색되었습니다.
카리브해, 수직으로 잠자는 고래들
팝뉴스
l
2017.07.15
‘2017년 빅픽처 사진 경연 대회’의 자연부문 최종 후보작이었다. 향유고래들이 ‘
떼
잠’을 자고 있다. 촬영장소는 카리브해 도미니카 섬 근처였다고 한다. 사진 제목은 ‘싱크로나이즈드 슬리퍼스’이다. 여러 마리의 고래들이 수직으로 떠서 함께 잠을 자는 것은 2008년 영국과 일본의 ... ...
물고기가 격한 싸움을 할 때 내는 소리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6.16
수 있다고 밝혔다. 황선도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연구위원은 “과거 선조들도 조기
떼
를 찾아내기 위해 대롱을 물속에 꽂아 소리를 듣는 방식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지나친 어획은 생태계를 해치기 때문에 이번 연구를 활용해 물고기가 모여드는 공간을 보호구역로 설정하거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여성은 치료가 효과가 없음에도 병실을 떠나지 않고 무슨 수를 써서라도 고쳐달라고
떼
를 썼다. 고민에 빠진 헨치는 마침 같은 병원의 생화학자 에드워드 켄들이 부신에서 화합물E라는 물질을 분리했다는 얘길 듣고 이를 써보기로 한다. 힘들게 추출한 물질이었기 때문에 켄들은 마지못해 미량 ... ...
분리불안 앓는 ‘껌딱지 같은 남자’
팝뉴스
l
2017.05.19
고양이들은 주인과 한 순간도 떨어지기 싫어한다. 어떻게든 붙어 있으려 애를 쓰고
떼
를 쓴다. 주인은 난감하다. 특히 주방에서 두 손을 다 써야 하는 경우 상당히 곤란하다. 몇몇 사람들은 방법을 찾아냈다. 다리를 주방 싱크대에 올리고 그 다리 위에 고양이나 개를 얹는 것이다. 동물들 ... ...
영국 해변에 나타난, 수 천 마리 해파리
떼
팝뉴스
l
2017.05.16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 관광객 윌슨 다이어는 펨브로크셔에 40년 동안 다녔지만 해파리
떼
수 천 마리는 처음 봤다고 말하며 놀라워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 ...
[팔라우에서 온 힐링레터] 갈치를 눈으로 맛본다고?
2017.05.06
묻곤 한다. 그렇다. 작은 부분만 먹어야했던 ‘눈물의 갈치’를 볼 수 있다. 그것도
떼
를 지어 몰려다니는 것을 볼 수 있다. 바로 바라쿠다(Barracuda)라는 녀석들입니다. 물론 식탁에 올라오는 갈치와 같은 것은 아니지만 비슷하게 생겼다. 우리 말로는 ‘꼬치 고기’로 불리며, 몸에 줄무늬만 없으면 ... ...
[제주노믹스] (2) 제주도, 전기차 진짜 불편한가요?
2017.05.02
보고서에 따르면 엔진이 공회전 상태에 있을 때 제동페달을 밟거나
떼
면 진공호스를 통해 흡기 매니폴드(공기를 실린더에 혼입하는 파이프)에 공기가 유입되거나 빠져 나오게 된다. 이 때 압력이 상승 면서 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밸브가 열려 출력이 증가하는데, 공기가 과잉 공급돼 출력이 ... ...
새우
떼
를 삼키는, 대왕 고래의 포식 장면 ‘포착’
팝뉴스
l
2017.04.27
받을 있을 때만 에너지를 사용한다는 것. 이를 증명하듯 동영상 속에는 적은 양의 새우
떼
사이를 무심히 지나치는 대왕고래의 모습도 담겨 있다. 한때 멸종 직전이었던 대왕고래는 현재 그 개체수가 서서히 다시 늘어나는 추세. 그러나 아직은 멸종위기종 단계에 머무르는 수준으로 각별한 보호가 ... ...
[사이언스 지식IN] 그 많던 까마귀는 어디로 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4.21
못오게 할 수는 없는 일”이라며 “오히려 겨울에
떼
까마귀가 많이 오는 것을 기회 삼아
떼
까마귀 군무 같은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인근 지역을 철새 마을로 지정해 친환경 마을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합니다 ... ...
베스트셀러의 비밀 인공지능이 풀다
과학동아
l
2017.03.19
행복지수가 가장 높았을 때는 쌀 세 섬을 찧어놓으라고 했던 새어머니의 명령을 참새
떼
의 도움을 받아 끝냈을 때였다. 분석을 마친 레건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한국어와 영어의 체계가 많이 달라 미국 문화권의 이야기들보다는 정확성이 조금 떨어질 수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