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응달
음지
음영
그림자
섀
솔개그늘
솔개
뉴스
"
그늘
"(으)로 총 160건 검색되었습니다.
‘AI 넘는 인류’ 새 숙제
동아일보
l
2016.03.16
사라지는 속도가 새로 생기는 속도보다 빠른 이른바 ‘기술실업’은 기술 진보의
그늘
이다. 사교육 업체들은 벌써 이런 불안 심리를 파고들고 있다. 부산의 IT 분야 한 학원은 11일 “AI가 인간을 이기는 세상이 됐다. 미래에 직업을 가질 수 있는 IT 분야에 취업하기 위해 투자하라”며 등록을 ... ...
갈라파고스제도의 야생동물
2016.03.15
먹는 새끼나, 암컷을 찾아다니며 괴성을 지르는 수컷들도 많았다. 선착장 의자와 나무
그늘
을 차지하고 낮에는 늘어지게 자다가 간간이 수영을 한다. 파도 타기하는 바다사자를 볼 수 있다니 정말 재밌는 산크리스토발이다. 2016.03.15 포커스포토 photo@focus.kr 제공" src="http://image.dongascience.com/Photo/2016/ ... ...
[新성장동력]위기? ‘新기술·에너지R&D’ 두 날개로 난다
동아일보
l
2016.01.29
보이지 않고 있다. 여기에 유례없는 ‘저유가 기조’까지 겹치면서 세계 각국이 불황의
그늘
에 가려져 있다. 한국도 예외가 아니다. 특히 국내 경제를 이끌어가던 수출마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기업들로서도 기존 사업부문의 성장이 정체되면서 새로운 활로를 찾아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 ...
[책의 향기]트라우마, 과거에 갇힌 사람들
동아일보
l
2016.01.23
늘어날 수밖에 없음을 구조적으로 짚어낸다. 치료비 지원 예산을 늘리기보다 어린이가
그늘
없이 자랄 수 있는 가정과 학교, 사회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중요한 건 이 때문이다. 불안한 어른은 아이를 행복하게 키울 수 없다. 사회 안전망이 탄탄한 노르웨이의 범죄 발생률이 미국의 10분의 1에 ... ...
[책의 향기]도시의 숨통을 틔우는 비정형의 공간 ‘파빌리온’
동아일보
l
2016.01.16
건축형식을 지칭하는 말이 됐는지 설명할 필요가 없다. 철제기둥에 널어놓은 갈대 지붕
그늘
이 슬금슬금 바람에 흔들리던 그 공간은 ‘목적 없이 짓되 자유로움과 특별함을 내재해야 하는’ 파빌리온 공간의 성격을 함축적으로 보여줬다. 스스로 부수적(parergon) 포럼이라 밝힌 이 책의 기획자들은 ... ...
식물은 햇빛 없이도 자랄 수 있다, O일까 X일까
2015.12.28
경우 식물이 죽는 등 부작용이 있었다. 코리 교수는 “이번 연구를 활용하면 식물이
그늘
안에 있더라도 충분히 성장하도록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며 “궁극적인 목표는 식물을 빽빽하게 모아 기르면서도 수확량을 늘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 ...
[우먼 동아일보 & 여성동아] 햇빛과 바람의 건강한 합작품, 말린 식품 요리
동아닷컴
l
2015.12.11
썰어 씨를 제거하거나 도톰한 초승달 모양으로 썬다. 채반에 널어 바람이 잘 통하는 반
그늘
에서 2~3일 정도 바싹 말린다. 사과는 말리면서 수분이 증발해 단맛이 한층 증가하므로 단맛이 없거나 퍼석거리는 사과를 말려도 좋다. 당근 잘 씻어 껍질을 벗기고 7mm 두께로 동그랗게 썬 뒤 채반에 널어 ... ...
지구 뜨거워지면? 도마뱀 죽고 새 굶어 죽고 생태계 엉망
2015.08.19
죽는 것으로 밝혀졌다. - 로리 텔레미코 제공 연구팀은 그간의 다른 연구들이 스스로
그늘
을 찾아 움직일 수 없는 알 속 새끼는 무시한 채 진행됐으며, 이로 인해 도마뱀의 운명을 지나치게 긍정적으로 예측했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이 실제로 알 속에 들어있는 도마뱀 새끼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 ...
필레가 보낸 7가지 메시지
2015.08.02
11월 15일 유럽우주국(ESA)의 혜성 탐사선 ‘로제타’에 실려 추리에 무사히 착륙했지만
그늘
부분에 착륙하는 바람에 3일 만에 겨울잠에 빠졌다. 현재 지구와의 교신이 끊어진 필레가 60시간 동안 지구로 보낸 데이터를 토대로 작성된 새로운 논문 7건이 이번 주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 ...
미래 사회 이끌 키워드는 '호기심과 상상력'
과학동아
l
2015.07.27
나선 김재영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단 연구원은 "위대한 일반상대성이론도 역사의
그늘
에 가려진 수많은 과학자들의 집단적인 노력 덕분에 완성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특별강연에 나선 로봇 '휴보' 개발자 오준호 KAIST 기계공학과 교수는 "지난 6월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로봇 경연대회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