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배설"(으)로 총 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렁이를 죽이지 마세요!기사 l20180216
- 그건 아주 큰 오해랍니다. 지렁이는 땅 속에 구멍을 파고 살면서 땅에 아주 많은 산소를 공급해요. 그리고 모래나 흙을 먹었다가 배설하면서 땅을 비옥하게 만든답니다. 예쁜 꽃들도 지렁이의 똥 덕분에 건강하게 자란 것이지요. 또 지렁이는 두더지나 개구리를 비롯해서 많은 동물들의 중요한 먹이랍니다. 여러분은 지렁이 농법이 무엇인지 아세요? 지렁이 농 ...
- 환경에너지시설, 아시나요??기사 l20180210
- 쓰레기를 한 곳에 쌓았뒀었다고 합니다. 원시시대의 주쓰레기는 조개껍질, 뼈가 있습니다. 그다음 동경시대(조선, 신라등)에는 배설물, 짚풀이 주 쓰레기고, 현재는 어제 학교에서 나온 쓰레기(우유팩, 비닐, 음료수통, 음식물 쓰레기)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쓰레기의 처리과정은 어떨까요?? 쓰레기통-학교쓰레기장-수거트럭- 1. 종이페트병과 우유 ...
- 레오파드게코 사육셋팅~★!★!기사 l20180208
- 안녕하세요?! 저는 지난번에 이색애완동물 레오파드게코~!!★★★ 기사를 쓴 유주원 기자입니다. 레오파드게코는 아시아의 사막 지역에서 파키스탄, 인도 북부에 걸쳐 서식하는 도마뱀붙이라서 주변 환경을 비 ... 사육장입니다.(비바리움 사육장) 꼭 이렇게 할 필요는 없지만 레게한테도 좋고 더 예쁜 사육장이 됩니다. 물은 항상 청결하게 관리하고 배설 ...
- 농사의 골칫거리 해충!! 이젠 천연 살충제를 사용하자!!기사 l20180201
- 식물에 병을 옮기는 것도 있습니다. 또 개미가 있으면 진딧물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없애 주는 것이 좋습니다. 개미가진딧물의 단물(배설물)을 먹고 보호해주기 때문입니다. 2.노린재 노린재도 진딧물처럼 어른벌레와 애벌레 모두 식물의 즙을 빨아먹습니다. 크기는 종에 따라 다르고 짝짓기를 하여 번식하고 노린재는 두 무리로 나눌 수 있는데 육식성 노 ...
- 비둘기에게 먹이를 주면 안된다고?기사 l20180128
- 주장이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배설물이 석회암 구조물에 손상을 주는 것은 과학적 실험으로 증명돼 있습니다. 비둘기의 배설물이 물과 닿으면 다양한 종류의 곰팡이 진균류가 성장하고, 대사과정에서 산성물질이 나오는데 이 산성물질이 석회석을 녹여 구조물에 금이 갈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콘크리트 등 도시 구조물 변색 원인이 되고 있으며 ...
- 코뉴어에 대한 모든 것!기사 l20171013
- 날개에는 신경이 없고, 잘라줘도 곧 다시 자란다. 본 기자는 자유롭게 날아다니게 놔두는 편인데 그러려면 세탁물과 베란다 바닥에 배설물을 매일 치울 수 있는 부지런함이 필요하다. 다섯째, 서열에 대한 것이다. 이건 본인의 생각인데, 앵무새도 가족 안에서 자신의 서열을 파악하는 것 같다. 그래서 강아지처럼 가족 안에서 가장 작거나 어린 아이 ...
- [서울.꿈꾸는지구]170813-1탐사기록 l20170813
- 장호항 근처인데, 제비는 떠났나봐요. 배설물은안보이는데, 멀리 날아다니는 제비는 보여요 ...
- 강아지 공장의 실체가 드러나다!기사 l20170801
- 나눌 수 있습니다. 제가 오늘 예기하려는 것은 불법적인 강아지 번식장 입니다. 불법 강아지 공장들은 먹이도 제대로 주지 않고 배설물도 치워주지 않는 등 위생문제가 심각합니다. 또, 뜬창에다 개들을 넣어놓고 기르기도 합니다. 2. 강아지 공장이 생기는 이유는? 사람들의 관점 때문입니다. 모두들 관점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제가 왜 이런 ...
- 몸에 해로운 담배를 피지 맙시다.기사 l20170620
- 뇌신경이 각성하여 더 잠에 들기 어려워진다고 합니다. (금연에 도움이 되는 식품) 1,된장 된장과 물은 니코틴을 분해해서 배설을 시켜준다고 하는데요. 된장을 섭취하면 금연에 많은 도움이 되지만 나트륨이 많아 적당히 섭취하시는게 좋습니다. 2,녹차 녹차에는 니코틴과 결합하여 독성을 제거해주는 카테킨 성분과 금연할 때 생기는 스트레스에 도 ...
- 꼬마참새 리차드를 보고 오다!기사 l20170617
- 있습니다. 또, 근육이 발달 해 있고, 소화계 및 호흡계가 발달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청각과 시각이 발달되어 있으며 요산형태의 배설을 합니다. 나라의 날씨 때문에 봄이 오면 찾아오고 가을이 되면 다시 다른 나라로 떠나는 철새는 약 4,000여 종이고, 여름에는 북쪽에서 겨울에는 남쪽에서 보내는데, 북쪽에서 새끼를 낳습니다. 철새들이 이동방향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