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민족"(으)로 총 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른 나라의 초등학교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01120
- 독일어 등 외국어 중 하나를 배웁니다. 이 외에도 요리 수업, 목공 수업, 바느질 수업도 있답니다. 핀란드에는 '사미족'이라는 소수민족이 있어요. 사미족의 아이들은 전통을 지키기 위해 사미어를 배운다고 합니다! 이렇게 다른 나라들의 초등학교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제가 생각하는 학교란, 노동을 하지 않고 친구들을 많나는 장소인 것 같 ...
- 우리 일상 깊숙이 들어온 서비스 로봇을 만나다 !기사 l20201107
- .그럼 한번 알아보러 가 보실까요 ? [자율주행 차량의 축소판 배달로봇] '배달의민족에서는 음식배달 로봇을 시범 운영하고있다 .실외 배달로봇 '딜리'는 장애물 감지센소 위치추적 센서등을 통해 목적지까지 자율주행한다 .한번에 음료 12잔만 담을 정도로 크기는 작지만 ,라이트 덕분에 야간에도 배달이 가능 ...
- 한글과 한국어, 서로 다른 거라고?기사 l20201027
- 예전에는 한자를 썼습니다. 그러면 과거에는 한국어가 없었던 것일까요? 일단 답은 ‘한국어는 있었습니다. 왜일까요? 한국어는 우리 민족이 고유하게 사용하던 언어입니다. 하지만 이를 표기할 기호가 없었던 겁니다. 즉 우리만의 문자가 없었던 것이죠. 그래서 중국의 한자를 들여온 것입니다. (이는 일본도 마찬가지고요) 그러다가 1443년 10월 9일 ...
- [10월 기억한DAY]10월 15일은 무슨 날? 체육의 날!기사 l20201014
- 일본인 감독이 조선인들은 약하다고 했다고 합니다. 그 말을 듣는 순간 손기정 전 선수님은 화가 나셨겠죠^^. 그래서 자신 때문에 조선 민족이 평가받는 거 같아 열심히 뛰었다고 합니다. 결국 손기정 전 선수님은 세계 대회에서 금메달을 따셨답니다. 전 이 분을 개인적으로 되게 존경합니다. 오늘은 체육의 날과 제가 좋아하는 종목을 취재해봤는데요. ...
- [한글날 특집]나랏말싸미 듕귁에 달아, 훈민정음 창제!기사 l20201007
- 이때부터 나라의 중요한 문서를 한글로 쓰리고 했다고 하니까요. 그 후에 1910년 한글 연구를 하던 주시경 선생님이 우리 민족의 큰 글이라는 뜻으로 '한글'이라고 이름 붙인 후 지금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럼 이제 세종대왕님의 위대한 업적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대마도 정벌 일단 왜구에 대해 알아봐야하겠네요. 왜 ...
- 일본과 한국의 사이버 해킹 전쟁!! 경인대첩기사 l20201007
- '네이버 붐' 'DAUM' '오늘의 유머' '와고' '엽혹진' '웃긴 대학' '루리웹'등등 온갖 회사들도 참전을 선언합니다. 캬.. 정말 우리나라 민족 장난 아니네요! 출처: http://www.bigt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74 이 참전한 멤버수는 약 100000명, 십만 명이 모인 ...
- 개천절은 무슨 날이길래 쉴까?기사 l20201003
- 직책입니다. 그래서 1대 단군, 2대 단군. . .이렇게 대를 이어서 단군을 한 것입니다. 지금으로 치면 대통령(?)입니다. 그래서 우리 민족의 첫 번째 국가가 건국되었다고 해서 개천절입니다. 출처 : 네이버 블로그 그럼 간단히 국기 게양하는 방법도 알려드리겠습니다. 경축일에는 봉 바로 아래에 다는 것입니다. 이런 날이 바로 3ㆍ1절(3 ...
- 단군 신화에 담긴 비밀기사 l20200930
- 누구나 한 번쯤 들어본 단군 신화에는 믿을 수 없는, 말도 안되는 내용이 많이 나옵니다. 그렇다면 우리 민족 최초의 나라인 고조선을 세운 단군에 대한 신화가 다 지어낸 거짓말일까요? 단군 신화의 내용을 모두 그대로 받아들일 수는 없 ... 고조선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단군 신화를 단순히 믿을 수 없는 거짓말로 여길 것 ...
- 추석에 먹는 음식에 담긴 의미기사 l20200924
- 배는 예로부터 귀한 과일로 여겼어요 . 혹시 우리나라의 전통철학 ' 오행 '을 아시나요 ? 오행에서 황색은 우주의 중심을 , 흰색은 백의민족을 상징해요 . 그래서 차례상에 귀한 과일을 바쳐 앞날이 이롭기를 , 순탄하기를 기원했답니다 . 우리가 그냥 먹는 배가 귀한 과일이었다니 , 그래서 맨날 차례상에 올라갔던 거군요 !! 3 . 삼색나물 ...
- 꿩에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00919
- 최은겸 기자입니다~ 오늘은 저의 첫 번째 기사인데요! 잘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꿩에 대해 알아보자!)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꿩은 닭목의 속하지요. 크기는 전체길이에 수컷은 80cm 암컷은 60cm입니다. 꿩에 암컷은 다른말로 까투리라고도 읽어요. 약 50종정도 된다고 합니다. 수컷인 장끼(수컷)는 색이 예쁘고 화려하지만 암컷은 그렇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