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NASA"(으)로 총 1,90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내 맘대로 만들어 먹는다 3D 식품 프린팅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프린트해 음식으로 만들면 처리해야 할 음식물 쓰레기가 생기지 않는다”고 설명했어요. NASA의 지원을 받았던 미국 기업 비헥스는 2016년에 ‘Chef3D’라는 식품 프린터를 개발해 6분 만에 피자를 프린트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식품 프린팅은 사람의 손으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복잡하고 ... ...
- [2022 IAC 탐방기]국제우주대회에서 뉴스페이스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토양의 모사품과 함께 전시된 로버가 신기한지, 관람객들은 UEL 부스를 계속해서 찾았다. NASA의 한 관계자는 이곳을 찾아 연구원들의 발표를 듣고 앞으로 협업할 것을 찾자고 제안하기도 했다.기업들의 홍보 전시와 함께 전세계의 대학생과 연구자들이 공부하고, 연구한 내용을 발표하는 자리도 ... ...
- [특집] SF 시나리오, 미래의 한반도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먼 미래에 우리나라의 모습이 어떻게 바뀔지 상상해 봤습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전 세계 빙하가 모두 녹았을 때 해수면이 60m 이상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약 80m 상승할 거라 내다봤다. 과학동아는 해수면이 약 80m 높아졌을 때 한반도의 모양을 상상해 그렸다. ... ...
- [기획] 인공중력 만드는 우주토목공학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없는 우주에서 콘크리트를 만들면 지구와 다른 특성이 나타납니다.201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미국 펜실베니아주립대 공동연구팀은 ISS에서 콘크리트를 만들고, 그 특성을 연구했습니다. 그 결과 미세중력에서 만들어진 콘크리트는 지구에서 만드는 것보다 내부에 구멍이 많고 컸습니다. 연구 팀은 ... ...
- [과학뉴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의 눈으로 본 목성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월 22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목성 사진을 2장 공개했다.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관측한 자료를 토대로 만든 목성의 모습이다. JWST는 근적외선 카메 라로 광도 변화를 측정해 지구로 전송했고, 과학자들이 가시광선 스펙트럼으로 전환해 사진으로 만들었다. 사진에는 오로라와 고리뿐만 아니라 ... ...
- [기획] 회전하는 우주기지에서 중력을 느끼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ISS에 굳이 인공중력 장치를 탑재하지 않은 것도 이 때문입니다. 다니엘 후잇 NASA 대변인은 “ISS는 그동안 인류가 안정적으로 미세중력 환경에서 실험을 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인만큼 이곳에 인공중력을 구현할 필요가 없었다”고 말했습니다.이제 우주는 실험 공간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 ...
- [만화 뉴스] 화성 탐사로봇 “소리가 잘 안 들려요!”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툴루즈제3대학교 천체물리학연구소 실베스터 모리셔스 연구원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탐사로봇 퍼시비어런스가 4월 1일 화성에서 녹음한 소리를 분석해 화성에서는 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는다고 발표했어요. 녹음된 소리의 파동 변화를 그래프로 분석해 소리가 1초에 약 240m만큼 이동하고, ... ...
- [인터뷰] 논리적인 수학과 섬세한 베이킹의 만남, 조한빛 파티시에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로켓, 비행기 같은 걸 좋아하고 라디오를 조립하기도 했어요. 그래서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일하고 싶다고 생각했지요. 대학도 처음엔 공과대학교에 진학하려고 했어요.” 수학과에 진학하게 된 계기는 생각보다 단순했습니다. 고등학교 수학 선생님이 수학과를 강력하게 추천하셨기 ... ...
- 뒷이야기가 더 흥미로운 제임스웹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열린 이번 총회의 중심에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있었다.제임스웹은 미국항공우주국(NASA),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이 공동개발한 우주망원경이다. 우주망원경은 우주에서 천체관측을 하는 인공위성을 가리키는데, 제임스웹은 그중에서도 가장 거대하고 성능이 뛰어나다. 제임스웹은 ... ...
- 달 토끼도 ‘다이너마이트’ BTS 품고 달 향한 다누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활동에 필수적인 물이 얼음 상태로 남아 있는 것으로 추정돼 유인 탐사 후보지로 꼽힌다.NASA는 2025년까지 달에 우주인을 보내는 ‘아르테미스’ 임무를 준비 중이다. 다누리는 달 유인 착륙에 적합한 후보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한다. 한국과 미국 사이 첫 우주 협력의 상징이 될 것으로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