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좀비를 만나면 일단 뛰어라!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발생한 좀비가 우리에게 오기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리는지 구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1
분에
1
00m2까지 좀비가 퍼질 때 90m 정도 떨어져 있다면 26분 만에 우리 앞에 좀비가 나타난다. 확산 속도가 분당
1
50m2까지 올라가면
1
7분으로 그 시간은 확 줄어든다. 만약 좀비가 2시간 거리에 있다면 대략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약해지면서 굳이 침습적 방식을 사용해 BCI 장비를 이식한 의미가 사라지는 것이다. N
1
임플란트는 기존에 사용되던 칩의 단점을 크게 보완했다. MRI로 보면서 심는 데다가 딱딱한 칩 대신 유연한 실을 사용해 뇌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게다가 64개의 실 가닥을 여러 부위에 심어 뇌파 측정 반경을 넓힐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실험(NEOS) 장치를 설치하고 비활성 중성미자를 검출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했다. NEOS는 202
1
년 실험이 종료돼 현재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있다. 만약 분석 결과 비활성 중성미자의 존재가 확인된다면, 표준모형은 기존의
1
7개 입자에 비활성 중성미자가 하나 더해지는 대사건을 겪는다.한편, IBS 지하실험 ... ...
수학은 평화지킴이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수학 법칙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영국 공학자인 프레데릭 란체스터가 제
1
차 세계대전 중이었던
1
9
1
6년에 만든 법칙으로, 아군과 적군의 상대적인 힘을 계산하는 수학 이론이다. 그가 고안한 법칙 중 가장 유명한 법칙은 ‘란체스터 선형 법칙’과 ‘란체스터 제곱 법칙’이다. 란체스터 선형 ... ...
얼마나 행복할까? 행복 방정식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행복 방정식’을 도출했다. 이후 연구팀은 이 공식이 맞는지 입증하기 위해
1
만 8,42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게임 ‘나를 행복하게 만든 것은 뭘까?(What makes me happy?)’를 진행했다. 이 게임은 첫 번째 실험 데이터를 토대로 만들었다. 이때 연구팀은 이들이 게임 결과에 따라 느낄 행복감을 미리 ... ...
[신의 책] 개념을 명확히 모르면 생기는 일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1
보다 작기 때문에 a/(
1
-r)에 대입해보면, 아래와 같아요. 이 등비수열의 합 0.9999…는
1
에 수렴해요. 그런데 여기서 수렴한다(converge)는 말의 의미를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게요. 수렴이란 차이가 한없이 작아져서 특정 값에 한없이 가까워진다는 말이에요. 특정 수열 an의 수렴하는 값이 a라는 것을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최상위 엘리트였는데 왜 탈북을 결심했나한국의 영재학교와 비슷한 개념인 북한의 제
1
고등학교를 전교 3위로 졸업하고 김정은국방종합대학(국방대)에 입학했습니다. 당시 김정일 정권이 군사력 강화를 최우선하는 선군정치를 모토로 내걸면서 군 관련 분야의 대학이 가장 우위에 있었어요.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현재의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다 동국대 화학과로 옮겨 3
1
년을 지냈다. “시작은 우연이었어요. 교수가 되고 연구를 하려 했지만 함께 연구할 대학원생이 부족해지는 시점에서 연구 진행이 무척 힘들었어요. 연구를 못하게 되니까, 뭐라도 해보자는 생각이 들어서 저 혼자서 할 수 ... ...
[이달의 책] 은하 도슨트가 안내하는 우주의 걸작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진행한 이벤트입니다. 감마선으로 관측한 광원(별) 3000개의 천문도로 새로 만든 별자리 2
1
개 중 일부를 담은 사진이죠.” ‘어린왕자자리’ ‘슈뢰딩거의 고양이자리’ 등 천문학자들 특유의 감성과 가시광 별자리 속 신화와 대칭을 이루는 듯한 현대 문화의 아이콘을 담아낸 점도 이 감마선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그가 쓴 가장 중요한 두 논문에서 장비 제작자 플레이스와 세귄을 공동 저자 또는 제
1
저자로 넣었다. 라부아지에의 경쟁자들이었던 프리스틀리, 셸레 역시 그들이 실험했던 주변 지역의 장비 제작자들에게 크게 의존하고 있었다. 스티븐 섀핀 미국 하버드대 과학사학과 교수는 이렇게 드러나지 않은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