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부론
해부
d라이브러리
"
해부학
"(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정한 꿈을 찾는 기나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가려는 거니?” “아뇨. 그런 건 아니에요. 엄마가 간호대를 나오셔서 집에 있는 의학책,
해부학
책을 보며 관심이 생겼어요. 동생이 아파서 수술을 하고 병원에 다니는 걸 보면서도 의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했어요.” 아직은 조리있게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게 어렵다. 그러나 조금씩 속내를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년 뒤부터 1억 년 뒤까지의 동물을 상상한다. 이 때 전범은 슈타이너 교수의 상상력이다.
해부학
적 지식과 생태학적 지식, 그리고 미래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바탕으로 창조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이 책은 코쟁이류와는 달리 교훈을 충실하게 지킨다. ‘동물 분류에서 겉모습은 덜 중요하다.’ 이 책에 ... ...
과학자를 매료시킨 '상상의 동물학'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년 뒤부터 1억 년 뒤까지의 동물을 상상한다. 이 때 전범은 슈타이너 교수의 상상력이다.
해부학
적 지식과 생태학적 지식, 그리고 미래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바탕으로 창조했기 때문이다.하지만 이 책은 코쟁이류와는 달리 교훈을 충실하게 지킨다. ‘동물 분류에서 겉모습은 덜 중요하다.’ 이 책에 ... ...
엄지공주도 깜짝 놀란 마이크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외계인●2010 니콘 스몰월드 2등●히데오 오츠나 박사●미국 유타 의과대학 신경생물과
해부학
과●배율 20배다양한 색으로 염색된 제브라 피쉬의 머리가 마치 외계인같다. 척추동물인 제브라피쉬는 폐를 제외하고 인간이 가진 장기를 모두 갖추고 있다. 어때? 세밀하게 들여다보니 생물들이 정말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관이 경락으로 추정된다고 주장했다.] 봉한학설은 1960년대 북한의 김봉한 박사가 경락을
해부학
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세운 이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소광섭 서울대 물리학부 교수가 연구하고 있다. 소 교수는 흰쥐의 혈관 안에서 알 수 없는 봉오리와 관을 발견하고 이것이 경락이라는 또다른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사이먼 르베이 박사는 캠브리지대에서 자연과학을 공부한 뒤 독일 괴팅겐대에서 신경
해부학
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미국으로 건너가 하버드대 의대에서 10여 년간 봉직한 뒤 1984년 미국 솔크연구소로 옮겼다. 르베이 박사는 오랫동안 동물의 시각피질이 어떻게 시각정보를 처리하는가를 ... ...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못했다고 생각해 왔다. 연구팀은 현재까지 발견된 화석을 이용해 익룡의 크기와 무게,
해부학
적 특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익룡은 새와 골격 구조, 날개 비율, 근육 양이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비행 방법도 새와 다르다는 결론을 내렸다.익룡은 땅에 내려설 때와 바람을 타고 하늘을 날고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영상 이미지로 만들어 낸다. ‘말디 질량분석 이미징’이라고 불리는 이 방법은 조직의
해부학
적인 구조를 망가뜨리지 않은 채 단백질을 조사할 수 있다. 카프리올리 교수는 “눈으로 단백질의 분포를 볼 수 있다는 게 중요하다”며 “말디를 이용한 영상 기술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데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당시 다빈치가 실제 모델을 앞에 두고 그렸음을 짐작할 수 있다.뛰어난 화가면서
해부학
에도 조예가 깊었던 다빈치가 유일하게 모나리자를 그릴 때에만 실수를 저질렀을까, 아님 일부러 불균형하게 그렸던 것일까. 조 교수는 “모나리자가 실존 인물을 그린 초상화가 아니라 다빈치가 오랫동안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만들어지지는 않는다.〃지금까지도 상당수 사람들이 믿고 있는 이 도그마는 19세기 신경
해부학
자들의 관찰 결과를 토대로 한다. 뇌에서 기억이 ‘온전하게’ 보존되려면 신경세포와 그 연결망인 시냅스가 안정돼야 한다는 생각과 맞물려 이런 주장은 설득력을 얻었다. 게다가 뇌출혈이나 사고로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