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계"(으)로 총 1,500건 검색되었습니다.
- [때문에 과학] 2탄. 큰 귀 코끼리, 짙은 피부 북극곰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커다란 귀다. 외부 환경과 맞닿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몸의 열을 더 빨리 식힐 수 있다. 학계에서는 이런 진화를 영국의 생물학자 조엘 알렌과 독일의 동물학자 카를 베르그만의 이론에서 만들어진 ‘알렌 베르그만 법칙’으로 설명한다. 이 법칙에 따르면 더운 지역에 사는 동물은 돌출 부위가 크고 ...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회복이 어렵다. 뇌에서 보낸 신경 신호가 팔다리로 전달되지 못해 하반신이 마비된다. 과학계에서는 이렇게 죽은 신경세포를 되살리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김정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사용하지 않고 환자의 피부세포를 손상된 신경세포로 바로 ...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사망에 이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2007년까지 확인된 감염 사례도 극히 드물었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그런데 2015년 사라진 줄로만 알았던 바이러스가 지구 반대편 브라질에서 발견됐다. 2015년 5월 브라질 정부는 자국 내 첫 인체 감염 사례를 확인했고, 이후 지카 바이러스는 ...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시험관에서 증식시킨 최초의 연구이자, 폴리오바이러스가 신경 조직에서만 증식한다는 학계의 정설을 뒤집는 결과였다.세 과학자의 연구는 소아마비 백신 개발로 이어졌다. 또 다양한 표본 조직에서 바이러스를 배양하고 분리하는 기술은 바이러스 연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 엔더스와 웰러는 195 ...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복강에서 식세포와 살아있는 균이 동시에 존재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그의 이론은 학계에서 인정을 받게 됐다. 메치니코프는 1908년 12월 열린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모든 학자가 꿈꾸는 가장 큰 기쁨을 준 (노벨)위원회에 깊은 감사를 표한다”며 “나의 업적이 지나치게 높이 평가받은 것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다양하게 결합할 수 있고 이것이 면역성을 획득하는 원동력이라고 설명했다.당시 학계는 면역이 주로 항체에 의존한다는 학파와 면역세포에 의존한다는 학파로 나뉘어 있었는데, 예르네는 ‘면역시스템(immune system)’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면서 항체와 면역세포가 함께 면역에 관여한다는 ... ...
- [백신 개발 비하인드] 속도 높이는 코로나19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왕립학회는 아이작 뉴턴, 찰스 다윈 등 내로라하는 과학자들도 회원으로 활동한, 영국 과학계 최고 권위를 가진 기관이다.왕립학회는 소아마비 임상시험은 1950년대에 시작됐으나 HIV가 처음으로 인간을 감염시킨 것은 1930년대라는 점과, 당시 배포된 소아마비 백신에서 HIV 등에 대한 오염이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더블X 6개의 예언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동역학계 이론으로 파악하고 문명의 미래 모습을 컴퓨터로 계산했지. 동역학계는 시간에 따라 움직이거나 변하는 모든 것을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수학 분야야. 수학 모형이 예측한 시나리오는 크게 4가지 유형이었어. 그런데 4가지 중 3가지 시나리오가 문명의 종말을 예고했어. 주요 자원을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일부 조각을 삼켜 그 특징을 반영한 복합 단백질을 표면에 발현시켜야 한다. 면역학계에서는 이 단백질을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라 부르며, MHCⅠ과 MHCⅡ 등 크게 두 가지로 분류군으로 구분한다. MHC를 발현시키는 유전자는 전체 유전자 중에서도 가장 다양성이 큰 ... ...
- 2008년 에이즈와 자궁경부암 바이러스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연구 중이던 마이클 고틀리브는 뉴모시스티스 폐렴을 앓고 있는 33세 남성의 사례를 학계에 보고했다. 뉴모시스티스 폐렴은 영유아나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환자들에게서만 발견되는 질환이었다. 그런데 이 환자는 이상하리만큼 면역력이 결핍돼 있었고, T림프구 (T세포)의 수치가 현저히 떨어져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