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리"(으)로 총 1,5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슈] 위기탈출! 세 단어 주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때 세 단어로 위치를 설명하는 게 쉬울 거예요. 내가 있는 곳으로 택시를 부를 때에도 편리하고요. 멋진 풍경을 볼 수 있는 장소나 추억이 담긴 여행지를 기억할 때도 사용할 수 있어요. 지구를 57조 개로 나누고 세 단어 붙였어요그렇다면 세 단어 주소는 어떻게 매겨지는 걸까요? 먼저 세계지도를 ... ...
-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원하는 음악이나 상품을 찾지 않아도 자동으로 추천해주는 것처럼 디지털 기술은 빠르고 편리한 방향으로 우리 삶을 바꾸고 있답니다.최근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급속히 진행되고 있어요.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을 나서지 않고 인터넷으로 일을 처리하는 사람이 늘었거든요. 온라인 ... ...
- [특집] 세상을 말하는 숫자 빅데이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약을 처방받은 기록 등도 모두 어딘가에 남습니다. 이렇게 쌓인 데이터는 우리의 삶을 편리하게 만드는 데 사용돼요. 만약 유튜브에서 귀여운 강아지가 나오는 영상을 봤다면, 알고리듬이 이 기록을 토대로 다른 강아지 영상을 추천해줍니다. 마트에서 물건을 계산한 뒤 포인트를 적립할 때 실물 ... ...
- [우주화장실] 똑똑, 새 화장실 배달왔습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수 있는 재질로 만들어졌을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가 쉬워져 우주 비행사가 고치기도 편리해졌어요. 무엇보다 중요한 변화는 새 화장실이 여성 우주 비행사들이 사용하기 편한 구조로 개선되었다는 사실이에요. 이전까지 ISS에 설치된 우주 화장실은 소변과 대변을 보는 기구를 분리한 구조였어요.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너무나 기뻐요. BMI 기술이 실용화되려면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편리하고 정밀하게 뇌 활동을 읽어낼 수 있어야 해 기대감에 시청했지요. 뉴럴링크에서 발표한 ‘링크’ 기기는 BMI 기술을 대중화하는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생각합니다. Q기존의 BMI 기술과의 차별점이 있나요 ... ...
- [헬라세포] 위대한 유산을 남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소아마비를 일으키는 폴리오바이러스에 쉽게 감염되어 백신의 안전성을 시험하는 데 편리했거든요. 이렇게 만들어진 백신 덕에 현재는 소아마비가 거의 퇴치된 상태랍니다.심지어 헬라세포는 극한 환경 연구에도 쓰였어요. 방사능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핵폭발에 노출시키는가 하면, 1960년에는 ... ...
- 불법조업, 해양생물과 인간을 괴롭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심해까지 어류를 대량으로 잡을 정도로 어업 기술이 발달했다”며, “기술은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자연을 훼손할 가능성도 증가시킨다”고 말했답니다. ● 올해 한국을 들썩인 불법조업 네 종류 -문제1. 멸종위기종 위협우연히 걸려든 멸종위기 상어를 보충재로 사용?지난 4월 ... ...
- [일본유학일기] 시험공부 도와주는 도쿄대의 비밀 무기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조각 글이 많아 시험 기간이 아닐 때도 찾아 읽어 보게 된다.이렇게 시험공부를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장치가 있어도,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던 시절처럼 시험공부가 하기 싫은 건 마찬가지다. 공부가 유난히 힘들면 ‘어차피 시험 문제를 풀기 위해 외운 내용은 시험이 끝나면 다 까먹는데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뛰어납니다. 수험장에서 비말 차단 효과가 확실한 마스크를 쓸지, 숨쉬기에 좀 더 편리한 마스크를 고를지 고민이 생기는 거죠. 일반적으로 마스크를 1시간가량 착용하는 것은 호흡에 문제를 일으키거나 혈중 산소포화도에 변화를 주지 않지만, 10시간 이상은 얘기가 다를 수 있으니까요. 실제로 200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지수로 보는 블랙핑크의 상승세수학동아 l2020년 12호
- 교육과정에서는 지수가 자연수인 경우만 다룬다. 지수가 자연수일 때는 한층 더 계산을 편리하게 만드는 ‘지수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 문제를 풀어보자. 천문학적인 숫자도 간단하게 바꿔주는 지수를 쓰면 지구에서 별 A까지의 거리는 32×5×106km, 별 B까지의 거리는 33×52×108km가 된다. 이제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