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임"(으)로 총 2,079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지하 1000m ‘고요’ 속 실험실 YEMILAB과학동아 l2022년 11호
- 땅을 통과해 검출기에 도달할 수 있다.땅을 ‘입자의 체’로 활용하겠다는 전략이다. 박 책임기술원은 “초당 300번씩 오는 뮤온 신호를 차단하고, 1년에 2~3번씩 올 것으로 예측되는 암흑물질이나 중성미자 신호를 기다리는 격”이라고 설명했다. 더 깊고, 더 무겁고, 더 가까워진 실험이재승 ... ...
- 인공지능의 내일에는 눈과 입, 귀가 모인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시각 질문’ ‘시각 관계 탐지’ 등이 있습니다. 이준영 KISTI 글로벌R&D분석센터 책임연구원은 “2905번 클러스터는 컴퓨터 비전과 관련해서도 매우 특화된 주제일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이미지 캡셔닝은 AI 모델이 이미지를 분석해 단어로 설명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시각 질문은 어떤 ... ...
- [SF소설] 블랙홀 뺑소니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우리가 그쪽으로 우주선이나 핵탄두를 날린 적도 없었건만, 다짜고짜 우리 책임이라니. 화가 솟구쳤다. 이제까지는 아무리 협상이 엎어진다고 해도 내 고객에게 손해가 가는 것이었지, 내게 손해가 가는 것은 아니었다. 지금은 내 목숨도 함께 달려 있었다. 전 재산을 내 목에다가 건 느낌이었다 ... ...
- [특집] 좁아지고 더워지는 육지 이제는 물속으로 들어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수 있는 해저 도시를 목표로 하지요. 해저 공간 프로젝트를 총괄하는 KIOST 한택희 연구책임자는 “해저 도시가 폭증하는 데이터 센터로 인한 에너지 소모 문제를 잡아 전력 소모를 낮출 뿐만 아니라, 인구 증가와 해수면 상승으로 발생할 토지 부족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
- 노벨상 분석 보고서 I 현대 과학의 토대를 쌓은 수상자들과학동아 l2022년 11호
- 수치는 0에 가까우면 좁은 분야, 1에 가까울수록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이 책임연구원은 “세부 분야를 들여다봐도 초기에는 유기화학에서 인용한 비율이 30%에 가까웠다면, 최근에는 15% 수준으로 줄었다”며 “특히 고분자 과학이 8.8%, 재료과학이 3.9%로 늘면서 소재나 재료 분야에서 ... ...
- [SF 소설]톨리의 숲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바로 업데이트를 당할 무거운 잘못이다. “너는 기껏해야 유저 만족도나 확인하지, 나는 책임이 막중하단 말이야. 패치 기록 같은 게 남았다가는 앞으로 지장이 많아.” “내가 대신 해 줄까?” 귀가 솔깃해서 되물었다. “할 줄은 알아?” 사이먼이 두 손으로 허리를 짚고 말했다. “우리 ... ...
- [기획] 세계가 나의 무대! 수학으로 승부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이야기를 듣고 많은 위로를 받았습니다. [필살기] 누군가에게 롤모델이 될 수 있다는 책임감 육아로 2년 동안 연구를 아예 못 한 적이 있어요. 자녀들이 어느 정도 크고 난 뒤에야 수학에 집중했고, 그동안 다른 사람이 미처 공략하지 않았지만 제가 잘할 수 있는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했어요. 저는 ... ...
- [기획] 회전하는 우주기지에서 중력을 느끼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기술 개발에 나섰습니다. 2021년 크리스토퍼 베이커 소형 우주선 기술 프로그램(SSTP) 책임자는 “우주에서는 약한 중력 때문에 여러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며 “달과 화성에서 필요한 생명유지 시스템, 환경제어 장치 등을 시험할 수 있는 인공중력 기술을 개발할 것”이라고 말했습 니다 ... ...
- [사업가가 된 연구자] 영정사진 No, 실시간 LIVE로 세포를 보는 현미경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죽어 세포치료에 사용할 수 없다. 박용근 KAIST 물리학과 교수(토모큐브 최고기술책임자(CTO))도 이 문제에 천착했다. 그는 2010년 박사학위를 받을 무렵 이 질문을 처음 가슴에 품었다. 서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하버드-매사추세츠공대(MIT) 보건 및 기술 프로그램’에 참여할 때였다. ... ...
- [과학뉴스] 겨울 추위 저장했다가 여름에 꺼낸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여름에 꺼내 쓸 수 있다면 어떨까. 윤영직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에너지네트워크실 책임연구원팀이 겨울철 냉기를 땅속에 저장했다가 여름철 냉방에 이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양쪽 온도가 다를 때 유체 안의 기포가 빠르게 진동하는 ‘기포자가진동’ 현상을 활용했다. 열교환 장치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