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짧은시간"(으)로 총 2,0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썩은 곤충인척 연기한다?! 시체꽃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5호
- 실제로 썩지는 않았는데, 부패한 냄새를 풍기는 식물도 있어! 바로 ‘시체꽃’이란 별칭을 가진 식물들이지. 시체꽃은 왜 부패한 척 연기하는 걸까? 시체꽃이 피었습니다?!지난 5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시체꽃’이 피어 화제가 됐습니다. 자주 볼 수 없는 풍경에 사람들이 줄서서 구경할 정도였 ... ...
- [이달의 과학사] 1646년 7월 1일 미적분의 발견자는 누구? 라이프니츠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3호
- 언덕 밑으로 굴러가는 공을 상상해 봐요. 어떻게 하면 공의 속도를 알 수 있을까요? 공의 속도는 시간에 따라 점점 바뀌기 때문에, 공의 속도를 재려면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움직인 거리를 파악해야 해요. 짧은 시간 동안 움직인 거리처럼, 무한히 짧은 순간 동안 변한 수치를 계산하는 방법을 ‘미분 ... ...
- [매스크래프트] #24. 퓨처 킴의 산타 마을, 특명! 선물을 빨리 배달 하라수학동아 l2021년 12호
- ‘울면 안 돼~. 울면 안 돼~! 산타 할아버지는 우는 아이에겐 선물을 안 주신대’저는 울기도 많이 울었고, 나이도 많아서 선물을 받지 못할 것 같아요. 대신 산타 할아버지의 배달을 도우면 콩고물이 떨어질지도~? 오늘은 산타 마을을 만들고, 최적의 배송 경로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산타 할아 ... ...
- 우주 끝에 한 걸음 더, 차세대 탐사선 3과학동아 l2021년 12호
- ▲18일 발사되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이 유럽 발사체 아리안5에서 분리되는 모습을 상상했다. 이번에는 떠날까. 이달 18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드디어 발사된다. 1996년 차세대 우주망원경(NGST)으로 처음 제안된 이후 25년 만이다. 성공적으 ... ...
- 불완전한 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1년 12호
- “아주 작은, 그래서 모든 것의 기본이 되는 입자를 탐구하는 실험물리학자입니다.”11월 8일 화상으로 만난 김영기 미국 시카고대 물리학부 석좌교수의 자기소개는 단출했다. 그는 실험입자물리학, 특히 입자가속기 분야의 세계적 리더다. 2000년 미국 과학잡지 ‘디스커버’는 ‘주목할 젊은 과 ...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고대부터 날씨와 기후를 조절하는 바람과 물의 움직임은 예측 불가능하고 알 수 없는 것으로 취급됐다. 현대에 들어 기후시스템이라는 이름으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됐지만, 수많은 요소가 상호작용하는 ‘복잡계(complex system)’를 온전히 이해하기는 쉽지 않았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인류가 ... ...
- [SF소설] 바키타과학동아 l2021년 11호
- 8/12-001세 개의 배양통을 우주선에 싣는 데 성공했습니다. 두 개는 배터리가 망가져 전원이 꺼졌습니다. 안타까운 일이지만 지구의 상태를 보면 세 개가 멀쩡하다는 것만으로도 기적입니다. 보초병은 없었습니다. 보관실을 관리하는 인력도 마찬가지입니다. 무사했던 이유는, 단순히 도시와 떨어져 ... ...
- [특집] 알쏭달쏭 무한 세계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무한 세계는 우리가 머릿속으로 그리는 모습보다 훨씬 크고 다양하오. 악당을 물리치려면 먼저 무한 세계를 제대로 알아야 하지요. 무한은 수학, 과학 분야의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전인 고대 때부터 다뤄지기 시작했습니다.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 철학자 제논이 제기한 역설을 통해서 ... ...
- [탐험대학] 빙하탐험대 극지를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장보고 기지에서 일하는 게 꿈이었는데 ‘빙하탐험대’ 활동으로 극지연구소를 방문해 연구 경험을 듣고 실험실도 직접 봐 막막함이 해소됐어요.”극지연구자가 꿈인 빙하탐험대 빙하팀 박우현 대원(경산중 2)은 9월 24일, 꿈에 그리던 극지연구소를 방문했다. 관심 분야를 실제로 연구하는 연구 ...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편집자 주이 기사는 『글자 풍경』(유지원 지음, 을유문화사, 2019) 중 ‘글자체가 생명을 구하고 운명을 가를 수 있을까’(p.208-215)를 주로 참고해 작성되었습니다. 지금 당신이 보는 이 글은 돋움체로 쓰였다. 묵직하면서 굽은 곳이 없고 꾸밈이 거의 없는 깔끔한 글꼴이다. 흥미로운 정보를 군더더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