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점"(으)로 총 5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변신! 정십이육면체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정사면체는 조금 다른 방법으로 변신한다. 처럼 정사면체의 여섯 개의 모서리 중점에 각각 점을 찍어 선분으로 이어, 꼭짓점이 여섯 개인 정팔면체를 만들어 낸다. 정팔면체는 각 모서리를 1:1.618로 내분하는 점을 이어 정이십면체로 바꿀 수 있다.정이십면체는 각 면의 중심에 점을 찍어, 이 ... ...
- [Career] “ 공학이라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방법론에 주목하죠. 반면 산업공학은 빅데이터를 현실에서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가를 중점적으로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컴퓨터공학과만큼은 아니더라도 기본적으로 빅데이터를 다룰 줄 알아야 하죠.오세영 공학을 잘하는 문과생의 느낌이 나는데요(웃음). 실제로도 문과적 성향을 가진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몽이 님과 나스카 님이 일일이 보드에 부품을 하나씩 연결해 만든 것이다. 테스트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본 것은 배터리였다. 계산으로는 8시간 정도는 충전 없이 작동할 수 있었는데, 실제 제품에서도 그렇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게 중요했다. 다행히 테스트 제품도 예측한 시간만큼 작동했다. USB를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가자고 했고, 이 일은 구체적으로 밝혀지고 조사되는 대신에, 아무도 보지 않는 국가 중점 추진 사업 결과 보고서의 한 구석에 두어 줄 실리는 것으로 끝이 났다.일단, 그렇다고는 해도 결과만 놓고 보면, 우리 회사로서는 괜찮은 최후였다는 점은 미리 밝혀 두고 싶다.보고서에는 “초기 단계 ... ...
- [News & Issue] 젊은 물리· 천문학자들이 송유근 학생에게 보내는 조언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성장하고, 우리 과학계가 연구윤리에 대해 좀 더 성숙해지기 바라는 마음에서다.이번에 중점적으로 인터뷰한 대상은 국내외 젊은 연구자 5명이었다. 박사를 졸업한 지 수년 이내이거나, 박사졸업을 앞두고 있어 대학원의 최근 분위기를 가장 잘 파악하고 있는 이들이다. 이외에도 다수의 연구자들을 ... ...
- [Career] “ 새로운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제가 만들죠”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일어나는데, 이런 상황에도 소프트웨어는 기능을 유지해야 했다. 남 교수도 안정성에 중점을 두고 설계했지만, 수천 개의 서버에서 직접 검증할 기회는 없었다. 많아야 40개의 서버에서 테스트해 본 것이 다였다.남 교수는 “안정성을 검증해 봤느냐는 질문에 제대로 답변하지 못해 아쉽다”며 ... ...
- [Career] 종이접기로 인체 기관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관련된 모든 분야를 아우르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학부 과정에서는 화학과 생물학을 중점적으로 배우지만 자연대와는 달리 열, 물질 전달, 반응공학 등 공학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이 다릅니다.김현수: 전공을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한 말씀 부탁 드립니다.황석연: 이건 제 경험과 연관 지어 말할 수 ... ...
- [Tech & Fun] 공포라고 다 같은 공포가 아냐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희귀한 병이다. 미국 아이오와대 존 웨미 교수팀은 ‘SM’이라 불리는 한 여성 환자를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이 여성은 세 명의 아이를 낳고 아무런 불편 없이 생활하며, 기쁨, 슬픔 등 다른 감정들은 다 느꼈지만 공포감만큼은 느끼지 못했다. 동물이었다면 천적에 잡아먹히거나 위험한 상황에 ... ...
- [Tech & Fun] 세상에서 가장 값비싼 책?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방식이 다르다. ‘세계를 바꾼 17가지 방정식’에서는 특정 방정식 자체가 왜 중요한지에 중점을 둔 반면, ‘수학사 강의’에서는 방정식이 나온 배경에 집중한다. 수식은 후자에서 더 많이 등장한다. 세상 곳곳에 스며든 수학의 큰 틀을 보고 싶은 독자에게 추천한다.기자는 종종 ... ...
- [Career] 영하 150℃에서 찰랑이는 물 보셨나요?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현상이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최근 김 교수는 물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하는 데 좀 더 중점을 두고 있다. 또 연구의 시작이었던 단백질 구조 분석도 계속 하고 있다. 이산화탄소가 결합하는 탄산탈수효소 등 다양한 단백질의 특성을 연구하고 있고, 2014년에는 스스로 개발한 기법을 응용해 단백질보다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