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메이커 페어 서울 2023, 새로운 길을 만드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만나 열게 된 새로운 길을 메이커 페어 서울 2023에서도 그대로 보여줄 계획이다. “제가 주로 창작품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3D 프린터와 함께, 직접 만든 도구로 마술을 보여주는 부스를 준비하고 있어요.” 김 메이커도 특별한 부스를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코그모 로봇을 시작으로, 자벌레 로봇, ...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볼 수 있다. 그러나 난 나선은하를 더 좋아한다. 더 예쁘니까. 정말이다. 은하들 중에서 주로 나선은하를 연구해야겠다고 다짐한 이유는 단순했다. 나선은하가 보기에 더 화려하고 아름다워서다. 일종의 천문학적 외모지상주의로 평생의 연구 주제를 정한 셈이다. 우주 진화의 진짜 주인공 ... ...
-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공동교육과정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공동교육과정으로 물리학 실험, 화학 실험, 생명과학 실험, 인공지능 기초 등을 주로 개설합니다. 계림고, 경주여고, 근화여고 등 주변 여러 학교의 학생들이 모이죠. 토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12시 50분까지 4시간을 이어서 진행합니다. 실험 수업의 특성상 많은 학생을 지도하긴 어려워서 신청한 ... ...
- [헷갈린과학] 바닷속이 알록달록! 해면 vs 산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해면의 종류는 전 세계에 약 1만~1만 5000종에 달합니다. 이들은 움직이지 않고, 주로 바위에 붙어서 살아요. 해면은 바닷물과 함께 산소와 플랑크톤 등 유기물 먹이를 몸에 받아들인 뒤 식세포로 옮겨 소화를 시켜요. 이는 해면의 몸 안쪽에 나란히 자리 잡은 금세포 덕분이에요. 금세포에는 ... ...
- [정대호의 ‘2039: 화성 일 년 살기’] 가지구이를 위해 떠난 화성 돌 사냥과학동아 l2023년 09호
- 정조 과학기지의 지질학자 C는 스스로를 ‘사냥개’라 칭하는 불 같은 사람이다. 그가 주로 사냥하는 것은 암석들이다. 지질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암석은 물론이고 그저 보기 좋게 생긴 돌들도 닥치는 대로 모아 숙소에 쌓아 두는 사람인지라, 다른 대원들과 싸움이 잦다. 화성연구소 규정에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암 후성유전학으로 희귀 뇌종양 치료를 꿈꾸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큰 차이가 있다. 소아뇌종양은 주로 뇌의 가운데 부위인 뇌간에서, 성인뇌종양은 주로 뇌의 바깥 부분인 대뇌에서 많이 생긴다. 이것들을 최신 분자유전학적 기술로 분석해보니 암이 발생하는 위치뿐만 아니라 유전적 돌연변이와 각각의 성장을 촉진하는 신진대사물질도 확연하게 다르다는 사실이 ... ...
- [제로슈거] 음료부터 과일, 약까지 점령!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200배 정도 달고, 쿠키 등에 들어가는 수크랄로스는 설탕보다 600배 정도 달아요. 과자에 주로 들어가는 사카린 분자는 쓴맛 수용체와도 결합하기 때문에 단맛과 쓴맛이 함께 느껴질 수 있답니다. 건국대학교 융합생명공학과 오덕근 교수는 “감미료마다 특성이 달라 각각 다른 식품에 활용할 수 ... ...
- [JOB터뷰] 국내 최초 꿀벌 수의사, 정년기 선생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모습을 보고 꿀벌이 아픈 것을 알 수 있죠. 양봉장에서는 주로 꿀벌이 급격하게 많이 죽는 일이 일어나면, 꿀벌들이 아프다는 것을 깨닫고 저에게 진료 의뢰를 해요. Q. 꿀벌 수의사는 다른 수의사와 어떻게 다른가요? 꿀벌 수의사는 소, 돼지 등 다른 동물 수의사와 ... ...
- [출동, 슈퍼 M] 음료수 캔은 왜 모두 원기둥 모양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9호
- 원기둥일까요? 슈퍼M과 함께 그 이유를 알아봐요. 첫째. 가볍고 튼튼하다!음료수 캔에는 주로 탄산음료, 주스 등의 액체가 담겨요. 우유는 종이팩이나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도 되지만, 탄산음료를 다른 용기에 담으면 충격을 받았을 때 탄산음료 안에 있는 기체가 부풀어서 용기가 터질 위험이 ... ...
- Part1. 별 탄생의 순간을 엿보다과학동아 l2023년 09호
- 꾸준히 유입되면서 원시별이 차분히 몸집을 불려나간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2003년, 우주로 올라간 스피처 적외선 우주망원경이 원시별을 관측하면서 그 과정이 생각만큼 조용하진 않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어떤 원시별은 갑자기 밝아졌다 어두워졌다를 반복했고, 어떤 원시별은 위 아래로 제트를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