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프리카 펭귄에게 ‘점’이란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짝의 사진 근처에서 두 배 더 오래 머물렀다. 그런데 연구팀이 짝의 사진에서 배에 있는 점을 가리자 이런 실험 결과는 달라졌다. 아프리카 펭귄들은 더 이상 짝을 구별하지 못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새의 개체 인식을 담당하는 시각적 단서를 최초로 증명한 것”이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 ...
- [과학동아 X 서울시립과학관] 공간과 콘텐츠의 연결 과학동아를 과학관에서 만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곳곳에 소품처럼 책을 배치해서 전시물과 책, 체험과 책, 공간과 책이 어우러진다는 점이다. 관람객은 책을 읽다가 관련 전시물을 체험할 수 있고, 전시물을 체험하다가 추가로 궁금한 내용을 책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 공간을 연출한 신혜영 서울시립과학관 전시과 과장은 “전시물을 탐구하고 ... ...
- [과동키즈] “꿈이 있다면, 자신을 믿고 도전하세요”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핵 연구단의 목표는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희귀 동위원소(RI)의 원자핵에 관한 연구를 중점적으로 수행해, 이런 핵의 구조와 성질을 규명하고 그 근본 원리를 파악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수소에서 우라늄에 이르는 각 원소의 기원, 우주에 없는 새로운 원소의 발견과 같은 핵물리학의 당면 과제를 ... ...
- [이달의 책] 재난에 맞서는 과학: 오늘의 과학 탐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흥미를 잃지 않고 계속 읽도록 이끄는 필력이 더해졌다는 점도 ‘행동’의 큰 장점이다. “(협동성을 촉진한다고 알려진 호르몬인) 옥시토신은 나와 같은 사람들에 대해서는 친사회성을 높이지만 타자들에 대해서는 자발적으로 고약하게 굴도록 만든다.” 같은 문장은 예리해서 훨씬 재밌다. ... ...
- 문제 풀다 눈 맞아 결혼! 해피엔딩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1호
- 것을 증명했다. 1961년에는 n이 3보다 크거나 같을 때 볼록 n각형이 그려지려면 최소 점의 개수가 1 + 2n - 2보다 작거나 같다고 추측했다. 이를 ‘에르되시-세케레시 추측’이라고 부르며 이 역시 아직 미해결이다 ... ...
- 가마 없이 고양이 털 빗을 수 있을까? 털 난 공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지표 : 위상수학의 기초가 되는 불변량 중 하나로, 다면체의 오일러 지표는 ‘꼭짓점의 개수(v) - 모서리의 개수(e) + 면의 개수(f)’로 구한다. 곡면의 오일러 지표는 그 위에 다각형을 그려서 계산한다 ... ...
- 디지털 종이에 똑똑한 수학 기능 담다, 스티븐 챈 굿노트 CEO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방정식을 쓰면 자동으로 답을 계산해주는 기능도 추가하고 싶어요. Q. 굿노트의 장점은 무엇인가요? 종이에 수학 문제를 풀다가 실수하면 해당 종이 전체를 뜯어버려야 했어요. 하지만 디지털 종이를 사용하면 실수를 걱정할 필요 없이 언제든지 수정할 수 있어 훨씬 편리하며 효율적이지요. 또한,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양서류? 하나는 파충류? 도룡뇽 vs 도마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있어요. 바로, 신체 부위의 일부가 잘려 나가도 다시 생겨나는 재생 능력을 갖추었다는 점이에요. 도마뱀은 천적과 마주치면 꼬리를 잘라 버리고 도망칩니다. 잘린 꼬리는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꿈틀거려요. 그래서 천적이 꼬리에 한눈을 판 사이에 도마뱀이 안전한 곳으로 피할 수 있습니다. 뼈로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여행을 떠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제작해 유튜브 채널에 올리고 있답니다. 로블록스가 제페토 등의 다른 메타버스와 다른 점은 게임을 직접 만들고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 마인크래프트는 로블록스와 마찬가지로 블록을 쌓아 건물을 만들고 탐험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지만, 다른 이용자가 만든 맵을 체험하거나 ... ...
- 맞춤형 생성AI 만들기 - 위대한 이론물리학자, 아인슈타인 챗봇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빛의 주파수(색) 임계값이 있고, 빛의 강도와는 무관하게 전자의 에너지가 결정된다는 점이 이해되지 않았소. 이러한 문제에 대해 내가 제시한 해결책은 ‘광양자’ 개념이었소. 나는 빛이 연속적인 파동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산적인 에너지 덩어리인 ‘광양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