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어떤 모양도 단번에 나눈다!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있어도 직선 하나로 2등분할 수 있다. 이렇게 유용한 햄 샌드위치 정리에는 한 가지 맹점이 있다. n차원의 어떤 복잡한 경우에도 반드시 해가 있지만, 그 해를 햄 샌드위치 정리가 찾아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해를 구하는 것은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다른 방법을 통해 계산해야 한다. 맛있는 피자, ... ...
- [천문학자] 다 같이 돌자, 지구 한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이집트에서 잘 보이는 별이 훨씬 북쪽에 있는 다른 지역에서는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알아냈어요. 그리고 이런 일은 땅이 공 모양으로 휘어져야만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죠. 아리스토텔레스는 또 월식이 일어날 때 지구가 달에 드리우는 그림자가 둥근 모양인 걸로 보아 지구가 공 모양일 거라고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속았지? 콜라인 듯 콜라 아닌 비밀 간식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녹아서 액체가 됩니다. 그 이유는 초콜릿의 재료인 코코아버터 등 지방 성분의 녹는점이 상온보다는 높고 체온보다는 낮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초콜릿은 금속이나 유리 등 다른 재료에 비해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모양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런 특징 덕분에 초콜릿으로 콜라 페트병뿐 아니라 원하는 ... ...
- [아하! 만들기] 빙글빙글~ 조이트로프 애니메이션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주변의 음료수 캔, 빨대, 고체 풀 등이 원기둥 모양이지요. 원의 특징은 둘레 위의 어느 점이라도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는 거예요. 조이트로프를 위에서 보면 독수리 그림들도 모두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지요. 그래서 조이트로프를 빠르게 돌리면 독수리 그림들이 ... ...
- [특별기획] 중요한 일은 표면에서 일어난다 '금속 표면처리'과학동아 l2024년 01호
- 6가 크롬과 그 화합물이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Group 1)’이라는 점이다. 6가 크롬은 주로 호흡기를 통해 체내로 들어가 폐암과 부비동암을 일으킨다. 크롬 도금이 사실상 산업의 거의 전 영역에서 활용되는 이상, 6가 크롬 도금을 대신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그 대안의 ... ...
- 행복과 경제가 보인다! 냠냠 지수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다음소프트(현 바이브컴퍼니)는 SNS에 치킨이 언급될 때마다 연관어로 행복이 따라온다는 점을 발견했다. 다음소프트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6년 초까지 SNS 언급량을 보면 치킨(1370만 4924회)은 피자(793만 2356회)나 삼겹살(171만 9997회)보다 훨씬 많았다. 같은 기간 ‘행복하다’, ... ...
- [SF 소설] 타디그레이드 피플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선’과 기계도 75%인 사이보그 ‘미아’라는 서로 전혀 다른 존재가 주인공이라는 점이 특별해보여요. 저는 결핍이 있는 등장인물들이 서로의 결핍을 퍼즐처럼 싹 맞춰주는 것을 좋아해요. 소설에서 선은 사회적으로 보기에 결핍이 있는 아이이고, 미아는 겉으로는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 사실은 ... ...
- 기상청 취재기, 예보관의 하루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정확하게 해석해야 해서 심적 부담감이 커요. 예를 들면, 레이더 관측에서 에코●가 작은 점 하나였는데, 1~2시간 만에 폭발적으로 발생해 강수가 큰 피해를 주기도 하고, 이슬비처럼 살짝 내리다 그치기도 해요. 관측과 수치모델을 두루 살피면서 오차는 없는지, 오차가 있다면 어떻게 날씨가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여행을 떠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제작해 유튜브 채널에 올리고 있답니다. 로블록스가 제페토 등의 다른 메타버스와 다른 점은 게임을 직접 만들고 쉽게 공유할 수 있다는 거예요. 예를 들어 마인크래프트는 로블록스와 마찬가지로 블록을 쌓아 건물을 만들고 탐험하며 게임을 즐길 수 있지만, 다른 이용자가 만든 맵을 체험하거나 ... ...
- 알쏠달쏭 연상퀴즈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알면 100점! 수는 사물을 세거나 헤아린 양 또는 크기, 순서를 말해요.숫자는 수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기호예요. 0, 1, 2, 3, 4, 5, 6, 7, 8, 9로 쓰지요. 수를 셀 때는 하나씩 세거나, 몇 개씩 뛰어 세거나, 몇 개씩 묶어 셀 수 있어요.특히, 10개씩 묶어 세는 방법이 가장 편리하지요. 10개씩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