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편
폐허
유적
부스러기
표적물
형체
d라이브러리
"
잔해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에 '운석우'가 떨어진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운석 조각 수는 53개로 크기는 0.5~1cm로 작으며 10% 정도의 금속을 함유한 석질 운석의
잔해
로 확인되고 있다. 과학자들은 호수 아래에서 더 큰 파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있지만 지금까진 소득이 없다.환경단체인 그린피스는 “러시아가 체르노빌 원전 폭발과 유사한 참사를 기적적으로 ... ...
한국형 발사체와 은하 3호는 이란성 쌍둥이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저장성 추진제는 사용은 편리하지만 독성이 커서 환경오염의 우려가 높다.은하3호
잔해
조사를 통해 국내외 전문가들은 스커드 미사일에 사용하던 적연질산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발표했지만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 적연질산은 연소과정에서 붉은 연기를 발생시킨다. 은하 2호의 발사과정을 ... ...
유물위성
과학동아
l
2013년 03호
레이더로 확인할 수 있을만큼 큰 것만 쳐도 8000개가 넘는답니다. 네, 대부분 우주선의
잔해
들이죠. 인공위성이나 발사체 같은 데서 떨어져 나온 것들. 자연상태의 파편들이 위성궤도를 돌기는 쉽지 않으니까요. 그러니 이 파편들이 거의 위성에 맞먹는 속도로 궤도를 돌고 있는 것도 전혀 이상하지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있다.지난해 10월 아슈토시 삭세나 코넬대 컴퓨터사이언스과 교수팀은 숲이나 터널, 건물
잔해
등 다양한 장애물을 스스로 피하는 비행로봇을 개발해 공개했다. 삭세나 교수팀은 비디오 카메라와 3D 카메라를 응용해 스스로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비행체를 고안했다. 연구팀이 만든 소프트웨어는 ... ...
카알과 주울의 엉뚱기발한 에너지 어드벤쳐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4호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화석연료는 아주 먼 옛날 지구에 살았던 동식물의
잔해
다. 오랜 시간에 걸쳐 온도와 압력의 변화로 화석처럼 변한 것이다. 그런데 왜 화석연료는 바이오에너지라고 부르지 않을까? 왜냐하면 화석연료는 생물체를 연료로 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화석연료를 태우면 ... ...
장애물 스스로 피하는 비행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수 있다.아슈토시 삭세나 코넬대 컴퓨터사이언스 교수 연구팀은 숲이나 터널, 건물
잔해
등 다양한 장애물을 스스로 피하는 비행로봇을 개발, 연구 결과를 지난 10월에 열린 지능형로봇시스템국제콘퍼런스에서 공개했다.소규모 비행로봇은 이미 대중화됐다. 그러나 벽이나 나뭇가지에 부딪치지 않게 ... ...
별빛이 폭포수가 되어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별명이 붙은 초신성 폭발 흔적이다. 초신성 폭발은 수천 년 전 일어났지만 가스
잔해
는 여전히 밖을 향해 팽창하고 있고, 마치 구름과 같은 구조물을 이루고 있다. 색이 조금 이상한 것은 좁은 영역의 파장을 이용해 촬영했기 때문이다. ‘먼 우주’ 부문 추천작.원제 마녀의 빗자루 NGC 6960 | 로버트 ... ...
백색왜성 짝이 만든 우주 표준 촛불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데 동의한다. 백색왜성은 질량이 작아 폭발을 일으키지 못하고 최후를 맞은 별의
잔해
다. 만약 한 백색왜성이 짝을 이루고 있는 다른 별(동반성)로부터 질량을 빼앗아와 점점 무거워지다가 질량이 한계를 넘어서면 핵융합이 일어나 초신성이 된다. 이 순간의 질량이 똑같기 때문에 밝기는 항상 같다 ... ...
우주에서도 생명체 생길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실험에 쓴 물질은 PAH라는 탄소가 풍부한 분자다. 재나 검댕처럼 물질이 불에 타고 남은
잔해
에 많이 들어 있으며, 혜성이나 소행성에도 있다. 스피처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 먼 별 주위에 있는 가스원반에도 PAH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연구팀은 먼저 절대온도 5도(약 영하 268℃)의 우주 공간을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파괴되었고, 4~5척의 거북선도 이 때 모두 바다에 가라앉았어요. 학자들은 만약 거북선의
잔해
가 남아 있다면 칠천량 바닷속 어딘가에 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어요.나무배가 물 속에 남아 있을 수 있을까?나무로 만든 거북선이 과연 4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썩어 없어지지 않을 수 있을까요? 만약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