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애
자비
자혜
인후
친절
유전인자
다정
d라이브러리
"
인자
"(으)로 총 622건 검색되었습니다.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않죠. 월급 받지 않아도 상관없어요. 이거 총장님이 보면 안되는데(웃음). 자기 분야에서 1
인자
가 되려면 다른 사람들이 우르르 몰리는 데 가지 마세요. 자기만의 아이디어를 갖고 일하면 1등이 될 수 있죠. 온리 원(Only One)이 넘버 원(Number One)이 돼요.”마지막으로 홍 교수에게 로봇의 미래를 물었다 ... ...
"퍼즐 효과, 그 진실을 파헤쳤어요!"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보내주셨죠. 이에 수학동아가 지난 10월 5일 장성초등학교가 있는 대구로 향했습니다.
인자
한 미소가 인상적인 이규방 교장 선생님과 서지수 선생님께서 기자를 반갑게 맞아 주셨습니다. 이규방 교장 선생님은“2006년부터 대구지역‘모델학교 숲’으로 선정돼 학교에서 아름다운 숲을 꾸몄고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더 빨리 자라고 그 수도 많다. 암세포는 스스로 돌연변이를 일으켜 성장을 억제하는
인자
를 없애고 성장을 유도하는 물질을 많이 생산해 낸다. 특히 DNA를 합성하는 효소인 ‘티미딘 키나아제(TK)’라는 효소를 많이 만든다. 암세포 뿐 아니라 백시니아 바이러스도 DNA를 합성할 때 이 효소를 쓴다 ... ...
통증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위험한 동현은 운명처럼 서로를 사랑하게 된다. (우) 혈우병 환자는 주기적으로 응고
인자
를 넣은 주사를 맞는다. 지혈 시스템을 정상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해서다.]혈우병 환자 오래 살 수 있다주연부터 조연, 심지어 단역배우까지 모든 배우가 열연한 덕분에 영화는 시작부터 관객의 몰입을 ... ...
죽은 세포 되살리는 기적의 주사?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다음 약물을 주입하면 된다. 약물에 포함된 중간엽줄기세포가 심근을 보호하는 생리활성
인자
를 분비하고, 세포를 재생시켜 혈관과 심장 근육을 되살린다. 회사 관계자들은 심근경색 환자에게 이 치료제를 주입하면 손상된 조직이 일부 되살아나면서 심장이 수축하는 정도가 평균 5.9% 씩 높아지는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시간이 지난 후 발암성이 문제 됐다. 휴대전화 전자파도 시간이 더 지난 후에 발암
인자
로 밝혀질 수 있다. 특히 뇌종양은 잠복기간이 15~30년 정도로 길기 때문에 더 오랜 연구가 필요하다. 김덕원 연세대 의대 교수는 “최근에는 무선 인터넷이 안 되는 장소가 없을 정도로 광범위하게 전자파에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바이러스에 반응하는 여러 단백질 가운데 하나로 존재를 드러냈던 p53은 1989년 암 억제
인자
라는 실체가 밝혀진 뒤 생명과학에서 가장 유명한 분자가 됐다. 앞으로 p53 연구가 인류의 암 정복 여정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지켜볼 일이다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스탠퍼드대 마리우스 베르니히 교수팀은 신경세포의 발생이나 기능에 관여하는 전사
인자
의 유전자 가운데 19개를 추린 뒤 이 유전자들을 섬유아세포에 넣어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지켜봤다. 그 결과 세포의 형태가 바뀌면서 신경세포처럼 변했다. 연구팀은 집어넣는 유전자의 숫자를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3~6년으로, 일 년에 보통 13~18㎝가 자란다. 이 때 먹는 음식이나 호르몬, 나이, 계절, 유전
인자
등에 따라 사람마다 자라는 길이와 속도가 다르다. 또 머리숱은 보통 10만~15만 개 정도로, 그 중 85~90%가 계속 자라고 있는 성장기에 있다.용산대학교 김범준(피부과)교수는 “모발의 성장주기는 개인차가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게링 박사는 이 부분을 ‘호메오박스(homeobox)’라고 명명했다. 그뒤 호메오단백질(전사
인자
)에서 표적이 되는 유전자의 DNA에 달라붙는 부분이 바로 호메오박스가 지정하는 호메오영역(homeo domain)라는 사실이 밝혀졌다.이 발견을 다룬 논문은 1984년 3월 29일자 ‘네이처’에 실렸는데 여기에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