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DVD 복제는 안 돼! 불법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한 수학자로, 중성자가 원자핵과 충돌하는 과정을 수학을 이용해 연구했다. 이날 울람은 잠을 쫓기 위해 격자 칸에 수를 적기 시작했다. 가운데 칸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나선을 그리며 수를 적었는데, 신기하게도 소수가 대각선에 몰려 있었다. 이렇게 나타난 ... ...
- RSA 암호의 핵심 원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예로 11과 19)를 암호를 푸는 비밀키로 이용하고 두 소수를 곱해서 나온 수(209)를 공개키로 이용한다. 그러면 비밀키에서 공개키를 구하는 건 쉽지만, 공개키에서 비밀키를 구하는 건 어려운 일방향성이 생긴다. 물론 실제 RSA 암호에서는 조금 더 어려운 계산을 한다. 공개키 암호시스템은 키 관리의 ... ...
- [그래픽] 천공카드부터 DNA까지, 메모리의 진화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정보를 인코딩한다.➂ 인코딩한 염기서열대로 DNA를 만든다.➃ 만든 DNA를 박테리아를 이용해 복제해 양을 증폭한다. 데이터의 안정성을 위한 조치다.➄ DNA를 건조해 산소와 닿지 않게 밀봉 보관한다.➅ 정보를 읽을 때는 건조 DNA를 다시 물에 녹여 염기서열을 읽는다.➆ 염기서열을 2진 부호로 ...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덧붙였다. 현재 시장에 출시된 4족보행 로봇은 대부분 깊이를 파악하는 뎁스 카메라를 이용해 장애물을 알아본다. 이 경우, 수풀이나 눈이 쌓인 곳처럼 눈으로 봤을 때는 장애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냥 스쳐 지나가도 되는 구조들도 모두 장애물로 인식하게 된다. 고스트로보틱스 테크놀로지의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추측을 수천 개의 최적화 문제로 바꿨습니다. 그후 최적화 문제의 각 경우를 컴퓨터를 이용해 하나씩 확인했고, 마침내 증명하는 데 성공했죠.” 컴퓨터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이 증명을 받아들이지 않으려는 반응도 있었지만, 결국 7년에 걸친 검토 끝에 헤일즈의 증명은 2005년 수학계 최고의 명망을 ... ...
- 티타임 속 과학 이야기5과학동아 l2024년 02호
- 가득 찬 지름 10cm의 원통에 굵기가 서로 다른 물줄기를 흘려보냈다. 그리고 수중마이크를 이용해 이때 발생하는 소리를 측정하고, 카메라로 물이 떨어질 때 원통 내부의 거품과 유체의 흐름을 촬영했다. 그 결과, 물 속으로 떨어지는 물줄기가 갈라질수록 물이 떨어지는 소리가 더 크다는 사실을 ... ...
- 인간 나이로 몇 살일까?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DNA 메틸화가 일어난 부위와 메틸화 정도를 이용해 생물학적 나이를 추정하는 후성유전학 시계를 개발했다. 그 전까지 노화의 주된 원인이라고 생각하던 텔로미어가 나이와 50%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데 반해, DNA 메틸화는 무려 96%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 ...
- [Rethinking] 제12화. 수학의 본질은 무엇인가?수학동아 l2024년 01호
- 알기 어려워요. 예를 들어 지금의 표기법으로 나타내면 간단한 문제가 그 당시 방법을 이용하면 전혀 간단하지 않을 수 있어요. 굉장히 여러 단계를 거쳐서 복잡하게 해결하지만, 이렇게 했을 때 새롭게 배울 수 있는 것도 있지요. 세 번째 질문 | 나에게 수학이란? 수학자 : ‘수학이란 ... ...
- [메타버스 여행법] 로블록스 여행을 떠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새로운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해야 해요. 하지만 로블록스는 만든 게임을 다른 이용자에게 메신저로 바로 공유할 수 있어서 접근성이 좋습니다. 로블록스는 캐릭터를 꾸미는 방법도 마인크래프트와 달라요. 마인크래프트는 개성 있는 캐릭터가 많지만, 캐릭터를 꾸미려면 캐릭터 위에 직접 픽셀로 ... ...
- 움직이는 만화, 애니메이션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보이게 만드는 기술 또는 그렇게 만든 영화를 말해요. 애니메이션은 ‘잔상효과’를 이용해 탄생했어요. 방금까지 눈으로 보던 사물이 사라져도, 아주 짧은 시간 동안 그 사물의 형태가 눈앞에 희미하게 남는 현상을 말해요. 멈춰있는 그림 여러 장을 1초 안에 연속으로 보여주면, 잔상효과로 인해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