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세대학교
연대
연세대학
d라이브러리
"
연세대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화합의 길로 갈 수 밖에 없다. 평생 미생물과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저자인 김응빈
연세대
생명과학부 교수는 책을 통해 미생물에 대한 오해를 풀고, 함께 사는 즐거움을 찾아보라고 말한다. 다만 미생물도 좋은 미생물과 나쁜 미생물이 있다. 나쁜 미생물도 천성부터 못돼먹은 놈은 아니다. 책의 ... ...
중·고등학생 대상
연세대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
[인터뷰]
연세대
입학처장 엄태호 “다양한 인재에게 고른 기회 준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과학공학인재계열을 통합해서 선발할 방침이다.
연세대
서류평가 4대 요소
연세대
서류평가의 요소는 크게 네 가지로, ‘학업역량’과 ‘전공적합성’ ‘발전가능성’ 그리고 ‘인성’이다. 엄 입학처장은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부분을 따로 정해 두지는 않았고, 모든 항목을 종합적으로 ... ...
[이투스교육]
연세대
논술전형 분석 및 대비전략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논술고사는 평상시 수능 학습과 병행해 대비하는 것도 가능한 것이 사실이다. 이는
연세대
논술도 마찬가지다. 실제 합격자 점수는 2016학년도 평균 60점대에서 2017학년도에는 평균 70점대로 상승했다. 또한 실제 수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2018학년도에도 문제의 난이도가 많이 낮아져서 그 보다 더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RC(Residential College) 프로그램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세대
는 모든 신입생들이 1년간 인천 송도에 위치한 국제캠퍼스에서 기숙사 생활을 하며 수업을 듣고 공동체 생활을 하는 RC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RC 프로그램은 미국 하버드대와 예일대 등 세계 유수의 명문대들이 ... ...
[Issue] 대륙의 실수? 사실은 전략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명품’이돼‘대륙의일상’으로탈바꿈할지모른다.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
연세대
물리학과박사학위를받고,삼성전자에서 21년간메모리반도체분야 연구개발에참여했다.상무로퇴직한뒤연구자로서의꿈을펼치기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향했다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많이 들어오는 등 가혹한 환경에서는 안전 장비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김시호
연세대
글로벌융합공학부 교수는 “여러 극한 상황을 극복 할 수 있는 안전 장비와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며 “이들 기술이 안정적인 수준에 이르러야 완전한 의미의 레벨3 자율주행자동차가 가능하다”고 ... ...
Part 3. 자율주행자동차, 법으로 본 3대 이슈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대비해야 자율주행 기술이 가져올 장밋빛 미래를 온전히 누릴 수 있다. ※ 이승준
연세대
에서 법학 박사학위를 받고, 독일 베를린자유대에서 연구했다. 현재 충북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형사법전문가로 의료, 자율주행자동차 영역에 관심을 두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200MB에 해당하는 DNA를 합성하기 위해서는 약 80만 달러(약 9억 원)가 든다. 방두희
연세대
화학과 교수는 “DNA 시퀀싱(염기서열 분석) 기술도 처음에는 100억 원을 웃돌며 비용 문제로 경쟁력이 없다고 평가 받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비용이 점점 낮아져 2012년에는 1000만 원대로 떨어졌다”며 “DNA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2030’이라는 창을 통해 예측할 수 있는 중국의 미래다. 정홍식_hongsikjeong@tsinghua.edu.cn
연세대
물리학과 박사학위를 받고, 삼성전자에서 21년간 메모리반도체 분야연구 개발에 참여했다. 상무로 퇴직한 뒤 연구자로서의 꿈을 펼치기 위해 2016년 9월 중국으로 향했다. 현재 중국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