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울"(으)로 총 7,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체스 마스터] 대각선 끝까지 장악하라! 비숍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먼 곳을 공격하면서, 동시에 가까이에 있는 우리 팀 기물을 수비할 수 있답니다. 박인찬 (서울 목동중 2학년 유소년 체스 국가대표) 2022년 전국 유소년 체스 선수권 대회 U14 부문(만 14세 이하 남자)에서 1위를 했어요. 2023년에는 전국 유소년 체스 선수권 대회에서 전체 1위로 우리나라의 유소년 ... ...
- [기획] 비상! 대량발생 '동양하루살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가로등을 집어삼킨 하루살이 떼의 모습입니다. 이런 모습을 본 적이 있나요? 오뉴월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하루살이 때문에 불편을 호소하는 시민들의 목소리가 반복되고 있어요. 벌레들의 대량발생, 과연 원인이 무엇일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비상! 대량발생 '동양하루살이'Part1. ... ...
- [기획] 불빛에 몰려드는 벌레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만나는 곳에서 주로 일어납니다. 이 때문에 서식지 근방에 있는 경기도 남양주시나 서울 성동구, 송파구에서는 동양하루살이를 흔히 볼 수 있지요. 동양하루살이는 더 빨리, 더 많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남양주보건소는 “대량발생이 올해 3월 처음 신고되어 5월까지 총 40건의 신고가 들어왔다”고 ... ...
- [기획] 벌레들의 대량발생 방제보단 공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나면, 없애려고 하는 곤충들뿐 아니라 함께 살던 다른 생물들까지 죽을 수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신승관 교수는 “현재 산 등에 실시하는 방제는 천적을 같이 없애거나 약품에 내성을 키울 수 있다”며 “결국엔 생태계를 교란시켜 또다른 곤충의 대량발생을 일으킬 것”이라고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친해지길 바라~! 분수나라와 소수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어느 먼 우주, 드넓은 원 모양의 세상에 ‘분수족’과 ‘소수족’이 살고 있었습니다. 두 민족은 세상을 절반으로 갈라 한쪽에 ‘분수나라’를, 반대쪽엔 ‘소수나라’를 세웠지요. 그러나 분수족과 소수족은 서로 문화가 달라 사이가 좋지 않았어요. 만나기만 하면 아웅다웅, 서로 으스대고 상대 ... ...
- 타임지 선정 현존하는 최고 물리학자, 수학과 물리학의 교차로 놓은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지난 10월 에드워드 위튼 미국 고등연구소 명예교수가 ‘2023년 이휘소상’ 수상을 기념해 우리나라에 방문했습니다. 이휘소상은 이론물리학에 큰 공헌을 한 한국계 미국 물리학자 이휘소의 이름을 딴 학술상으로, ‘아시아 태평양 이론물리센터’에서 뛰어난 업적을 세운 물리학자에게 수여해요. ... ...
- 공정하다는 착각! 동전 던지기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앞면이냐 뒷면이냐! 온전히 운에 맡긴 결정을 하고 싶을 때 우린 ‘동전 던지기’를 한다. 어떠한 편견도 실력도 꼼수도 통하지 않는 공정한 의사 결정 방식이란 믿음 때문이다. 하지만 지난 10월 전 세계 48명이 무려 35만 757번이나 동전을 던져 이 믿음을 깨버리는 연구 결과를 논문 공개 사이트 ...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정말 무작위한지, 나아가 무작위하다는 것은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볼 수 있다. 서인석 서울대학교 수리과학부 교수는 “학생들이 자주 사용하는 스마트폰 룰렛 돌리기, 노래 셔플 재생 등은 컴퓨터가 무작위적인 결과를 도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뒤엔 원리가 있어서 완벽히 무작위하다고 보기 ... ...
- 사소한 것도 놓치지 않다! 발명 인재의 번뜩이는 아이디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발명을 두려워하지 않고, 일단 시도해보는 것의 중요성을 전했습니다. 한도하 서울대치초등학교 4학년 학생은 2023년 2월 6일 튀르키예 지진을 다룬 뉴스를 보고 구조대원의 발밑이 보이는 ‘구조용 들것’을 고안했어요. 그는 “지진 상황도 끔찍했지만, 구조대원들의 위태로운 모습이 먼저 눈에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본사에서 만난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은 젠톡 서비스의 취지를 이렇게 밝혔다. 서 회장은 서울대 의대 교수 시절, 한국인 유전체 ‘AK1’ 분석 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하는 등 한국인 유전체 연구의 기틀을 닦아왔다. 그가 만든 생명공학 기업인 마크로젠은 전 세계에서 보내온 유전체 시료를 분석하며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