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삽입"(으)로 총 64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드물기 때문이다. 또 컴파일러 하나로 여러 소스 코드를 변환하기 때문에, 백도어가 삽입되도록 만들어진 컴파일러가 변환한 모든 프로그램에는 백도어가 숨어 들어간다. 김승주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는 이를 무선공유기를 해킹하는 것에 비유했다. 무선공유기 하나를 해킹함으로써 공유기에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개발했다. 지름 8mm의 투명한 렌즈이며, 가장자리를 둘러싼 1.17mm 두께의 고리 안에 삽입된 작은 알루미늄 거울이 눈으로 들어오는 빛을 4배 늘려준다. 회사는 건강한 시력(좌우 1.0)의 3배까지 구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아직 동물실험조차 진행되지 않은 상태이며, 인위적으로 많은 양의 빛을 ... ...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계의 인간화가 아닌, ‘인간의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 신체는 기술적 산물을 삽입할 ‘플랫폼’으로 간주된다. 인공 망막과 전자 의수, 인공 장기에 이르기까지 전 신체는 설계 가능한 대상으로 변했다. 질병과 장애, 노화에 대한 우리의 대처는 치료가 아닌 대체와 강화로 바뀌었으며,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및 근육 개발), 최영진 한양대 전자공학부 교수(인공 골격 및 관절 개발)가 선정됐고, 삽입형 인터페이스 개발을 위한 마지막 연구팀이 추가로 선정될 예정이다. 신경 다발에 직접 전극을 꽂아 넣기 위한 수술이 동반되는 만큼, 다수의 의료진도 연구단에 포함됐다.오 박사는 KAIST ... ...
- [과학뉴스] 피부에 넣은 태양전지로 전기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성공해 ‘어드밴스드 헬스케어 머티리얼스’ 5월 4일자에 발표했다. 심박조율기 등 체내 삽입형 의료기구에 연결하면 주기적으로 전지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을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연구팀은 6~7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6m) 두께의 얇은 태양전지 기판을 유연한 필름 위에 붙인 뒤, 투명하고 생체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훨씬 성능이 좋은 압전소자가 이미 개발돼 있지만, 납 성분이 들어 있어서 귀에 삽입할 수 없다”며 “기존 소자와 성능이 유사하면서도 인체 친화적인 새로운 소자를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탐사계획에 관련된 영어 문서였는데, 단순 키보드 작업 외에도 마우스를 이용해 그림을 삽입하고 표를 그려야 했다. 실제로 사무직들이 작업할 만한 문서였다. 다음으로 등받이 의자에 앉아서, 다음은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서 문서 작업을 한다. 자세를 바꿔가며 두 시간 가량을 작업했다. 그동안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박테리아에서 분리한 뒤 조각들을 연결해 새로운 바이러스 유전체를 만들어 세포에 삽입한다. 실험이 문제 없이 잘 진행된다면 세포는 새로운 바이러스 유전자, 즉 변종 H5N1을 만들기 시작할 것이다. 블랙 바이오해커 손에 변종 바이러스가 들어가면?물론 연구자들이 바이러스를 합성하는 이유는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포항 가속기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친구들이 궁금해 한 것은 바로 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핵심 기술인 삽입장치였어요. 삽입장치는 전자가 약 780m를 이동하며 모은 에너지를 엑스선으로 바꾸는 장치예요. 특히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이곳을 거치며 전자에서 나온 빛이 모두 같은 모양으로 정렬된다고 해요. 그러면 빛을 한곳에 ...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카츠 교수의 ‘에두니아(➋)’. 꽃 ‘페튜니아’의 유전자에 자신의 유전자를 삽입했다.카츠 교수는 자신의 이름(에두-)과 페튜니아(-니아)의 이름을 합쳐 에두니아라고 이름을 지었다. 붉은 잎맥이 마치 카츠 교수의 혈액인 것만 같다. ➊번은 2009년 에두니아를 전시한 모습이다. 합성생물의 가장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