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족"(으)로 총 4,210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AI 기자와 기사를 써봤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3년에 출판된 ‘The impact of sleep deprivation on food desire in the human brain’이라는 논문에서는 잠 부족이 식욕을 조절하는 뇌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험 결과, 잠을 충분히 자지 못한 사람들은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는 반면, 고칼로리 음식의 맛을 ...
- [과동키즈] 누구나 자신만의 북극성이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내보내는, 에어컨의 실외기와 비슷한 설비. 엔젤투자자 : 기술력은 있으나 창업 자금이 부족한 초기 단계의 벤처기업에 투자해 첨단산업을 육성하는 개인 투자자 ... ...
- [이달의 책] 사랑 없는 미래에서 상상한 인간의 조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엄청난 시련을 던지며 그 상상력을 발휘한다. 바로 세계적인 식량 부족 사태다. 식량 부족은 세계의 일부 지역에선 여전히 가장 급한 문제이지만, 한국에선 그 정도로 심각하지 않다. 단순히 상상력의 규모를 넓히기 위해서가 아니라, 이 식량 문제를 해결할 기술에 대한 절박함부터 독자들에게 ... ...
- 질문하면 답해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골고루 분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체 지구의 평균 기온 값을 낸다면 관측소가 부족한 곳의 기온 값은 덜 반영되고, 관측소가 많은 지역은 가중치가 크게 반영되겠죠. 그래서 과학자들은 지구를 수천 개의 격자로 나눈 뒤 관측 자료가 없는 격자에는 실제로 관측한 값이 아니라 추정한 기온 값을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NASA 대신 화성을 테라포밍함, TERRAFOMERS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화성이 너무 추워? 화성에 화산 활동을 일으켜서 대기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자! 물이 부족해? 그러면 토성의 고리나 위성 엔켈라두스에서 얼음을 떼와! 산소가 희박하다고? 유전자 조작한 남조류를 퍼뜨려! 한 편의 SF소설을 읽는 듯한 경이로운 기분입니다. 개발과 보존 사이에서 찾게 될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다. 참가자들은 다양한 이유로 중도 포기를 외쳤다. 10대는 끈기가 부족했고, 2, 30대는 생각이 너무 많았으며, 그 뒤부터는 각종 질병과 체력적 한계, 가족 간의 타협 등등의 다채로운 이유로 중도 포기했다. 그러니 최고령 참가자인 제니가 최종 선발대에 오른 것이 ‘할머니의 ... ...
- 약 한 알 먹으면 집중력이 쑥쑥? ‘공부 잘 하는 약’의 진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ADHD(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를 앓고 있다고 밝히는 일이 잦습니다. ADHD는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질환을 말합니다. ADHD는 더이상 낯설기만 한 질병이 아닙니다. 인터넷에선 성인ADHD 자가진단 체크리스트를 손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어떤 일의 어려운 부분은 ... ...
- [기획]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되는 걸까요? 2022년 12월 12일, 가천대학교 길병원은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인력이 부족해 입원 진료가 어렵다며, 한 달간 소아청소년 입원 진료를 중단했어요. 최근 진행된 2023년도 전반기 전공의 모집에선 총 2207명 중 소아청소년과를 희망한 의사는 33명에 불과했습니다. 전체 진료과목 중 가장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호기심에는 나이도, 종도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진행 중이다. 행동을 관찰하는 것만으로 호기심인지 아닌지 결론을 내리기엔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지과학 연구자들은 문답형 설문을 추가해서 결과의 신빙성을 확보한다. 2009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연구팀이 진행한 호기심 실험을 예로 들어보자. 캘리포니아공대 연구팀은 20대 ... ...
- [SF소설] 브레인 크런치 : AI 시대에서 인간이 살아남는 법과학동아 l2023년 05호
- “그러나 우리는 그곳에서 인간의 위대함을 보았습니다. 다섯 뇌가 한데 모이며 서로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기 시작했습니다. 갈등은 산재해있었습니다. 서로 살아온 배경과 문화가 달랐지만 우리는 인간이라는 가장 큰 공통점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계속해서 인간과 생명체, 우주와 세상에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