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대한"(으)로 총 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런 특이 사항이 발견될 때마다 그래프 옆 타임라인에 메모를 해둔다”며 “나중에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할 때 참고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며 타임라인을 보여줬다. ‘KORUS-AQ 네 번째 비행 오전 10:04:23 – 서울 상공의 가장 낮은 고도에서 이산화탄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기 성분의 ... ...
- [Career] “ 새로운 빅데이터 처리 시스템, 제가 만들죠”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가장 화제였지만, 이런 학습속도를 달성하기 위해선 그전에 이뤄져야 할 것이 있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데이터집약형 컴퓨팅(Data-intensive Computing)이다.컴퓨터가 등장한 이후, 점점 더 큰 용량을 처리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수가 됐다. 현재 ‘대세’가 된 빅데이터 또한 데이터 ... ...
- [Knowledge] ‘과학계의 대나무숲’ 브릭, 스무 살 맞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외에도 학회나 세미나의 VOD, 실험 Q&A, 설문조사, 생물종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이 있다.방대한 정보량과 회원수를 떠나서 20년째 계속 운영해왔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놀라운 일이다. 1996년이면 국내에 웹이 막 보급되기 시작하던 시기다. 그때부터 지금까지 계속 운영된 웹사이트는 국내에 거의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세간을 내다버렸고, 그 전에도 하루 종일 탄소발자국을 세고 앉아 있거나 GMO 사용 식품의 방대한 목록을 만들어 외우고 네트워크에 뜬 불매 운동 권유를 모조리 실천에 옮겨서 거의 모든 생필품을 해외 직구에 의존하는 짓들을 벌여온 누나이니그럴 만도 하다고 생각할 수 있겠지만, 그래도, 아니,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대전에서 열리는 LSST 국제학회를 준비하는 신민수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LSST의 방대한 데이터 광산에서 유용한 정보만을 캐내기 위해선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강조했다.가장 간단한 기계학습은 천문학자들이 학습 가능한 자료와 기본적인 학습 방법을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한다. 예컨대 몇 개의 층으로 신경망을 구성할지, 각 층의 적당한 크기는 얼마인지, 방대한 데이터를 어떤 순서로 학습시킬지, 얼마나 오랫동안 할 것인지 등 인간이 결정해줘야 할 것이 너무나도 많다. 선택의 분기점에서 다른 방법을 사용했을 때 최종적으로 어떤 결과물이 나올지 예상하기는 무척 ... ...
- [수학뉴스] ‘지프의 법칙’ 얼마나 맞을까?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나오는 단어만 조사할 경우 법칙이 맞을 확률은 더 높아졌습니다.연구진은 빅데이터와 방대한 컴퓨터 연산의 시대에 살면서 앞으로 지프의 법칙을 분석하는 데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플로스원 1월 22일자에 실렸습니다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패턴을 학습했다.딥러닝은 ‘기계학습’의 방법 중 하나다. 기계학습이란 컴퓨터에게 방대한 데이터를 주고 스스로 일반적인 패턴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 딥러닝은 데이터만 넣어주면 알아서 각각의 중요한 특징을 찾아 스스로 학습한다. 알파고를 개발한 구글의 인공지능 개발사 ‘딥마인드’의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불가능하다.그렇다고 인간이 이대로 주저앉지는 않을 것이다. 사실 인간의 직관이 방대한 데이터에 의해 무너진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데이터가 잘못된 직관을 바로 잡아 그 분야를 발전시키기도 했고, 기존의 직관을 데이터가 증명해 더 발전된 새로운 논의를 이끌어내기도 했다. 전자의 ... ...
- [News & Issue] 아홉 번째 행성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자신의 이름을 딴 로웰천문대에서 행성 X가 있을 만한 곳을 샅샅이 뒤졌다. 로웰이 방대한 기록을 남기고 1916년 사망한 뒤에도 행성 X 탐사 프로젝트는 이어졌다. 14년 뒤 24세의 클라이드 톰보가 로웰의 자료를 바탕으로 명왕성을 발견했다.얼핏 보기에 명왕성은 해왕성과 같은 방법으로 찾은 듯하다.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