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사"(으)로 총 2,0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너의 떨림을 내게 보여줘!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레이저를 비춥니다. 랩이 진동하면서 그 위의 거울도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거울에 반사된 레이저는 이에 따라 벽에 독특한 그림을 그립니다. 다양한 주파수의 음을 들려주는 애플리케이션(앱)을 다운로드하면 주파수를 바꿔가며 레이저가 그리는 그림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막내기자는 220Hz ... ...
- [화보]이 밤 끝에 구름 위로 해가 내렸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만들며 ‘하늘의 섬’ 달을 통과하는 보잉 747(4). “비행을 하던 중 북극해의 빙하에 반사되는 북극광 쇼를 7시간 30분 동안본 적이 있다. 믿을 수 없을 정도로 특별한 순간이었다. 미국 시카고에서 알래스카 북쪽을 넘어 중국 정저우까지 비행한 기억도 잊을 수 없다. 15시간 동안 약 1만 1300km를 ... ...
- [한페이지 뉴스] 블랙홀 뒤에서 새어 나온 빛 관찰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추적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추가로 관측된 작은 X선 플레어는 블랙홀의 강착원반 뒤에서 반사돼 방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블랙홀이 공간과 빛, 자기장을 휘어지게 한 덕분에 블랙홀 뒤에서 방출된 광자를 연구팀이 관측할 수 있었던 것이다.윌킨스 연구원은 “몇 년 전부터 일반상대성 이론으로 ... ...
- 탄소중립 달성, 눈속임 넘어 실질 감축 이뤄야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분석했다. OCO-2는 2014년 발사된 최초의 이산화탄소 관측 전용 인공위성이다. 지구에서 반사되는 햇빛이 이산화탄소에 흡수되는 정도를 측정해 이산화탄소 농도를 계산한다.그 결과, 강남구 일대가 탄소 배출량이 높게 나타났다. 강서구는 온실가스 인벤토리 기반 추정치보다 실제 관측치가 더 ... ...
- [통합과학 교과서] 옹당촌에 옹고집이 둘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출력되듯, 감광판에 기준파와 같은 레이저 빛을 쏘면, 새겨진 간섭무늬 모양대로 빛이 반사돼요. 그러면 처음 감광판에 기록된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 물체의 모습이 입체로 나타나요. 1948년에 영국의 물리학자 데니스 가보르는 홀로그램을 만드는 원리를 발견하고, 완전하다는 뜻의 그리스어 ...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1년에 75일(3개 관측소 기준)은 자연우주물체를 관측하는 데 활용된다. 다만 소행성은 표면반사율이 매우 낮아 크기가 작은 경우 지상에 설치된 광학망원경으로 감시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를 보완하고자 NASA에서 운영하는 적외선 우주망원경 ‘NEOWISE’ 등으로 관측한 자료를 활용하기도 한다. 김 ... ...
- [화보] 꽃과 나무가 전부 이 안에! 현미경으로 본 자생씨앗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눈에 보이는 빛이 아니라 전자를 이용해요. 씨앗의 표면을 금 성분으로 코팅해 전자가 반사되도록 만든 뒤 아주 가느다란 전자 빔을 쐈어요. 이렇게 하면 씨앗에 매달린 수염 같은 털 가닥까지 볼 수 있지요. 다만 흑백 사진처럼 보이기 때문에 여기에 씨앗의 원래 색깔이나 자라서 꽃이 됐을 때의 ... ...
- [질문하면 답해 ZOOM!] 왜 딸꾹질을 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파장과 파란 파장을 이용하지만, 초록 파장은 받아들이지 않아요. 엽록소가 초록빛만 반사하니, 식물이 초록색으로 보이는 거죠. 하지만 일부 바다 식물이나 미생물은 초록색 빛도 흡수해요. 빛이 부족한 환경에서 최대한 많은 빛을 흡수하기 위해서예요. 그렇다고 땅 위 식물에게 초록빛이 필요 ... ...
- [논문탐독] 카메라 단 한 대로 보행자 찾는 자율주행과학동아 l2021년 07호
- 파악합니다.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라이다(LiDAR)’는 레이저가 물체에 반사돼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물체의 위치를 계산합니다. 학교에서 로봇 만들기 실습을 할 때 사용하는 초음파 센서와 비슷한 원리입니다.스테레오 카메라와 라이다는 모두 현재 자율주행 구현을 위해 널리 ... ...
- [통합과학 교과서] 심봉사, 다시 눈이 나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열을 받은 메타 렌즈 표면의 분자 구조가 바뀌며 통과하던 빛을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 반사해 더 멀리 있는 물체에 초점을 맞춘 거예요. 연구를 이끈 티안구 연구원은 “이 메타 렌즈는 스마트폰이나 드론 등 다양한 곳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에필로그“답은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