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테리아"(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애벌레들을 대량으로 사육해야 할까. 그렇지는 않다. 애벌레로부터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박테리아나 효소를 찾아내고, 이를 대량 생산 한다면 산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2016년 5월 23일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제2차 UN 환경총회에서는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보고서가 발표됐다. 보고서에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말했다. 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한국에서 가장 많이 나온 카바페넴 내성 슈퍼박테리아인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 등을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는 물질을 찾는 중이다.‘무기 수입’도 ‘무기 개발’도 어렵다면 ‘방패’라도 잘 간수해야 한다. 불필요한 항생제 사용을 줄이는 게 대표적인 ... ...
- [과학뉴스] 마스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분류되는 PM2.5는 지름 2.5μm 이하인 먼지를 일컫습니다. KF94와 KF99는 미세먼지보다 작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같은 전염성 질병원도 차단할 수 있습니다 ... ...
- [Interview] “확신과 추진력이 큰 발견의 비결”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업무지원과 관리를 담당하고 있다. 하지만 밤낮없이 일하는 보이틀러와 함께 그 역시 박테리아 배양기를 조절하거나 DNA 서열을 읽는 등 연구를 도왔다. 보이틀러 교수는 “이제 전 세계의 과학자들과 관계를 맺고 질병을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 폭넓은 연구를 펼쳐갈 것”이라고 말했다.◀ 2011년 ... ...
- [Origin] 영국 쿼드람 인스티튜트 바이오사이언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증진할 새로운 식품을 어떻게 만들지, 장내미생물이 건강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식품 속 박테리아가 어떻게 질병을 일으키는지 식품 분야 전반을 폭넓게 다루고 있습니다. 2009년엔 영국 고등교육평가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가 발표하는 농업 및 식품과학 분야 연구기관 순위에서 미국 터프츠대 ...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물곰이 건조 상태를 버틸 수 있게 한다고 추정했다. 건조 상태에서 잘 견디는 효모나 박테리아, 일부 선충 등에서 공통으로 트레할로스가 발견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구팀은 거듭된 실험 끝에 물곰의 몸에서는 트레할로스가 전혀 나오지 않으며, 유전자 분석에서도 이 당을 만드는 유전자를 찾지 ... ...
- [포커스 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5호
- ’ 다. 당시 과학자들은 지름이 500nm, 유전체 염기쌍이 100만 개가 넘는 이 바이러스를 박테리아라고 생각했다. 오스트리아 클로스터노이부르크 지역에 있는 하수처리장.국제공동연구팀은 여기서 찾아낸 거대 바이러스에 클로스노이바이러스라는 이름을 붙였다.국제공동연구팀이 새롭게 발견한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독자적으로 진화 한편 산소를 이용하는 세포호흡은 옥시포토박테리아, 멜라이나박테리아, 세리사이토크로마티아 세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유전자 수평이동(빨간색 화살표)을 통해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과학자들은 그동안 세포호흡이 일부 세균에서, 그것도 제한된 방법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 ...
- [과학뉴스] 봄비가 박테리아 퍼뜨린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강도 조건에서 빗방울 하나는 접촉한 토양 표면의 박테리아 0.01%를 옮겼으며, 운반된 박테리아는 한 시간 이상 살아남았다.연구팀은 논문을 통해 “에어로졸과 결합한 미생물은 기후 변화, 질병 전파, 수질·토양 오염 등 미생물의 지리적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 ...
-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식물이 실시간으로 토양 유해물질을 감시하는 센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전에도 박테리아를 이용하거나, 유전자를 조작해 유해 물질을 감지하는 바이오센서는 있었지만(과학동아 2016년 5월호 특집기사 참조), 확인하는데 수 시간에서 하루가 걸렸다.전광판 대신 빛나는 축구장 잔디 나올까식물을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