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풍
마취
몽혼
몽
무감각
혼수
저림
d라이브러리
"
마비
"(으)로 총 65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속은 문어와 오징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피부나 머리카락에도 들어 있어요. 멜라닌은 천적의 시야를 가릴 뿐만 아니라 후각을
마비
시켜요. 문어는 멜라닌 먹물을 뿜어 천적으로부터 도망칠 시간을 버는 거예요.위장술과 먹물을 쓰고도 천적에게 붙잡혔다면 문어는 마지막으로 ‘들러붙기’ 전략을 써요. 문어의 빨판은 근육으로 둘러싸여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의한 피해도 어마어마하다. 강하 화산재는 지면에 1mm 이상만 쌓여도 도로 교통을
마비
시킨다. 우선 시야 확보가 힘들다. 자동차 헤드라이트도 떨어지는 화산재를 관통하지 못한다. 도로가 미끄러워지면서 조종 장치와 제동 장치가 약화되고, 공기 중의 화산재가 여과기를 통해 엔진으로 들어가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무엇보다 크다. 특히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사망하는 재해가 발생하면 사회의 기능마저
마비
되기 때문에, 이 상황을 누군가는 정리해야 한다. 이 과정의 중심에는 법의인류학자가 있다. 그리고 더 나은 법의인류학자를 만드는 건 데이터다. 우리 나라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 시체농장도 좋고, 뼈대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있는 신경이
마비
되어 경련이 일어나는 거지요.내장 조직을 파괴하고 신경계를 완전히
마비
시켜 먹으면 죽을 수도 있는 독버섯도 있어요. 그 중 대표적인 종류가 광대버섯류예요. 먹으면 구토나 설사가 이어지다가 결국 죽음에 이르게 된답니다. 안전하다고 확인된 식용 버섯만 먹고, 야생에서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접속(BCI)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실험에 참가한 네이선 코플랜드는 불의의 사고로 사지
마비
장애를 갖고 있었다. 연구팀은 그의 뇌에서 손 동작과 감각을 인식하는 부분에 소형 전자장치를 심었다.코플랜드는 자기 의지대로 로봇 팔을 움직였고 로봇 손가락이 사물에 닿을 때마다 촉감을 느꼈다. ... ...
[과학뉴스] 인공지능, 사지
마비
환자를 움직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컵에 물을 따르는 등의 복잡한 동작을 할 수 있었어요. 바우턴 단장은 “이 연구는 신체
마비
로 고통 받는 사람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답니다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compressa)은 바퀴벌레를 잡아먹기 위해 바퀴의 뇌에 독을 주입한다. 몸이 아니라 뇌를
마비
시키는 것이다. 바퀴는 마치 좀비처럼 현재 자신이 처한 처지를 파악하고 적절한 행동을 하는 능력, 즉 의식을 잃어버린채 저항하지 않고 끌려 간다.실제로 최근에 곤충이 의식을 가진 존재라는 연구결과가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덴마크 다큐멘터리 ‘내추럴 디스오더’에는 육체는 병약하지만 지능은 총명한 뇌성
마비
장애인 ‘야코브 노셀’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그는 만나는 사람들에게 묻는다. “정상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화면 속 이들은 당황스러워하며 웃는다. 이 물음에 답하려면 과학적 지식만으론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했지요. 요즘은 게임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가상현실이 이용되고 있어요. 몸이
마비
된 환자가 가상현실 장갑을 끼고 손목을 돌리면 화면 속에 있는 생선이 뒤집어지는 것과 같은 재활 치료에도 가상현실이 쓰이지요. 또 의과 대학 학생들은 가상현실을 이용해 수술 교육을 받기도 한답니다.지구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자신의 몸을 지키기 위해 하얀 독액을 분비한답니다. 이 독액에는 동물의 신경을
마비
시키고 심장을 멈추게 하는 성분이 들어 있어요. 하지만 잘 가공하면 약으로도 쓸 수 있지요. 실제로 우리나라와 중국에서는 예전부터 두꺼비 독을 이용해 심장의 기능을 보완하는 ‘강심제’를 만들어 왔어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