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편
뒤쪽
뒷쪽
후방
뒷방면
뒷편
뒤편짝
d라이브러리
"
뒤편
"(으)로 총 139건 검색되었습니다.
4. 남극연구원의 하루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얼지않는지를 늘 살펴야 한다. 그리고 빼놓을 수 없이 중요한 것은 급수다.기지의
뒤편
산기슭 밑에는 ‘현대소’ 라고 이름붙인 인공호소가 있다. 눈이 녹으면 흘러 내려오는 물을 받아 두는 곳이다. 그러나 겨울이 되면 이 현대소가 얼기 때문에 해수를 뽑아 올려서 염분을 제거하고 용수로 써야 할 ... ...
안드로메다
과학동아
l
1995년 10호
일 수성의 외합. 지난 달 9일, 동방최대이각 위치에 있었던 수성은 태양 주위를 돌아 그
뒤편
에 위치하게 된다.8일 반영식. 달이 지구의 반그림자에 들어가는 현상. 그러나 눈으로 보면 아무 변화도 나타나지 않는다.21일 오리온자리 유성우 극대. 10월 15일부터 29일까지 나타나며 시간당 ... ...
2. 음극선에서 방사선까지, X선 탄생 드라마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방전관속에서 '글로우 광선'(Strahlen des Glimmens)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는 이 광선이 고체
뒤편
에 그림자가 생기게 하는 등 음극에서직선으로 전파된다는 것과, 자장에 의해서 휘어지고 유리에 닿으면 발광을 한다는 것을 관찰했다. 그뒤 플뤼커와 히토르프의 실험을 확인한 독일의 물리학자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팀장으로 범광주팀을 구성, 도시와 근교로 나누어 관측을 실시했다. 도심은 광주역 북쪽
뒤편
에 위치한 전남대 사범대 4호관 옥상에서, 근교는 광주 북쪽 담양군 대전면 대치리에서 관측을 실시했다. 전남대에서 북쪽은 밤하늘 답게 깨끗했으나 남쪽(시가지)은 보기 힘들 정도로 광해가 심했다고 ... ...
파라볼라 안테나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사이의 UHF대 전파다. 이들 주파수는 직진성이 아주 강해서 산이나 건물과 같은 장애물의
뒤편
으로는 거의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방송전파를 보다 효과적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송신안테나를 되도록 높은 산의 꼭대기에 세워야 한다. 그러나 산악이나 구릉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이렇게 해도 ... ...
금세기 최대혜성 오스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오스틴혜성은 황도면의 아래쪽에서 지구와 화성 궤도면 사이로 뚫고 올라와 태양의
뒤편
을 돌아 다시 황도면 아래로 내려가는 포물선 궤도를 갖고 있는 것이다. 포물선 궤도 혜성이면 비주기 혜성으로 다시 되돌아오지 않는다. 첫번이자 마지막 만남이 되는 것이다.태양계 내에서 혜성은 실로 ... ...
방향장치의 혁명 4륜조향 승용차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것이 4WS의 또 하나의 핵심 기술이다. 일반 승용차는 고속도로에서 차선을 바꿀 때 차체
뒤편
을 흔드는 것처럼 옆으로 밀리면서 안정성을 잃는 일이 많지만, 4WS장치를 하면 차선변경이 미끄러지듯 부드럽다. 혼다가 4WS자동차를 위해 개발한 기술은 '타각응동방식'(舵角応動方式). 쉽게 말해 핸들을 ... ...
액정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태양광 등 외광도 사용하고 내부의 형광등도 사용하는 방법이 고안돼졌다. 패널
뒤편
을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하고 형광등은 패널 상부에 배치해 빛을 패널로 유도하는 한편 건전지 내장부분에 반사판을 장착해 외광을 패널로 모이도록 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형광등도 외광도 모두 효율적으로 ... ...
점점 커지고 화려해지는 핼리혜성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변화 모습을 지상에서 관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지구에서 보는 핼리의 위치가 태양
뒤편
에 있기 때문이다.그래도 다행인 것은 핼리혜성의 꼬리가 가장 발달할 때가 태양을 돌아 다시 지구에 접근하는 시기라는 점. 3월 초순이후면 다시 지구상에서 핼리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한데 그때부터 ... ...
이전
10
11
12
13
14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