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체
몸통
몸
중앙부
구간
몸뚱이
유체
d라이브러리
"
동체
"(으)로 총 185건 검색되었습니다.
꼬리 프로펠러 없는 헬리콥터 개발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안전도와 성능이 향상됐을 뿐 아니라 내부진동이나 소음도 적다. 소형 비행기의
동체
좌우에 받침대를 달고, 각 앞부분에 수평으로 로터를 붙인 이륜반전식 헬리콥터가 처음 자유비행에 성공한 것은 1937년의 일이다. 그 뒤 미국의 이고르 시코르스키가 시속 80km의 실용적인 헬리콥터 VS300을 ... ...
(2) 우주탐사 12년 발자취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4시간) 늘렸으며, 지구대기권 재돌입 시 고열(1천3백℃)에 견디기 위해 워터제트를 사용해
동체
표면에 이른바 '물커튼'을 만드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다(여기서 1호 2호라는 호칭은 다른 우주왕복선이 아니라 같은 콜럼비아가 1차 2차 비행을 한 것을 의미함). 2호에서는 현재까지도 우주왕복선의 ... ...
모형비행기로 무인 공중 촬영 성공한 김인봉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모형비행기를 띄우는 것을 보고 부러워했습니다. 그 모형비행기는 원격조종용이 아니고
동체
에 줄을 매달고 띄워 조정하는 것이었는데도 당시는 굉장했습니다."그는 그것이 계기가 돼 자연히 과학에 취미를 느끼게 됐다. 지방에서는 구입해 볼 수 없는 과학잡지를 주문하느라 소액환을 부치러 ... ...
(1) 다목적 임무 수행한다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사용된다.반사력 제어 시스템도 역시
동체
뒷부분의 덮개 안에 배치돼 있는데 이외에도
동체
앞기수쪽에 한세트가 배치돼 있다. 이 시스템은 우주왕복선의 자세 제어에 사용되며 랑데부와 도킹 및 궤도 변형 때 사용된다.우주왕복선의 자세한 구조는 다음페이지의 그림을 참조하기 바란다 ... ...
F-16·F/A-18 성능비교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실용기는 없었는데, 지상의 이물질을 흡입하는 등의 불안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동체
밑의 공기흡입구는 큰 영각비상이나 옆으로 미끄러질 때에 안정된 기류를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이 부각됐다. 실제로 F-16에서 이러한 점이 증명된 뒤 이는 기동성 높은 전투기의 표준적 설계가 되었다.양산 ... ...
블랙홀 탐험과 두뇌속 상상여행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살피면 기묘한 색의 마술이 펼쳐질 수도 있다. 이곳 달기지의 건축 자재는 항공기
동체
소재로 쓰이는 재료(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벌집구조로 돼 있음)를 사용했다.유성정원을 가볍게 산책한 후에 달기지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우선 '도전의 장'이 기다린다. 관람객들은 인류가 최초로 우주를 ... ...
부란과 미르 앞세워 새 활로 찾는 옛소련 우주항공기술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Vanguard) 1호는 1.5㎏, 스푸트니크 2호는 5백8.3㎏ — 이때는 약 4천㎏이나 되는 로켓 겉
동체
의 일부도 같이 궤도 비행했다-. 미국의 엑스플로러 1호는 4.8㎏으로서 초기 두나라의 로켓 발사능력에 큰 차이가 났음을 알 수 있다.옛소련은 1959년 1월 2일 루나 1호를 쏘아올렸는데 이 우주선은 최초로 달 ... ...
생물로부터 첨단기술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한계를 넘으면 별안간 찢겨져 걷잡을 수 없는 상태에 이르기 때문이다. 비행기날개나
동체
로 쓰이는 고성능 복합재료 속에 광섬유를 고루 깔아 '유리신경'을 만들어 주면 복합재료의 모양이 일그러질 때 광섬유도 함께 휘어지기 때문에 광섬유를 통해 조종실로 보내지는 빛의 신호도 바뀌면서 ... ...
모형비행기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사람도 모형비행기를 통해 과학과 친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비행기의 기본구조인
동체
와 주익 수평미익 수직미익을 균형있게 제작하는 가운데 비행기가 날게 되는 원동력인 양력 항력 중력 추력 등 힘의 균형을 이해함으로써 항공과학의 기초에 대한 안목과 흥미를 넓히고 항공산업 발전의 ... ...
3 통신·방송용 상업위성 세계 구석구석 연결, 동시생활권으로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받을 수 있다. 이처럼 이리듐프로젝트는 단순히 정보통신의 서비스차원을 넘어, 이
동체
위성통신 기술을 통해 우리 인류에게 새로운 공공 복지의 혜택을 부여하게 될 것이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