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꼴"(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 손은 동물농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제임스의 손에 그린다고 해요. 정성들여 그림을 그린 뒤, 사진을 찍고 지운답니다.닮은 꼴을 찾아라! 다니엘 작가는 전시회에서 만난 사람들에게 종종 핸드 페인팅을 선물하곤 해요. 사람의 인상을 보고 어울리는 동물을 그리는 거죠. 여기 보세요, 눈매가 매혹적인 여성에게 그녀와 닮은 표범을 그려 ...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수학동아 l2015년 06호
- 이용해 넓이를 재는 법도 배웠다. 우리가 쓰는 평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돼 있어, 나란히꼴 같은 모양의 넓이를 계산하기 어렵다. 하지만 미터를 쓰면 복잡한 모양의 넓이도 쉽게 넓이를 알 수 있다.집으로 돌아오니, 막내 삼촌이 뚫어져라 신문을 읽고 있었다. ‘소련이 발사한 인공위성’이란 제목의 ...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파스칼의 삼각형입니다. 파스칼의 삼각형은 이항계수(nCr)를 순서대로 늘어놓은 삼각형 꼴의 모형을 말합니다. 단순하게 생겼지만 그 수학적 의미는 결코 가볍지 않습니다.자연수의 수열에서 피보나치의 수열까지 다양한 수열이 파스칼의 삼각형 속에 숨어 있습니다. 삼각형의 가로 방향의 합은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나온 실험결과들과 잘 맞아떨 어졌다. 하지만 이 법칙을 만족하는 함수가 정확히 어 떤 꼴인지는 여전히 오리무중이었다.1900년에는 당시의 물리학 지식을 총동원해, 흑체 에서 방출되는 에너지 밀도를 가장 수학적으로 표현 한 레일리-진스 공식이 발표됐다. 레일리-진스 공식 은 파장이 긴 영역에서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함수만 들어 있을 뿐이고 그 함수의 제곱이라든가 그 함수에 다시 삼각함수를 적용한 꼴 등이 없기 때문에, ‘선형’(직선과 닮은 일차함수)이라고 한다. 선형 미분방정식은 어떻게든 몇 개의 풀이를 찾아내면 일반적인 모든 풀이를 찾아낼 수 있다. 반면 비선형 미분방정식은 풀이 몇 개를 ... ...
- [지식] 냄새를 보는 행렬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특정 향기를 내는 분자가 어느 후각 수용체와 결합하는지 볼 수 있지요! 곱셈이 가능한 꼴의 행렬 가운데 제가 찾은 두 행렬은 이거예요. ‘비린 향’, ‘풀 향기’는 세 가지 냄새 속에 섞여 있다고 추측할 수 있는 향이예요. [행렬 1]과 [행렬 2]를 곱해서 나온 행렬은 [수용체-냄새 행렬]과 비슷해요. ...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농담처럼 돌고 있었다. 한반도에 큰 가뭄이 드는 때를 표시해보니 대략 6년에 한 번 꼴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가뭄의 주기가 점차 짧아지고 있다. 장마가 찾아오기 직전에 나오던 가뭄 뉴스가 이제는 겨울이나 봄에도 나온다. 이렇게 가뭄이 계속되면 토양이 갈라져 쉽게 침식된다. 갈라진 ... ...
- [생활] 수학을 알면 야구가 보인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따스한 봄과 함께 프로야구가 돌아왔다. 봄이 오면 동물들이 오랜 겨울잠에서 깨어나듯, 잠들어 있던 야구팬의 소원도 깨어난다. 밥 먹듯 우 ... 과연 예상대로 삼성의 6년 연속 우승으로 막을 내릴까? 아니면 명장 김성근의 한화가 꼴찌돌풍을 일으킬까? 벌써부터 마음은 야구장으로 향한다 ... ...
- [지식] 첫 번째 요리_영양 가득 오일러 공식수학동아 l2015년 01호
- 허수i★ 제곱하면 -1이 되는 수.복소수★ 실수와 허수의 더해 이뤄진 수. a(실수)+bi(허수) 꼴로 생겼다. 오일러 공식이 얼마나 쓸모 있는지는 간단한 계산으로 확인됩니다.양자역학을 푸는 비법오일러 공식이 가장 빛나는 분야 중 하나는 양자역학입니다.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은 오일러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간단히 나타낸 모델이다.쌍곡 기하학 평면 위의 이상적인 삼각형은 원의 일부인 부채꼴의 호를 세 변으로 한다. 이런 이상적인 삼각형의 가장 대표적인 특징은 ‘같은 쌍곡 기하학 평면 위에서는 서로 다른 모든 삼각형의 넓이가 항상 같다’는 것이다. 언뜻 보기엔 전부 다를 것 같지만, 실제로는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