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하"(으)로 총 1,4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자의 세계로] 수학자의 세계로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사실 2009년에 미시간대 박사과정에 지원했었는데 떨어졌거든요. 이 사실을 이야기하니까 포민 교수가 “내가 너를 떨어뜨렸을 리가 없다. 나는 글 쓰는 것만 봐도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단번에 알아차린다”며 고개를 저었습니다. 나중에 알고 보니 포민 교수가 입학 서류를 담당했던 게 ...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배우는 기회가 됐습니다. 더불어 김 교수와 히로나카 교수를 통해서 배운 대수기하학적인 사고는 이후에 조합론 분야에서 다른 학자들이 가지지 못한 그만의 비장의 무기가 됐지요. 우리나라에서 정부 주도로 운영된 세계적 석학 초청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는 후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히로나카 ... ...
- 정수론 만능 열쇠로, 고차원 케플러의 추측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역할을 했지요. 보형 형식은 주로 정수론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이지만, 그 외에 조합론, 기하, 수리물리 등에서도 등장하는 만능 열쇠입니다. 비아조프스카 교수의 대표적인 업적은 고차원에서의 ‘케플러의 추측’을 해결한 것입니다. 특이하게도 박사 학위 연구 이전부터 우크라이나 수학자인 ... ...
-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디오판토스 기하학은 계수가 유리수인 다항방정식인 ‘디오판토스 방정식’의 해를 기하학을 이용해 구하는 학문을 말합니다. 이후 메이저 교수는 이 분야에서 수많은 업적을 남깁니다. 김완수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는 “메이저 교수님은 어떤 한 문제만 풀 수 있는 연구가 아니라 수학자들이 다른 ...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조금 노력하면 몇 달 안에 풀겠다, 아니다’처럼 판단이 필요합니다. 수학자에게는 잘 포기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재능이라고 생각해요. 어떤 종류의 문제들은 개인이 이해할 준비가 안 됐거나, 인류가 이해할 준비가 안 된 걸 수도 있어요. 그걸 붙잡고 있는 것은 생산적이지 않습니다. " 수학엔 ... ...
- 통계로 보는 필즈상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미국인입니다. [연구 분야] 수학에는 다양한 분야가 있어요. 지금껏 필즈상은 대수기하학과 정수론, 해석학을 연구하는 분들이 주로 수상의 영광을 안았습니다. 허준이 교수의 수상으로 조합론 분야에서 처음으로 필즈상 수상자가 나왔습니다. [ICM 강연] 수상자 중 무려 60명이나 수상 전 ICM에서 ... ...
- [필즈상 인터뷰 ➋] 마리나 비아조프스카 교수 “우크라이나에 희망이 되길 바랍니다”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것만 이야기할게요. 필즈상으로 삶이 많이 바뀔 거예요. 수학자들과 더 많이 이야기하게 되고, 출장도 많이 갈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모든 것들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계기가 될 수 있어서 기대됩니다 ... ...
- [조합론과 만나다] “수학자에게 공동연구는 필수예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Q. 2018년엔 2명의 수학자와 함께 리드의 추측의 확장판인 ‘로타의 추측’까지 해결하셨어요. A. 리드의 추측을 해결한 제 논문을 보고 당시 박사후연구원이었던 에릭 카츠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 교수가 먼저 이메일을 보내왔어요. 제가 리드의 추측을 해결한 방법을 이용하면 다른 추측도 해 ...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 본격적으로 허 교수가 해결한 주요한 문제들을 살펴봅시다. 조합론의 고전적인 문제로 ‘4색 정리’가 있습니다. 평면지도에 있는 모든 나라를 4가지 색만 써서 구분해 색칠할 수 있는지 묻는 것입니다. 1852년 영국의 대학생이던 프랜시스 구드리가 지도를 관 ... ...
- 조합론 난제를 대수기하학 도구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계속 감소한다는 사실을 바로 유도할 수 있게 되었지요. 그 후에도 허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이론이 조합수학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상상하며 좋은 추측을 만들고 증명해 나가는 작업을 진행하면서 ‘조합적 호지 이론’이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 다른 연구자들을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