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전
홍보
삐라
프로파
프로퍼갠더
기사광고
기사
d라이브러리
"
광고
"(으)로 총 879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코로나바이러스 완전 박멸? 손 소독제의 진실 (24p)☞ 바로가기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습니다. 과학동아 독자들의 팩트체크 요청도 코로나19 ... 전문가들을 취재한 결과 디지털 줌에 광학 줌을 더해 최대로 늘리면 100배 줌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광고
처럼 선명하게요. 어메이징 ... ...
[SF에 묻는다] 그녀 vs. 블레이드 러너 2049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동반자입니다. 하지만 조이가 특별한 존재는 아닙니다. 길거리를 지나다니면 언제든
광고
판에서 흔히 만나볼 수 있는 대량생산 인공지능에 불과하죠. 케이의 집 천장에 달린 홀로그램 투영기를 통해서만 나타나기 때문에 집 밖으로는 나가볼 수도 없습니다. 케이를 사랑한다고 해도 안아주지도, ... ...
[통합과학교과서] 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데우는 데 사용해요. 이 방식을 이용해 보일러의 열효율은 94%까지 올랐답니다. 요즘 TV
광고
에 자주 나오는 ‘콘덴싱보일러’가 바로 수증기를 재활용하는 보일러지요. 경복궁에서 발견된 도넛 모양 온돌? 경복궁의 안쪽엔 왕이 휴식을 취하던 연못 ‘향원지’가 있어요. ... ...
똥 사진을 찍으라고? 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주세요!’ 최근 인터넷에 이상한
광고
가 나타났어요. 어처구니없는 장난같은 이
광고
는 사뭇 진지한 목적을 가진 과학자들의 연구랍니다. 도대체 무슨 이유로 사람들에게 똥 사진을 찍어서 보내 달라고 하는 걸까요? 미국의 미생물 회사인 시드(Seed)는 최근 ‘당신의 똥 사진을 찍어서 ... ...
디지털 범죄 잡는 인공지능 수사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0호
찾아낼 수 없지요. 이 야민정음은 인터넷에서 하나의 놀이처럼 사용되고 있지만, 불법
광고
에 악용되기도 해요. 올해 초 서울시 민생사법경찰단은 인공지능에 불법성이 의심되는 게시글이나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야민정음의 패턴을 학습시켰어요.* 그 결과 지난 4월 인공지능 수사관을 통해 불법 ... ...
[출동!기자단] 어과동 열혈독자
광고
촬영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9호
30초~1분밖에 되지 않는 영상을 만들기 위해 촬영은 6~8시간 동안이나 이어졌죠.
광고
촬영에 참가했던 문우주 친구는 “처음엔 긴장도 많이 되고 실수할까 봐 걱정도 됐지만, 촬영을 해보니 무척 즐거웠다”며 소감을 얘기했답니다. ... ...
게임 이용장애 초등토론배틀이 열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자투리 시간에 게임을 한다”고 말했고, 김이현 학생도 “유튜브에서 게임 외에 놀잇감
광고
를 보기 힘들다”고 토로했어요. 학부모 방청객 허용 씨는 “어린이가 밖에서도 놀 수 있는 체험 프로그램이 많이 생기면 좋겠다”고 말했답니다 ... ...
[10대의 약] 상처나면 소독약 꼭 발라야 한다 VS. 아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제품들입니다. 습윤밴드, 반창고, 항생제 연고, 흉터 연고…. 종류도 다양합니다. 보통
광고
에서 봤거나 친구들이 사용하는 것을 보고 제품을 사곤 하는데요. 알고 보면 엉뚱한 제품을 선택하거나 사용법을 제대로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처는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더 천천히 치유됩니다. ... ...
유산균 프로젝트, 40일간의 똥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우리 몸속에 들어가서도 영양분을 섭취하며 잘 자랄 수 있을 테니까요. Q 유산균
광고
를 보면 유산균이 몇 억 마리씩 들어있 더라고요. 왜 이렇게 많은 유산균을 먹는 거죠?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유산균을 몸속에서 증식시키고 유해균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하루 1억 마리에서 10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인이 된 의사 로버트 써스크(Robert Thirsk)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가정의학과에서 레지던트 과정을 밟고 있던 써스크 박사는 우주인을 선발한다는 신문
광고
를 보고 당장 지원했다. 캐나다가 우주왕복선의 원격 조작 시스템인 로봇팔을 개발하는 것에 대해 NASA가 감사의 표시로 유인 우주비행을 함께 하자고 제안한 것이다. 써스크 박사를 포함해 총 4400여 명이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