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여
봉사
이바지
도움
기부
출자
기고
d라이브러리
"
공헌
"(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게임, 내손으로 디자인한다! 수학동아-넥슨 게임 카페
수학동아
l
2014년 06호
스토리’는 전세계 92개국에서 서비스 되어 약 3억 명 이상의 사용자가 즐기고 있다.사회
공헌
사업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우수한 청년들이 게임 회사를 창업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도 진행하고 있고, 저소득층 학생들에게 도서를 지원하는 작은 책방 사업도 펼치고 있다. 지난해 7월에는 국내 ... ...
북한 핵실험, 이제는 바다에서도 정밀 측정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규모를 발표하고 진원을 파악해, 북한의 실험 여부를 빠르게 판단하는 데 핵심적인
공헌
을 했다. 특히 국제감시소(IMS) 등 세계 곳곳에 있는 수백 개의 작은 지진 감시소가 큰 역할을 했다.하지만 대양 등 깊은 바다에는 관측 기기를 설치하기 쉽지 않아 사실상 지진파 측정과 감시가 어려웠다.이런 ... ...
호킹은 왜 블랙홀이 없다고 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알 수 없으나, 한 가지 분명한 사실은 지난 20년간 초끈이론과 양자중력의 발전에 가장 큰
공헌
을 한 것이 바로 블랙홀과 양자역학이 공존할 수 있느냐, 그리고 그렇다면 정확히 어떻게 공존하느냐 하는 물음이라는 것이다. 이 문제가 해결됐다는 그간의 성급한 여론이 어쩌면 양자적 시공간에 대한 ... ...
“환경보호에 가장
공헌
한 건 석유공학자”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과학동아 애독자 5명이 전공탐색을 위해 최종근 서울대 교수를 찾았다. 최 교수는 “석유가 얼마 남지 않았다고 하는데 사실 앞으로도 200년 동안 쓸 수 있다”며 “에너지 문제는 편리한 생활만 추구하는 우리 자신을 돌아봐야 한다”고 말했다. ...
교육꿈나무 5000명 쑥쑥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갖고 우수한 기술인재로 성장하기를 바란다”며 “LG화학은 앞으로도 청소년 대상의 사회
공헌
활동을 지속적으로 펼쳐 대표 화학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수학을 꽃피운 아름다운 도서관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전공하고 수학 교수까지 지낸 수학자였다. 그는 인도 출생으로 세계의 도서관 발전에
공헌
한 인물로 손꼽힌다. 본래 수학을 전공했던 랑가나단은 왜 도서관학으로 전향한 것일까?1892년 인도의 작은 마을에서 태어난 랑가나단은 17살에 대학에 입학해 수학을 전공했다. 그는 수학을 가르치는 교수가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국경을 초월하는 수학 교육
수학동아
l
2014년 02호
중 대표적인 사람으로 꼽힌다. 그는 1998년에 ‘랭글란드(Langlands) 프로그램’에 대한
공헌
을 인정받아 필즈상을 받은 수학의 대가이다.라포르그는 불어 문화뿐만 아니라 중고등학교 교육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갖고 있다. 서양고전과 철저한 논리적 사고를 강조하는 엘리트 교육을 받고 자란 그는 ... ...
제2기 독자기자단, 카이스트로 수학여행을 떠나다!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정리를 완벽하게 증명할 수 있었죠. 리처드 테일러 역시 페르마의 정리를 증명하는 데 큰
공헌
을 한 사람으로 역사에 남게 됐답니다. 이처럼 현대 수학에서는 다양한 사람과 협력할 수 있는 좋은 성품을 가진 사람이 성공할 수 있어요. 경쟁에만 몰두해서는 결코 훌륭한 수학자가 될 수 없답니다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글로 강연 동영상으로 만난 그 사람들이 제겐 스승입니다. 인생을 바꾸고, 사회에
공헌
하며 더 많은 경험을 누리게 한 멋진 스승이요.” 실험실에서 연구만 하는 게 과학기술자가 살 수 있는 삶의 전부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다. 세계를 변화시키는 기업가가 되고 싶다면, 특히 기술로 승부하면서도 ... ...
마취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전신마취는 인류에게 큰축복이었고 외과수술을 비롯한 의학 일반의 발전에도 지대한
공헌
을 했다. 이제 더 이상 맨앞에 말한 패니 버니와 같이 극심한 통증을 참으며 수술을 받을 필요는 없었다. 수술의 통증이 두려워 차라리 죽음을 선택하는 환자도 거의 없다. 과거의 수술에서는 무조건 통증의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