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겹"(으)로 총 311건 검색되었습니다.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4호
- 친구들에게 선물로 나눠 줄 수 있을거예요. 바로 그래핀 덕분이랍니다. 그래핀은 한 겹의 탄소 원자들이 벌집 모양으로 연결된 아주 얇은 막이에요. 투명하면서 잘 휘고, 늘리거나 접어도 전기를 잘 전달하지요. 또 실리콘보다 전기가 100배 이상 빨리 흐르고, 강철보다 100배 이상 강하며, 플라스틱에 ... ...
- 재미있는 과학 재미있는 노벨상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1호
- 만든 것이랍니다. 그래핀이란, 탄소가 육각형 모양의 구조로 아주 얇게 한 겹으로 늘어선 것을 말해요. 그동안 많은 과학자들이 최첨단 나노기술을 이용해 하나의 탄소 층을 만들어 보려고 노력했지만 쉽지 않았죠.그런던 어느 날, 저와 노보셀로프 교수는 재미삼아 *흑연에 스카치테이프를 붙였다 ... ...
-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7호
- 옷 소재로 가을에 입을 수 있는 긴 팔 옷을 만들거나, 떼었다 붙였다 할 수 있어서 두 겹으로 입을 수 있는 옷 등 다양한 상품을 만들고 있어.정말 가을이 이상하긴 이상하구나. 도대체 무슨 일이 생긴 거지? 혹시 발명가들을 괴롭히는 악당 ‘업새블라’가 가을에게 무슨 짓을 한 게 아닐까? 우선 ... ...
- 방긋 웃는 모나리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 그럼요. 분석 결과, 제 그림에는 머리카락의 절반인 40㎛ 두께의 물감 층이 최대 30겹씩 겹쳐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또 명암에 따라 광택층과 색소층의 두께가 다르다는 사실도 확인했답니다. 예를 들어, 코 바로 오른쪽 밝은 볼과 어두운 귀 부분을 비교해 봤더니, 어두운 부분의 광택층이 밝은 ... ...
- 시원한 여름나기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5호
- 열을 막는 것도 방법일 수 있다. 모래사막에서 뜨거운태양을 피하기 위해 여러 겹을 둘러 입는 것처럼, 열을 막는 방법으로 실내온도를 낮출 수 있지 않을까?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는 여름철에 얇은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쳐서 창문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막는 방법을 권장하고 있다. 창문으로 ... ...
- 바다동물특공대 석유 오염 사고를 해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했고, 배에 관한 국제 규칙을 정하는 국제해사기구(IMO)도 1994년부터 큰 유조선은 모두 두 겹으로 만들도록 했단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허베이스피리트 호 사고가 날 때까지 이중선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았어. 2007년에는 단일선체 유조선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173척 지나다닐 정도였지. 다행히 ... ...
- 4 분자, 거울에 비춰보다!수학동아 l2010년 12호
- 생기는 침전물이다. 파스퇴르는 침전물 결정을 관찰한 결과 모양이 비슷하지만 서로 겹치치 않는 결정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두 결정을 거울에 비췄을 때 나타나는 거울상 결정으로 하나는 L-타타르산, 나머지 하나는 D-타타르산이라고 한다.✚오렌지와 레몬 속 리모넨은 ‘거울상 분자’ 상큼한 ... ...
- 유비쿼터스 시대, 우리가 이끈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나노입자를 제조했다. 그 이후 나노주형의 형태를 더욱 변화시켜 속이 빈 나노입자, 이중겹 나노입자, 나노섬유, 나노튜브 등 다양한 구조의 고분자 나노재료를 합성했다. 이 연구는 학계로부터 선구적인 기술을 제시했다고 평가받으며 큰 보람을 느꼈다.고분자 재료 연구실에 있는 동안 몸소 배운 ... ...
- Part 1. 첫 번째 대칭과 회전으로 만든 한글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붙는 비슷한 소리지만 세기에 따라 모양이 다른 거야. 또 ㄲ, ㄸ, ㅃ, ㅆ, ㅉ와 같은 겹자음은 같은 자음을 반복해 원래 자음보다 된 소리를 표현해. 이렇게 획을 더해서 만드는 것을 가획이라고 불러. 한글은 획의 수가 늘어날수록 소리의 세기도 강해지는 비례관계로 글자를 만든 거야. 뿐만 아니라 ... ...
- Part 2. 두 번째 조합으로 만든 한글 글자는 몇 개일까?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모음을 합해서 쓰는 이중모음도 있지. 한글로 글자를 만들 때는 기본 자음과 모음 말고도 겹자음, 이중모음 등 다양한 자음과 모음이 쓰이는 거야. A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 n(A) = 14B = {ㄲ, ㄸ, ㅃ, ㅆ, ㅉ} , n(B) = 5C = {ㄳ, ㄵ, ㄶ, ㄺ, ㄻ, ㄼ, ㄽ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