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미"(으)로 총 5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숲이야기] 곤충이야, 버섯이야? 동충하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800여 종이 알려져 있어요. 딱정벌레류, 개미류, 잠자리류 등 대부분의 곤충은 물론, 거미나 땅속의 번데기까지 다양한 벌레에 기생할 수 있지요. 늠름한 하늘소나 장수풍뎅이, 사슴벌레도 동충하초균에게는 좋은 먹이일 뿐이랍니다.좀비개미에 대해 들어 보았나요? 좀비개미들은 균에 감염돼 죽은 ...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있어서 문제랍니다.진드기가 옮기는 병 급증!진드기는 우리나라의 숲이나 풀숲에 사는 거미류의 생물이에요. 약 2~3mm의 작은 크기지만 동물의 피를 빨고 나면 1cm까지 커지지요. 모기처럼 병원체에 감염된 진드기가 사람을 물면 혈액을 통해 병원체가 옮겨지면서 병에 걸릴 수 있어요.최근 털진드기에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손을 가져다대었다. 생각은 거기서부터 출발했다. 매직으로 그은 붉고 미끈한 선을 따라, 거미줄처럼 이어진 노선을 따라 심상이 기차처럼 달렸다.‘샤먼’의 폭격 속에 숨겨진 잠재심상, 선지자, 예지자, 구원자, 구도자, 새 시대, 희망, 빛, 변화, 진실, 거짓 없는 시대, 하나 된 마음. 좋은 심상은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관계를 나타내는 네트워크입니다. 정말 복잡하게 얽혀 있죠?”핸더슨 그룹 리더는 거미줄처럼 복잡하게 얽힌 연구원들 사이의 연결망을 보여주며 말했다. LMB 연구자들이 그룹에 관계없이 얼마나 활발하게 협업하는지를 보여주는 그림이었다. 그는 “티타임을 포함해 LMB의 모든 문화와 시설, 조직은 ... ...
- [과학뉴스] 절지동물은 부자 동네를 좋아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노스캐롤라이나 주 롤리시에 있는 50가구를 방문해 절지동물을 채집했다. 절지동물은 거미, 곤충 등 다리와 더듬이 등 몸에 붙은 부속지가 마디로 된 동물이다. 연구팀은 카펫이나 다락방 등에 얼마나 다양한 절지동물이 살고 있는지를 조사해 소득, 주거환경과 비교했다.분석 결과 소득 수준이 높은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결정질의 포논과 비결정질의 포논이 상호작용하면서 거미줄의 탄성률이 커진다. 즉, 거미줄이 충분히 늘어나도 끊어지지 않고 버틴다.특히 최근엔 많은 과학자가 그래핀의 포논에 관심을 갖고 있다. 최근 전자기기를 제작할 때 큰 문제 중 하나는, 소자가 집적화될수록 열이 많이 난다는 점이다. ... ...
- [과학뉴스] 거미의 독이 약?!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팀은 타란툴라 거미의 한 종류인 ‘페루초록벨벳타란툴라’의 독을 연구했어요. 이 거미의 독에 들어 있는 ‘ProTX-II’라는 물질이 세포에서 고통을 느끼는 부분을 막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에요. ‘핵자기분광기’를 이용해 세포를 자세히 관찰한 결과, 지금까지는 아무 역할도 안 한다고 ... ...
- [지식] 스파이더맨 될 수 없다vs있다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게코도마뱀의 발바닥 표면적이 200배 컸다.그렇다면 사람은 어떨까? 연구팀은 사람이 거미처럼 수직 등반하려면 발바닥의 크기가 몸 전체의 표면적의 약 40%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특히 몸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할 손의 면적은 몸 전체 표면적의 약 80%나 돼야 했다.라본테 박사팀은 “이런 한계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자연사에 놀랄 정도로 해박했다. 해밀턴은 사람들 사이에 있을 때보다 딱정벌레나 이끼, 거미와 함께 있을 때 더 편안함을 느끼는 현장 생물학자였다. “길거리에 홀로 울고 있는 어린이도 내 심장을 흔들지만, 도시의 개천에 피어난 고사리는 내 심장을 더 세게 흔든다.” 가까운 혈연을 애지중지 ... ...
- [Knowledge] 프놈펜에서 온 편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좋은 예입니다. 원래는 식물 채집을 주로 했는데, NGO들과의 협력을 통해 도마뱀, 나비, 거미 등 다양한 종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해외로 공부하러 가는 것도 적극 도울 겁니다. 서강대 생명과학과에만 우리 학과 졸업생 서너 명이 석박사과정을 하고 있는데, 이들이 돌아와 후배들을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