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새끼"(으)로 총 67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개는 1만 3000년 된 친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사람들은 왜 가족처럼 지내던 반려견을 버리는 걸까? 아마도 개에 대해 제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일 거야. 그래서 지금부터 ‘개’가 누구인지에 대해 제대로 알아보려고 해. 그런데 뭐? 우리 할아버지가 늑대라고?쓰레기를 선택한 늑대, 개가 되다!학계에서는 아주 오래전 야생늑대가 개로 진화했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신비한 동물 속 여행, 판타스틱 애니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재빠르게 달리는 말과 힘이 센 황소, 목이 긴 기린과 입이 큰 하마…. 다양한 생김새의 동물들을 몸속까지 생생하게 볼 수 있는 신기한 전시회 ‘판타스틱 애니멀’이 열렸어요. 기자단이 이런 빅재미를 놓칠 수 없겠죠? 동물들의 몸속에는 어떤 재미있는 비밀이 숨어 있을까요?플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난 4월 30일, 인천 교동도 대룡시장에 셀카봉을 든 60여 명의 사람들이 모였어요. 올해 처음 선보인 지구사랑탐사대 제비 현장교육이 열렸거든요. 이날을 시작으로 5월 한 달 간 전국 18개 지역에서 수원청개구리와 제비 현장교육이 이뤄졌답니다. 수원청개구리를 찾으러 논의 진흙구덩이에 빠지고,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정치부 기자로 일하던 시절에 나는 소위 ‘정보맨’들의 모임에 참석한 적이 몇 번 있었다. 자기들끼리 네트워크가 있는 국회의원 보좌관, 국정원 IO(국내 정보관), 중수부 수사관, 정보과 형사, 월간지 기자, 대기업의 홍보 담당자 등이 삼삼오오 모여 소문도 전해 듣고 ‘찌라시’도 돌려보고 인물 ... ...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실험실에서 난자가 탄생했다. 일본 규슈대 의대 하야시 카쓰히코 연구팀은 배양 접시에서 쥐의 피부 세포를 난자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암컷 쥐의 꼬리에서 피부 세포를 만드는 섬유아세포를 추출해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든 뒤 원시 생식세포로 분화시켰다. 여기에 쥐의 배아에서 추출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우리 회사가 망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시도한 사업은 바로 흥부놀부 이야기를 흉내내서 박씨를 심어 보겠다는 것이었다. 처음 그 말을 듣고 나는 농담을 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농담이라고 하기에는 재미가 없었다. 우리 회사의 유일한 장점은 농담이 재미가 없으면 아무리 사장이 이야기 하더라 ... ...
- 사라진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안녕? 우린 요 근처에 사는 흥부자야. 우리가 흥이 좀 많기도 하고, 해마다 우리집에 제비들이 찾아와서 흥부자라 불리지. 에휴~, 그런데 말이야, 이 근처에서 이 사진 처럼 생긴 제비 본 적 없니?내가 작년에 우리 집에 왔던 제비의 다리를 고쳐 줬거든. 올해는 박씨를 물어올 것 같아 한껏 기대하고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1908년 최초로 방출선이 관측된 활동성 나선은하 NGC 1068.작은 원 안의 그림은 밝게 빛나는 은하핵을 상상해서 그린 그림이다.1908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패드와 베스토 슬라이퍼는 특이한 나선은하를 발견했다. 지구에서 약 4700만 광년 떨어진 고래자리 A 은하(NGC 1068)였는데, 다른 은하에서는 ... ...
- [재미] 돌고래는 휘파람으로 말한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는 20~2만Hz입니다. 그런데 돌고래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2000Hz부터 절대 들을 수 없는 15만Hz까지 소리를 내고, 또 들을 수 있어요. 돌고래의 머리에서 톡 튀어나온 멜론★ 덕분이지요. 숨을 쉬는 기관인 분수공에서 만든 초음파를 여기서 증폭시킨답니다. 그리고 다른 돌고래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파충류는 물개처럼 공을 물어올 수도, 돌고래처럼 조련사의 손짓을 보고 멋지게 공중회전을 할 수도 없다. 그래서 파충류가 지능이 낮은 어리석은 동물이라고 믿는 사람이 많다.하지만 현실은 다르다. 파충류는 돌고래처럼 숫자를 셀 줄 알고 강아지처럼 학습도 할 수 있으며, 사람처럼 꿈도 꿀 가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