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층
중복
중첩
계층
d라이브러리
"
켜
"(으)로 총 27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르락 내리락 변덕쟁이 수면
과학동아
l
200406
그런데 실제로 양초의 수가 많을수록 비커의 수면이 가장 많이 올라간다. 촛불이 많이
켜
져 있을수록 더 많은 열이 발생하고 주변 공기가 많이 팽창해 공기 분자 사이의 간격이 더 멀어진다. 이때 비커를 덮으면 3개의 촛불을 켠 비커 속 공기의 입자수가 가장 적어지고 기압도 가장 낮아진다. 즉 ... ...
02. 지능, 유전의 영향 나이들수록 막강
과학동아
l
200405
관여하는 유전자는 태어날 때부터 갖고 있지만, 성인이 돼서야 유전자의 스위치가
켜
져 머리가 빠지기 시작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환경 영향으로 평균IQ 상승그렇다면 환경은 인간의 지능 발달에 얼마나 관여하고 있을까? 환경이 지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엿볼 수 있는 흔적은 여러 연구에서 ... ...
실내공기를 조심하라
과학동아
l
200405
문을 열어 놓아 실내공기를 자주 바꿔주는 것이 좋다. 팬이나 환기구의 공기조절장치를
켜
놓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페인트 작업이나 기름 난방기를 사용할 때나 요리를 한 뒤에는 반드시 실내공기를 바꿔줘야 한다는 말이 결코 틀리지 않다는 말이다.하지만 환기만으로 유해물질을 줄이는데는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03
수분만을 뺀 모양 그대로의 음식을 준비해뒀다가 식사 직전 수분을 첨가시
켜
먹는다. 일부 우주인들은 자기가 좋아하는 음식을 개인적으로 구입해 가기도 한다.한국 우주인도 어머니가 싸주시는 음식이나 우주비행 전 동네 슈퍼에서 구입한 음식을 잔뜩 가져갈 수 있으니 그 점은 다행인 듯 싶다. 단 ... ...
한국 어디를 찍을까?
과학동아
l
200402
일본 등 전세계 6개국이 참여 의사를 밝혔다.순탄할 것만 같았던 프로젝트에 적신호가
켜
진 것은 지난해말. 부지 선정을 놓고 참가국간에 갈등을 빚으면서 시작됐다. 지난해 12월 워싱턴에서 열린 ITER 참가국 연석회의에서 미국과 한국이 일본을, 러시아와 중국이 프랑스에 대한 지지입장을 각각 ... ...
누가 다윈의 진정한 후예인가?
과학동아
l
200402
감사합니다.사회자: 강연 잘 들었습니다. 두분 모두 베테랑답게 강연 시간을 정확히 지
켜
주셨습니다. 이제부터는 종합토론이 진행될텐데 앞줄에 앉아계신 기자님들께 먼저 질문할 기회를 드리고 그 후에 방청객 여러분께 마이크를 넘기겠습니다. 어떤 분부터 먼저 하시겠습니까?BBC기자: 도킨스 ... ...
2. 가정_집이 곧 컴퓨터다
과학동아
l
200402
위치감지 컴퓨팅, 분산 컴퓨팅, 무선통신기술로 구성된다. MS는 사람 동작에 따라 영화를
켜
고 끄는 기술, 실내에서 목표지점을 찾는 ‘핫터 앤드 콜더’ 라는 게임, 무선 마우스로 가장 가까이 있는 컴퓨터를 조작하는 기술 등을 시연 프로그램으로 채택했다.사카무라 겐 도쿄대 교수가 지난 1990년 ... ...
2 온몸으로 느끼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0311
힘을 준다. 순간 비상벨이 김씨의 귓가를 때린다. 비상사태가 생긴 것이다.불이 환하게
켜
지고 당황한 김씨가 숨을 몰아 쉬며 가상환경에서 빠져 나온다. 그리고는 무엇이 잘못됐는지 확인하려고 컴퓨터를 들여다본다. 실수로 종양대신 그 옆을 지나는 동맥을 자른 것이다. 담당 교수의 매서운 ... ...
러시아 유인 달 선회 비행 L-1 계획
과학동아
l
200309
바로 들어가지 않고 수면을 몇번 튀어오른다. 마찬가지로 우주선을 대기와 충돌키
켜
튀어오르게 해 속도를 줄임으로써 재진입시의 마찰열도 줄이고 착륙진입지점을 옛소련의 영토가 있는 곳으로 옮겨보자는 것이다.공중에서 폭발시킨 본드4호이를 위해 소유즈우주선을 대폭 개조했는데, 무엇보다 ... ...
숲에서 오감의 즐거움 체험한다
과학동아
l
200309
가늠한다. 예를 들어 나방은 빛과 80-90도의 각을 유지하며 비행한다. 따라서 밤에 불을
켜
놓으면 곤충이 불빛을 달이나 별로 잘못 알고 모여드는 것이다.곤충이 밤에 날아다니는 이유는 야행성 곤충과 주행성 곤충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야행성 곤충의 경우 짝짓기를 위해 달빛을 보고 날아오른다.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