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2,906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과학동아 l201611
- 멤리스터는 ‘메모리(memory)’와 ‘저항(resistor)’의 합성어다. 입력된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 나노미터 크기의 비활성 메모리 칩이며 여러 개를 연결하기에 편리한 것이 장점이다.이런 멤리스터가 신경세포 사이에 위치한 시냅스 역할을 해서 적은 에너지로도 뇌의 전기적 신호를 저장하거나 전달할 ...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과학동아 l201611
- 침팬지의 서식지보다 훨씬 윤택하다. 사실 보노보가 사는 환경 전반은 아직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지만, 침팬지와 보노보의 생태를 비교하면 환경 차이를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먹이와 사냥 방식이 대표적이다.침팬지는 보노보보다 훨씬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 사냥으로 잡아 먹는 포유류만 최소 3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11
- 이들의 출처나 구체적으로 작용하는 방법은 서로 다르다.miRNA의 출처는 아직 다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DNA의 인트론 부위에 있는 염기서열과, mRNA에서 단백질 합성과 관련 없는 염기서열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인트론은 DNA에서 단백질 생성에 필요한 재료인 아미노산을 지정하는 정보가 ... ...
-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수학동아 l201611
- 배우고 있었다.모두가 참여하는 수업한국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은 아직 활발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박 교사도 처음 수업을 준비할 때는 지침이나 참고할 자료가 많지 않아 막막했다. 그래서 박 교사는 자체적으로 교재를 만들기로 했다.박 교사는 각종 인터넷 사이트와 관련 서적 및 영상을 찾아 ... ...
- [과학뉴스] 공룡은 새처럼 울지 못했다?과학동아 l201611
- 울음소리를 낸다. 그러나 실제로는 지금까지 공룡이 어떤 소리를 내는지 거의 밝혀지지 않았는데, 최근 공룡이 적어도 새처럼 노래하지는 못했을 거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미국 텍사스주립대 지질학과 줄리아 클라크 연구팀은 2013년 남극 베가 섬에서 발굴된 ‘베가비스 이아아이’라는 백악기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11
- 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현대 지하도시 건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암반 채굴과 공간 지지 및 보강, 지하수 배출, 환기와 채광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먼저 채굴을 보자. 1960년대 이후 개발된 강력한 거대 굴착 장비 덕분에 지금은 어떤 조건의 암반도 어렵지 않게 뚫을 수 있다. 특히 거대 중장비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11
- 지금 이 글은 그 모임으로부터도 한 달이 지나서 쓴다.그 한 달 사이에 대통령국정수행지지도가 15%포인트나 올랐다. 오늘 아침에는 신문에서 ‘확 달라진 청와대, 레임덕은 없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읽었다.불길한 예감을 떨치지 못해 오랫동안 망설이다가 이 글을 쓴다. 내가 보고 듣고 겪은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10
- 중에 수학적으로 정립되지 않은 게 많아요. 증명하지 않고 넘어가는 게 성격상 받아들여지지 않았어요.”권 교수가 수학을 좋아하게 된 이유다. 이후 권 교수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을 다니다가 카투사에 지원해 주한미군 부대에서 군복무를 했다. 카투사 는 주말에 부대를 나올 수 있어 권 교수는 ... ...
- [가상인터뷰] “부르르~!” 암컷을 유혹하는 진동!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달리 자신의 외모를 더욱 화려하게 만드는 방향으로 진화한 이유 등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거든요.저는 제 깃털을 이용해 화려한 옷을 만드는 것보다 로슬린 박사님이 공작의 생태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하고 싶어요 ...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과학동아 l201610
- 의견이 갈렸다. 사람과 닮은 로봇에게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는 과학적인 증거가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2011년 7월, 미국 UC샌디에이고 인지과학 및 신경과학과의 아이세 피나르 세이진 교수팀이 불쾌한 골짜기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것을 실험으로 밝혔다(doi:10.1093/scan/nsr025). 연구팀은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