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체"(으)로 총 4,233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내장도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10
- 혀보다 내장에 더 많은미각 수용체가 있다고 주장한다. 우리가 입으로 넣는 음식물 자체는 분자가 너무 커서일부 유리된 당과 아미노산만 느끼는데, 내장 기관에서는 음식물이 분해돼 나온 포도당과 지방산, 아미노산 등 음식 분자를 느껴야만 하기 때문이다.➊ 물성 수용체위에는 생각보다 다양한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10
- 두개골 안의 공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다.다른 동물과 비교해 보면, 사람의 대뇌는 그 자체가 거대한 주름 모양으로 접혀 있다. 도마뱀 같은 동물은 호흡이나 심장박동, 수면처럼 본능에만 충실하도록 뇌간만 발달했다. 흔히 ‘파충류의 뇌’라고 부르는 곳이다. 쥐나 고양이 같은 포유류는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10
-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골디락스 행성의 분포가 어떻게 변하는지 예측했다.연구방법 자체는 단순하다. 현대천문학은 은하의 종류와 지속 시간에 따라 분포가 어떻게 변하는지 대략 알고 있다. 또, 각각의 은하에서 항성과 무거운 원소의 분포가 어떻게 바뀌는지도 알고 있다. 따라서 지각을 가진 행성의 ...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과학동아 l201610
- 암컷을 노리거나 권위에 도전했을 때 그냥 간과해선 안 된다. 도전을 용인하는 행동 자체가 자신의 서열을 내어주는 결과를 초래하고, 서열이 계속 낮아지면 생존과 번식을 위한 필수 경쟁에서 뒤쳐지기 때문이다. 집단 사냥으로 얻은 고기나 주변의 잘 익은 과일을 먼저 먹을 수 없게 되고 발정기를 ... ...
- [Career] 마음 흔드는 가시화기술과학동아 l201610
- 결과를 가시화하는 건 PC로도 할 수 있다”며 “하지만 항공기 전체를 시뮬레이션하면 식 자체가 복잡하고 데이터 양도 많기 때문에 이를 가시화할 때도 슈퍼컴퓨터를 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가시화기술개발실은 지난 8월부터 새로운 연구를 시작했다. 민, 군 융합 연구로 선박 가시화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10
- 녹색 수염 효과가 협력자 ‘끼리끼리’를 만든다. 해밀턴은 족보에 의한 혈연관계 그 자체보다는 개체군 평균보다 더 높은 유전적 유사성이 핵심임을 일깨우기 위해 일종의 사고실험을 제안했다. 어떤 유전자가 ⑴개체로 하여금 겉으로 드러나는 형질을 갖게 하고 ⑵이 형질을 지닌 이웃을 만나면 ...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10
- 문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우주 공간에 영원히 남길 만한 문명을 꼽은 일은 그 자체로 우리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작업이었다.한 가지 재미난 건, 골든 레코드와 이 책이 현대인에겐 이미 타임캡슐이라는 점이다. 40년 전이다. ‘정말 그랬을까’ 싶은 이야기들이 툭툭 튀어 나온다. ... ...
- Part 2. 구마모토 지진의 원인은 활성단층어린이과학동아 l201610
- 중요 지진 이전에 발생하는 ‘전진(前震)’, 후타가와 단층대 지진이 중요 지진 그 자체인 ‘본진(本震)’이라고 발표했어요. 같은 장소에서 연속으로 발생한 지진 중 두 번째 지진의 규모가 더 클 경우, 이렇게 전진과 본진을 나누게 되지요.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에도 3월 9일 M7.3 규모의 전진이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10
- 높다. 크라우드 매스는 ‘art of math problems’이라는 사이트의 일부인데, 본래 이 사이트 자체가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성지와 같은 곳이다. 오로지 수학 영재를 위한 강의와 문제를 제공한다.2017년 1월, 한국판 폴리매스 프로젝트가 온다!수학동아에서는 수학자의 연구 방식을 미리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10
- 게 아닐까 하는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이 외에도 ‘소프트웨어의 문제다’, ‘기기 자체의 스펙이 너무 높아 처음부터 배터리가 감당할 수 없는 설계였다’ 등 다양한 가설이 제기되고 있다. 이상영 교수는 이런 가설에 대해 “모두 가능성이 있지만, 말 그대로 가설일 뿐”이라고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