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알"(으)로 총 6,426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05
- 그저 감탄하고 돌아섰을 자연의 신비를 최신 연구로 섭렵했습니다. 이제 누구보다 알차게 여행할 준비를 갖췄으니 떠날 일만 남았네요. 학업과 업무 등 여행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를 훌훌 털고 떠날 수 있길 바랍니다. 참, 생각나시면 과학동아 카톡에 인증샷 한 장 남겨주시는 센스를! + 더 ...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멀수록 엉덩이를 많이 흔들지요.또, 꽃 무리가 있는 방향은 태양-벌집-꽃 사이의 각도로 알려 줘요. 이 각도가 135°라면 8자 모양이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135°만큼 기울도록 춤을 추는 거예요.나머지 벌들은 정찰 벌의 8자춤을 보고 꽃의 위치를 파악한 뒤, 꿀을 채취하러 나선답니다. ▼관련기사를 ... ...
- [수학뉴스] 색깔 마술사 도마뱀의 비밀수학동아 l201705
- 원리로 무늬를 만든다고 네이처 4월 12일자에 발표했어요.연구팀은 쥬얼드 라세타 알을 부화시켜 4년 동안 관찰했어요. 그 결과 1개의 초록색 비늘을 기준으로 4개의 이웃한 검정색 비늘이 나타났어요. 반대로 1개의 검정색 비늘을 기준으로 3개의 이웃한 초록색 비늘이 발견됐어요.이는 세포자동차 ... ...
- [알쏭달쏭 논리 동화] 바꿀까, 안 바꿀까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1705
- 걸어야 할까? 아니면 어느 쪽에 걸든 똑같을까? *수학동아 블로그(mathdonga.blog.me)의 ‘알쏭달쏭 논리동화’에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세요. 논리적인 댓글을 단 독자에게는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05
- 주고받는 통신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도 심해지고 있다.미국의 경우 2000년 로스알라모스 국립연구소(LANL)에서 48km거리의 광통신을 이용한 양자암호 전송시스템을 구현했다. 그 경험을 살려, 2005년 미국 스탠포드대와 일본의 통신그룹 NTT가 105km의 거리에서 양자암호 원격전송 실험에 성공했다. ... ...
- [Interview] “초대칭 이론, 아직은 흔적 못 찾아”과학동아 l201705
- 있는데, 중요한 검출기를 한국 연구진이 만들고 있다. 어떤 입자가 들어오는지를 알아내는 장치다. 부산대와 연세대에서 만들고 있는데 반도체 기술을 이용하며, 한국 기업들도 참여하고 있다. 그밖에도 뮤온 추적기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컴퓨팅 자원도 한국에서 제공하고 있다.Q CMS 실험은 어떤가.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05
- 계통수를 그릴 수 있었다. 그 결과 남세균의 ‘족보’는 크게 세 개의 가지로 갈라짐을 알 수 있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 세 가지다(doi:10.1126/science.aal3794). 1. 산소 발생 광합성 시작, 25억 년 전 이번 연구결과로 가장 눈에 띄는 점은 물을 이용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합성을 하는 유일한 분류군인 ... ...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05
- 활짝 핀 순창의 꽃보다 아름다운 할머니장수로 향하는 길은 험난했다. 햇빛이 채 창문을 뚫기도 전인 새벽 6시, 서울 용산을 떠나 전북 순창군 ...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05
- 만약 우리의 수명이 유전자에 의해 결정된다면 지역에 관계없이 장수인의 비율이 고르게 분포돼야 한다. 하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장수인이 눈 ...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1화] 렌즈로 보는 새로운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704
- 눈은 놀라워요. 휴대전화 카메라로 사진을 찍어보면 이를 확실히 알 수 있지요. 카메라가 아무리 좋아도 우리 눈에 보이는 것만큼 선명하게 사진을 찍을 수 없거든요.그런데 사람의 눈이 하지 못하는 게 있답니다. 바로‘확대 기능’이지요. 그래서 저 멀리 떠 있는 달을 좀 더 자세히 보고 싶거나,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