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피"(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12
- 지식을 총동원해 지상에 초대형 핵융합 장치를 건설한다. 반경은 케이스타의 약 3배, 부피는 약 25배에 이른다. 미래의 상용 핵융합로에 필요한 규모와 거의 같다. 이터는 스스로 타면서 핵융합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최초의 핵융합 실험로다. 한번 가동을 시작하면 최대 2억K의 고온 플라스마가 400초 ... ...
- 환자는 의사에게, 의사는 수학자에게수학동아 l201412
- 움직임을 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어요.” 심장 방정식에서 변수는 압력(P), 혈류량(Q), 부피(V), 저항(R), 탄성력(C)이고, 각 변수가 달라질 때 혈액의 움직임과 심장 내의 혈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이 방정식은 판막의 역할을 분석하는 데도 쓰인다. 정 교수는 심장에서 판막이 없을 때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11
-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현재 오리가미 기술은 분야의 경계 없이 각각의 대상을 최소 부피로 줄여 최대 효과를 낼 수 있는 모든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 단순한 교육용 재료나 장난감이 아니라 한계를 뛰어넘는 기술처럼 자리매김하고 있다. 종이 한 장으로 입체 조형물을 만들어 내는 신비한 기술, ...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과학동아 l201410
- 밀도가 낮다. 즉, 바다에 던지면 둥둥 떠있을 가능성이 높다. 물론 물도 얼음이 되면 부피가 늘며 밀도가 살짝 낮아져, 물에 뜨긴 한다. 하지만 카이퍼벨트 소천체는 그 정도가 아니다. 2013년 11월에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스’에 실린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름이 약 600km인 소천체의 밀도가 물의 82%에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수학동아 l201410
- 그러니까 이제는 벡터 3개의 곱 A∧B∧C나, 평행사변형과 벡터의 곱을 평행다면체의 부피와 방향성으로 해석하자는 것이다.그런데 또 평면상에 놓여 있지 않은 벡터 3개 E₁, E₂, E₃를 고정시키면 임의의 벡터 A는 A=a₁E₁+a₂E₂+a₃E₃로 표현될 수 있고, 임의의 평행사변형은 $E₁∧E₂, E₂∧E₃, ...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과학동아 l201410
- 유산소 운동이 언어 능력과 기억력, 학습 능력과 관계가 깊은 뇌 부위인 ‘해마’의 부피를 늘린다는 연구를 스포츠 관련 학술지에 발표했다. 잠든 뇌도 깨우고, 학습 능력도 발달시킬 수 있는 1석 2조 활동인 셈이다.숙면-운동-샤워-식사-쾌변으로 시작하는 하루, 사람에겐 당연히 필요한 조건이지만 ... ...
- [체험] 수학을 품은 태극 베개 만들기수학동아 l201410
- 그만 베개 싸움으로 번졌어.아밀리 : 수학 베개요? 그게 뭔데요?푹신푹신한 베개의 최대 부피는?푹신푹신한 베개는 머리를 대는 순간 편안함을 느끼게 해 잠을 솔솔 오게 한다. 또한 솜이나 스펀지가 가득 들어 있는 쿠션을 허리에 대면 편하게 앉을 수 있다. 하지만 사람마다 좋아하는 베개의 높이는 ...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과학동아 l201409
- 찐빵처럼 부풀어 오르게 된다. 실제로 케플러-7b 행성의 질량은 목성의 절반이지만 부피는 목성의 8배에 달한다. 이러한 ‘찐빵 행성(puffy planet)’은 밀도가 토성과 비슷하기 때문에 ‘뜨거운 토성’이라고도 불린다.또 뜨거운 목성의 바깥층을 이루는 수소와 헬륨 기체는 시간이 지나면 결국 행성을 ... ...
- Intro. 2014년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일까?수학동아 l201408
- 오래된 골칫거리였다. 그런데 그녀가 공간의 표면에 고리를 그린 뒤, 그 길이를 계산해서 부피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냈다.5 Ben Green “이제 타오 교수와 어깨를 나란히 하고 싶어요!”벤 그린 ♂국적 | 영국생년월 | 1977년 2월(만 37세)연구 분야 | 정수론과 조합론소속 | 옥스퍼드대정수론에는 ... ...
- [시사] 우리가 작아진다면?수학동아 l201408
- 몸의 표면적에 비례하는데, 몸이 줄어들면 표면적은 부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커진다. 부피는 길이의 세제곱에 비례해 줄어들지만, 면적은 제곱에 비례해 줄어들기 때문이다.표면적이 커지게 되면 피부를 통해 발산되는 열의 양이 늘어난다. 날아간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먹어 열량을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