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안정하기"(으)로 총 1,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명硏을 바이오 정책-경제의 구심체로 만들겠다”동아사이언스 l2013.01.28
- 오태광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생명공학의 미래를 위해서는 대형 융·복합 연구를 수행할 연구기관이 필요합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그 역할을 맡게 될 겁니다.” 지난해 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새 선장으로 취임한 오태광 원장(59·사진)은 최근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은 바이 ... ...
- “환자를 우선한 연구가 상업화도 빠르게 만들어”동아사이언스 l2012.09.10
- “바이오 분야는 환자를 기준으로 생각해야, 필요한 연구를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거둔 연구 성과가 빠른 시일 내에 환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거죠.” 박성회(65·사진) 서울대 의대 병리학교실 교수는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들이 과학자와 힘을 합칠 때 좋은 성과를 빠르게 가져온다고 ... ...
- “순수 과학자 위한 ‘안정된 직장’ 필요해”동아사이언스 l2012.07.04
- 강규태 NEBS 29대 회장“순수 생명과학을 연구해도 경제적으로 안정된 직장을 가질 수 있고, 과학자로서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면 좋겠습니다.” 지난달 16일 미국 보스턴에 위치한 하버드의대 요셉 마틴 컨퍼런스센터에서 제20회 NEBS(뉴잉글랜드 생명과학협회) 연례 컨퍼런스가 열렸다 ... ...
- “3D업종이라고요? 미래농업은 상상이상을 보여줄 것”동아사이언스 l2012.05.07
- 박현출 농촌진흥청 청장 “앞으로 우리 농업은 과거와 완전히 다른 모습이 될 겁니다. 과거의 농업이 몸만 고되고 돈 벌기는 힘들다는 이미지였다면, 앞으로는 정말 돈이 되고, 나라의 독립성을 좌우할 만큼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산업으로 자리 잡을 거예요.” 지난 4일 농촌진흥청을 찾았을 때는 개 ... ...
- “100조원대 단백질 의약품 시장은 우리 것”동아사이언스 l2012.02.13
- 100조원을 훌쩍 뛰어넘는 단백질 의약품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순수 국산 기술이 개발됐다. 신약 개발에 필수적인 항체를 인공적으로 만들어내는 기술로, 이를 활용하면 신약 생산비용은 100분의 1로 줄고, 개발기간은 기존 10년에서 5년으로 단축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AIST 생명과학과 김학성 교 ... ...
- “‘원숭이’가 우리를 살릴 것!”동아사이언스 l2012.01.24
- “연구소는 기업을 도우라고 있는 겁니다. 민간기업이 직접 진행하기 어려운 값비싼 독성평가 연구역량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겠습니다. 기업들이 싼 값에 고품질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도록 만드는 게 목표입니다.” 지난 해 12월 22일,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연구기관인 ‘안전성평가연구소(안 ... ...
- “한반도 기후 아열대화는 위기이자 기회”동아사이언스 l2011.12.26
- “한반도 기온이 2℃ 오르면 쌀 생산량은 평년 대비 4.5% 감소하고 사과재배 면적은 66% 감소합니다. 하지만 망고스틴, 구아바, 파파야 같은 열대작물은 우리 농가의 새로운 소득원이 될 겁니다. 한반도 아열대화는 우리 농가의 위기이기도 하지만 기회일 수도 있습니다.” 이준원 농림수산식품부 녹 ... ...
- “연구자 홀로서기 지원하는 박사후연구원 정책 필요하다”동아사이언스 l2011.07.18
- “박사후연구원을 위한 지원제도가 잘 갖춰져 있다면 젊은 박사들이 굳이 미국행을 택했을까요?” 지난달 30일 미국 보스턴생명과학센터에는 재미 한인 생명과학자 30여 명이 모였다. ‘뉴잉글랜드 지역 한인 생명과학협회(NEBS)’가 주관하는 월례세미나가 열리는 자리였다. NEBS는 하버드대, 예일대 ... ...
- 정혁 생명硏 새 원장의 포부… “연구를 취미생활처럼”동아사이언스 l2011.06.21
- “생명공학 연구는 크게 세 종류로 나뉩니다. 지식을 쌓는 기초연구, 사업화 기술을 찾는 실용화 연구가 있겠지요. 그리고 이 두 가지 연구를 지원하는 ‘인프라 구축’ 연구도 필요합니다. 지금까지는 과학자들을 평가할 때 이 세 가지 연구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요.” 특별한 ‘묘수’는 ... ...
- 한 자리에 모인 주요 제약社 연구소장, “한국 바이오는…”동아사이언스 l2011.04.05
- 한국 생명공학(BT) 분야는 최근 산업화 단계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병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은 “BT 연구성과가 꾸준히 쌓이고 사업화 성과도 늘고 있다. 특히 대기업들이 본격 진출하고 있다”며 “BT는 이제 사이언스에서 테크놀로지를 거쳐 국가 기간산업으로 가는 중간단계에 ... ...
이전1451461471481491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