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염
영향
발병
뉴스
"
전염
"(으)로 총 1,709건 검색되었습니다.
[캐치 업! 페이스북 (13)] 다음 세대 안에 질병을 퇴치하겠다...3조원 기부!
2016.09.23
일하며 장기 연구 과제를 수행합니다. 인공지능을 접목해 뇌의 활동을 분석하고 암과
전염
병을 효율적으로 진단하는 등의 연구를 진행합니다. 챈저커버그이니셔티브 페이스북 제공 신체 모든 세포의 위치와 분자적 성격 등을 규명하는 '셀 아틀라스' (Cell Atlas) 프로젝트도 실시합니다. 이 연구 ... ...
SF거장 ‘조지 웰스’ 탄생 150주년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6.09.11
개발하는 능력을 키웠다”고 평가했다. 지카 바이러스는 최근 남미를 중심으로 퍼진
전염
병으로 특히 임신부들을 공포에 떨게 했다. 보통 사람은 감염되면 큰 피해가 없지만 임신한 여성이 감염되면 태아의 머리가 작아지는 소두증에 걸리거나 심각한 뇌 질환이 생길 수 있다. 지카 ... ...
콜레라, 혈액형 O형이라면 특히 조심해야
2016.09.07
즉 월터의 경우처럼 증상이 나타나고(주로 설사) 24시간도 안 돼 사망할 수도 있는
전염
병이 바로 콜레라다. 지난 8월 23년 15년 만에 국내에서 콜레라 환자가 발생한 뒤 현재 네 명의 환자가 보고됐다. 이 가운데 세 사람은 동일한 유형의 콜레라균에 감염된 것으로 보이고 9월 3일 확증된 네 번째 ... ...
올림픽 때 ‘지카 바이러스’ 안심해도 될까?
2016.08.05
밝히기도 했다. 진영배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은 “쥐는
전염
병 관련 연구에서 일차적으로 사용되지만 인간과는 차이가 크다”며 “인간과 면역학적으로 90% 이상 유사한 영장류 실험에 성공한 것은 지카 바이러스 백신의 상용화 가능성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 ...
18량 부산행 열차에 ‘좀비’가 나타났다
2016.07.24
“자원의 입수 경로와 질병의 전파 경로가 동일하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
전염
이 시작됐음을 깨달을 시점이면 이미 좀비 역병이 지구 전체에 퍼진 상태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좀비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선 세계 경제가 폐쇄될 수밖에 없다”면서 “도서간 모든 교통이 ... ...
두껍고 갈라진 손발톱 무좀‥‘굴욕이야’
2016.07.19
일단 무좀이 생겼다면 손톱깎기나 수건 등은 따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가족에게
전염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 치료하면 금방 완치할 수 있나요? 무좀균을 없애려면 끈기를 가지고 오랜 시간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 후 가려움증이 덜해졌다고 ... ...
멸종 위기종 구하려...드론, 백신, M&M 초콜릿 동원
2016.07.13
먹고 개쥐가 파 놓은 굴에 들어가 몸을 피하는 등 개쥐에 대한 의존성이 큽니다. 개쥐가
전염
병에 감염되어 개체 수가 줄어들면 검은발족제비의 생존도 힘들어집니다. 현재 검은발족제비는 미국 전역에 300마리 정도밖에 안 남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북미 지역 평원에 서식하는 개쥐 가족의 모습 - ... ...
당신의 메시지가
전염
병을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6.07.08
번 전화를 하고, 몇 건의 메시지를 보냈나요? 당신이 누군가와 연락하는 동안 놀랍게도
전염
병 확산을 예측할 수 있는 기특한 정보가 만들어집니다. 미국 펜스테이트대 데이터과학과 다슌 왕 교수팀은 휴대전화 사용 내역에서 휴대전화의 주인이 어떤 패턴으로 이동하는지를 알아내는 데 ... ...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
수학동아
l
2016.07.05
잠복기가 없다면 인류는 단 4일 만에 멸망하게 된다는 것이다. 그만큼 좀비 바이러스의
전염
성이 강했다. 다행히 잠복기가 길면 좀비를 이길 방법이 있다. 좀비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기 전에 치료약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치료약 개발이 쉽지 않다면 많이 모여 있는 곳을 집중 공격해 좀비 ... ...
황창규 KT회장 유엔서밋 연설 “빅데이터 공유해 감염병 막자”
동아일보
l
2016.06.25
이후부터 통신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재해 차단 시스템 구축을 주도해왔다. 가축
전염
병의 경우 운반 트럭을 통해 최초 발생지에서 다른 지역으로 옮겨진다는 점에 착안했다. 가축 운반 트럭의 운행 정보를 활용해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AI) 잠재 발생 위험지역을 91%의 확률로 예측하기도 했다.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