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444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데이터가 보여주는 식량 위기의 이유
과학동아
l
2022.05.28
활용하는 통계 모형을 비롯해 관측자료와 식물의 생리학적 요소를 결합하는
생물
리 모형 등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두 번째 이유 전쟁 올해 4월(오른쪽)과 2020년 4월(왼쪽) 유럽과 우크라이나 일대의 정규 식생 지수(NDVI) 데이터. 올해에는 NDVI(초록색)가 낮아지며 해당 지역의 식물 ... ...
진화의 역설? '기억 연결' 방해 유전자로 기억력 되살린다
연합뉴스
l
2022.05.27
조기 대처하는 치료법 개발의 실마리가 될 거로 기대된다. UCLA 의대의 알시누 실바 신경
생물
학 교수팀이 수행한 이 연구 결과는 25일(현지시간) 저널 '네이처'(Nature)에 논문으로 실렸다. [출처: 서울아산병원] 인간 세포의 표면엔 많은 수용체가 있다. 어떤 분자가 세포에 들어가려면 자기에게 ... ...
우버가 개발한 배차용 AI 코로나19 변이 다음 우세종 족집게처럼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5.26
데 참여한 오버마이어 펠로우가 2020년 브로드연구소에 합류하며 코로나19를 비롯한
생물
학에 우버의 기계학습을 적용하는 연구가 시작됐다. 파디스 사베티 하버드대 공중보건대학원 전염병학과 교수는 “모든 데이터를 살펴보고 하나의 예측을 내 놓는 기계학습 기반 접근 방식은 매우 가치가 ... ...
한국 쇄빙선 아라온호가 포착한 통가 화산 폭발 후 3D 지형도…화산 형태 그대로 남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5.25
화산이 폭발한 이후 육지였던 홍가 통가 섬이 바다가 됐다. 이 지역에서는 갯지렁이류 등
생물
이 발견되기도 했다. 극지연구소 제공 극지연은 남극 항해를 마치고 국내로 귀환 중이던 아라온호를 통가 화산폭발 현장에 투입했다. 아라온호는 4월 8일부터 열흘간 현장탐사를 벌여 지형도 제작을 위한 ... ...
스카이다이버 자세로 나뭇가지 사이서 활공하는 도롱뇽
연합뉴스
l
2022.05.25
나타났다.
생물
학 저널 발행사인 '셀프레스'(Cell Press)에 따르면 사우스플로리다대학의
생물
학 박사과정 연구원 크리스천 브라운이 이끄는 연구팀은 무폐도롱뇽류인 '방랑도롱뇽'(wandering salamander)이 삼나무 가지를 옮겨 다니는 비행 행동을 관찰해 이런 사실을 발견하고 이를 '커런트 바이올로지' ... ...
영국 원숭이두창 추가 확인...WHO “유럽·북미 확산 억제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
2022.05.24
건강상태질문서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에는 천연두 백신 3500여만 명분이
생물
테러를 비롯한 공중보건위기에 대응할 목적으로 비축돼 있다. 1997년 콩고에서 확인된 원숭이두창 환자의 손이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 ...
방역당국 "원숭이두창 국내 유입 가능성 배제할 수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2.05.24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에는 두창 백신 3500여만 명분이 비축돼 있다. 정부가
생물
테러를 비롯한 공중보건위기에 대응할 목적으로 생산해 비축해 두고 있다. 동결건조 방식으로 오랜 기간 보존할 수 있는 백신으로 알려졌다. 국내에서는 1979년까지 두창 백신 접종이 이뤄진 이후로는 접종이 ... ...
한국뇌신경과학회 '싸이텍코리아 젋은과학자상'에 한기훈 고려대 의대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2.05.24
발병원인으로서 분자 또는 시냅스 기전, 우울증과 양극성장애 정신질환에 대한 신경
생물
학적 기전을 규명하는 것이다. 2015년 고려대 부임 이후 국내외 학술지에 29편의 교신저자 논문을 발표하는 등 뇌신경과학 분야에서 꾸준한 성과를 내고 있다. 한 교수는 “지난 7년간 꾸준히 수행한 연구가 ... ...
생명연, 합성
생물
학 연구 키운다…조직개편 단행
동아사이언스
l
2022.05.23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모델동물과 미
생물
, 천연물 생명연구자원을 관리하는 ‘
생물
자원중앙은행센터’도 신설된다. 생명연구자원 운영체계는 ‘국가바이오인프라사업부’로 일원화해 운영 체계를 고도화한다. 미래 바이오 연구를 위해 마이크로바이옴과 메신저리보핵산(mRNA) 치료제와 백신 ... ...
[인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2.05.20
김명희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장 손미영 △공동장비분석센터장 오현우 △화학
생물
연구센터장 장재혁 △핵산치료제연구센터장 차현주 △국가전임상시험지원센터장 고경철 △정책지원실장 장영효 ▽실장급 △교육혁신실장 민세홍 △전략정책실장 장은석 △홍보협력실장 허현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