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509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 CO2 증가량, 세계 최대 공업지역 中광저우와 맞먹어"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온실가스 관측위성을 두 대씩, 중국도 한 대씩 운영하며 자국내 영토를 가로세로 1~2km
단위
로 촘촘히 나눠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 세계 10위권의 탄소배출국가이자 경제대국인데 아직 독자적인 온실가스 위성이 없는 것은 과학 연구는 물론 국내외 정책 ... ...
"박사 연구원은 국가 연구경쟁력의 허리. 인재 관리 혁신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우리 박사급연구원의 경우 연구책임자의 3년 이하 프로젝트에 고용되므로 3~12개월
단위
의 계약을 하고 잦은 이직을 하며 연구조제를 변경할 수 밖에 없어 한 분야 전문지식을 축적하는 게 불가능하다”며 “독일의 경우 6년간 고용을 보장할 뿐 아니라 자녀 한명당 2년씩 연장도 된다”고 말했다. ... ...
수레시 난양공대 총장 "작은나라의 젊은 대학, 협력만이 살 길"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한국도 비슷한 것으로 알고 있다. 이 때문에 1990년대 중후반부터 싱가포르 정부는 5년
단위
의 R&D 예산 ‘RIE(Research Innovation and Entrepreneurs)’를 짜기 시작했다. 지금은 2016~2020년에 해당하는 RIE2020가 투자되고 있는데 5년 간 약 196억 싱가포르 달러(17조878억 원) 규모다. 정부의 이런 지원은 어린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송석호 한양대 교수...신개념 광소자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에너지 손실 문제와 처리 속도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 나노광학 기술은 빛을 나노
단위
로 전송하는 고집적 광학회로 구성이 가능한 메타물질 연구를 중심으로 발전했다. 메타물질이란 자연계에 없는 물질의 특성을 만드는 인위적이고 반복적인 패턴 구조를 말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에너지 ... ...
황폐기물 처리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다기능성 황 기반 고분자 소재를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황과 파라-디아이오도벤젠의
단위
분자를 고온에서 녹여 합성할 때(용융중합법) 실리콘 오일을 소량 첨가해 황 함량을 조절했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황 고분자의 신축성을 150~300%까지 조절하는 것은 물론 자외선을 이용한 자가 치유, ... ...
뇌파 보고 수면단계 맞히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92%로 높게 나타났다. 뇌파 자체와 주파수를 함께 분석할 때 정확도가 가장 높았고, 분석
단위
를 30초로 하고 뇌파 전체를 분석할 때 AI 성능이 가장 좋았다. 연구를 이끈 황희 교수는 "수 년 동안 수련과 전문성의 필요한 뇌파 분석에 AI를 적용하면 인적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AI가 고도화됨에 ... ...
ETRI, 日 수출규제에 어려움 겪는 중기 지원 적극 나서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지원이 필요한 현실을 감안해 연구인력 현장지원 사업의 파견 가능기간을 기존 1년
단위
에서 최대 3년까지 가능하도록 제도 변경을 추진할 예정이다. ETRI는 또 연구실과 중소기업을 매칭해 집중 지원하는 ‘E-패밀리 기업’ 사업의 경우 일본의 소재부품 제재 분야와 관련성이 높고 조기에 대형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주위를 공전한다면 연주시차가 반드시 관측돼야 한다. 실제 연주시차는 지구가 6개월
단위
로 서로 정반대의 위치에 있을 때 바라 본 시차의 절반에 해당하는 각도로 정의한다. 연주시차가 1초 각도(1도 각도의 1/3600)에 해당하는 거리를 1파섹(parsec)이라고 한다. 지구-태양과의 거리와 직각삼각형의 ... ...
사람의 생각 읽고 뇌 질환 치료 돕는 초소형 ‘브레인칩’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연구팀은 생쥐의 기억을 담당하는 뇌 속 해마 부위에 칩을 삽입해 뇌의 신호를 신경세포
단위
로 정밀하게 측정했다. 브레인칩은 신경세포 하나하나로부터 신호를 읽어들이고 빛과 약물을 수 초 내로 세포에 직접 전달했다. 브레인칩은 빛과 약물로 기억을 조절하는 뇌 부위인 해마의 뇌 세포를 ... ...
간질 유발 원인 세포막 단백질 새 구조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질병 및 생리현상 조절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뇌연구원(KBRI)은 임현호 신경∙혈관
단위
체 연구그룹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간질과 근육이상을 일으키는 세포막 단백질의 새로운 3차원 구조와 작동원리를 알아냈다고 21일 밝혔다. 신경세포는 세포막에서 염소이온과 수소이온을 교환해 전기적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