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고전 시리즈물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생물의
진화
역사를 생물과 환경, 생물과 생물 사이의 상호관계의 역사 속에서 찾은 공
진화
이론의 대가 마굴리스의 저서는 1987년 국내에 번역됐고, 이번에 같은 역자가 25년만에 새롭게 번역했다. 1962년 출간된 에팅거의 ‘냉동인간’은 수많은 과학소설과 영화에 영감을 준 저작이다. 인간의 ... ...
[Sports Math] 김연아의 피겨, 점수로 분석하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사람들이 의논하며 규정을 보완한다. 앞으로 피겨 점수체계가 수학의 힘으로 어떻게
진화
할지 궁금하다.✚평균과 중앙값 위와 같이 9개 점수가 있을 때 평균과 중앙값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평균 = (8.0 + 4.9 + 9.3 + 8.2 + 4.4 + 9.1 + 8.7 + 7.8 + 8.9)÷9 = 7.7점중앙값 : 4.4 , 4.9 , 7.8 , ...
언어의 고향은 아프리카?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퍼져 나가며 유전자뿐 아니라 언어도 전파했다는 것이다.뉴질랜드 오클랜드대의
진화
심리학자인 퀜틴 앳킨슨 교수는 언어의 기원을 알기 위해 세계 504개 언어의 음소를 분석했다. 음소란 자음과 모음 같은 언어의 최소 단위다. 분석 결과 아프리카 사하라 남부 지역의 언어에서 세계 언어가 ... ...
턱이 귀가 된 사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있다는 증거가 드러났다. 포유류의 조상인 파충류의 아래턱뼈에 있는 작은 뼈 세 조각이
진화
하면서 포유류의 귀로 이동했다는 사실은 예전부터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를 증명해 줄 결정적인 화석이 나타나지 않았다.최근 미국 자연사박물관의 진 멩 박사팀은 중국에서 발견한 1억 2200만 년 전의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주장했다. 그리고 이런 세포는 아마도 어류의 몸에 존재하는 광수용세포가 오랜
진화
를 거쳐 포유류에서는 눈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라고 추측했다.이런 놀라운 발견에도 불구하고 포스터 교수의 논문은 ‘비교생리학저널A’라는 영향력이 그리 크지 않는 저널에 실렸다. 그는 1980년대 연구 결과들을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먹지 못하면 잘 자라지 않을 뿐더러 윤기도 흐르지 않거든요"전중환 (경희대학교
진화
심리학 전공 교수)두피 속이 궁금해!찰랑거리는 머리카락의 비밀은?라푼젤의 시크릿 다이어리비결 1 잘 먹자!머리카락은 모낭이 혈액에서 받은 영양소를 먹고 자란다. 특히 머리카락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박테리아가 번식력을 떨어뜨리는 기생관계에서 번식력을 높여 주는 공생 관계로
진화
한 거야.공생이 세상을 바꾼다!친구를 잘 사귀는 다섯 번째 비법! ‘친구의 좋은 점 배우기’야. 최근 과학자들은 흰개미 장 속에 공생하는 박테리아 친구에게 전세계 에너지 위기를 극복할 방법을 배우고 있단다.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농도가 5%를 넘으면 제거기가 작동한다. 앞으로 원전은 안전장치를 더 보강하는 쪽으로
진화
할 것으로 보인다. 내진설계를 강화하고, 전기 없이도 냉각수 순환이 가능한 패시브 방식을 적용하는 방식이다. 사진은 건설 중인 신고리 3, 4호기의 모습.건물 구조는 어느 쪽이 더 안전하다고 말할 수 없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것이다. 이 교수는 이같은 성과가 “구상성단에 있을 가능성이 큰 블랙홀이나 항성
진화
모형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올해부터는 북반구에 있는 구상성단과 왜소은하도 관측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연구재단과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 2월 이 교수를 ‘이달의 과학기술자’로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역할을 했다”며 “대부분의 돌연변이는 치명적이지만 때때로 더 나은 형태가 나타나
진화
에서 새로운 길을 열었다”고 쓰고 있다. 호메오박스의 발견 역시 생명 과학의
진화
(발전)에 새로운 길을 연 게 아닐까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