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외계인도 답을 모르는 수학 난제, 램지 수를 구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평화로운 수동네 마을에 외계인이 찾아왔습니다. 외계인은 자신이 제시한 수학 문제를 풀지 못하면 마을을 완전히 파괴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주어진 시간은 1년. 수동은 수학 문제 하나를 푸는 데 한 시간도 아니고, 하루도 아니고, 1년이나 준다는 외계인이 친절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정말 그럴까 ... ...
- [수학체험실] 퍼즐인 듯 퍼즐 아닌 퍼즐 같은 너~ 아르키메데스 퍼즐, 스토마키온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스토마키온은 어떤 퍼즐일까? 1998년 10월 미국 뉴욕의 한 경매장. 곰팡이로 뒤덮인 양피지 책 한 권이 무려 200만 달러(1월 18일 기준 약 22억 140만 원)에 낙찰됐다. 겉으로 보기에는 13세기경 한 수도승이 적은 교회의 기도문처럼 보였으나, 뭔가 기록했다가 지운 흔적이 있었다.책을 낙찰받은 수집가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자전거의 축을 만드는 공정을 단축시키는 방법을 담은 논문이었다. 그는 “50년 전 진행했던 연구는 지극히 실용적이었다”며 “지금과는 분위기가 많이 달랐다”고 말했다.양 교수는 KAIST의 전신인 한국과학원(KAIS)이 막 운영되기 시작하던 1973년 첫 번째 기수로 입학했다. KAIS는 고급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을 배울 ‘권리’를 포기하지 마세요!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음성학자는 비전문가로 여겨졌고, 코딩할 수 있는 컴퓨터 공학자 중심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됐거든요. 그래서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선 코딩을 알아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곧 대학원을 그만두고 1년 동안 컴퓨터 학원에서 코딩을 배웠습니다.그런데 코딩의 기본은 수학이었어요. 학창 시절 ... ...
- [기획] 백신으로 누구부터 구할까?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말해주세요! 여기에 소개된 연구는 백신 개발 회사들이 백신의 효능을 발표하기 전에 진행했어요. 백신에 대한 자세한 논문이 공개되면 모형을 더 정교하게 다듬을 예정이에요. 그럼 더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 ...
- [이달의 우주날씨] 1월 4일 새벽 4시 별똥별이 쏟아진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안녕하세요! 2021년 우주 날씨를 소개할 이재형 과학동아천문대장입니다. 이번 호부터 우주에서 일어나는 신비한 현상을 미리 알려드릴 거예요! 1월에는 별똥별이라고도 불리는 유성이 비처럼 쏟아지는 ‘유성우’가 내릴 예정입니다. 유성우는 한 지점에서 시작돼 사방으로 퍼지는 것처럼 보이 ... ...
- [게임 디자인 씽킹] 게임에 생동감을 더하는 보색 대비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색은 보이지 않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색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같은 그림도 다른 느낌을 줄 수 있죠. 그중에서도 화면에 생동감을 줄 수 있는 보색 대비에 대해 알아봅시다. 보색은 색의 속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색의 계통을 원형으로 나타낸 ‘색상환’에서 서로 마주 보는 위치에 있는 ... ...
- 44년 만에 열린 달 광산... 재개장하는 이유는 화성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달에 기지를 건설하거나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문제는 이 계획을 성공시키기 위해 사람이 달에서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을지 확인하기 위한 연구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다. 월석은 달 표면의 물리화학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 ...
- 가는 전깃줄에 꺾인 독수리 날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사진을 통해 내부 장기, 골격, 근육에 어떤 손상이 생겼는지 알아낼 수 있다.검사를 진행해보니 요골과 척골이 부러진 상태였다. 사람으로 치면 손목부터 팔꿈치까지에 해당하는 부위다. 조류는 비행 능력을 높이기 위해 체중을 줄이는 방향으로 진화했다. 뼈의 밀도가 포유류에 비해 훨씬 낮다. ... ...
- '궁극의 질문'을 함께 풀어봐요!과학동아 l2021년 01호
- 11월 한 달간 진행한 ‘궁극의 질문 공모전’의 결과가 나왔습니다. 궁극의 질문 공모전은 궁금하지만 해결할 방법이 없어서 답답했던 질문거리를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멘토들과 함께 해결해나가는 프로젝트입니다. 참가자들은 ‘강아지와 대화를 할 수 있을까’와 같은 일상적 질문부터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