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대
증진
증식
확대
확장
증강
증설
d라이브러리
"
증가
"(으)로 총 4,168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고출력 레이저다.레이저는 1960년 루비 레이저가 등장한 이후부터 꾸준히 출력이
증가
했다. 하지만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좀처럼 출력이 늘지 않는 정체기를 맞는다. 고출력을 만들려면 단위 면적당 집속하는 파워를 높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광학 장비들이 견디지 못하고 깨져버렸기 때문이다 ... ...
원자번호 117번 원소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호프만 박사는 “원자핵 이론에 따르면 원자번호 114번을 중심으로 원자핵의 안정성이
증가
하는 ‘안정성 섬’이 있다”며 “이번 원소도 안정성 섬에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JINR의 유리 오가네시안 소장은 “다음 단계로는 원자번호 119인 원소를 만들어야겠지만 너무 어려운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혼합한 야전용 주사 약물인데, 전투 시 투입하면 해병은 이동속도가 빨라지고 순발력이
증가
하면서 전투 능력이 향상된다. 스타크2에서는 벙커 안에서도 해병이 자극제를 사용할 수 있다. 테란 유닛 보러가기인간을 조종하는 저그 vs 지구의 미생물·기생충저그는 ‘젤-나가’라는 고도로 발달한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1 17 23 29항의 개수가 6개이고 30씩
증가
하는 수열 | 7 37 67 97 127 157항의 개수가 7개이고 150씩
증가
하는 수열 | 7 157 307 457 607 757 907과연 이렇게 소수로만 이뤄진 등차수열은 길이가 얼마나 길어질 수 있을까?그리고 이런 등차수열은 무한히 많을까?이 의문에 해답을 보여 준 사람이 ...
셈도사 베레미즈의 모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숙박비는 얼마나 늘어나는지 계산해 보면 되겠지요.100 : 15 = 40 : x계산 결과 x는 6. 숙박비
증가
분이 6디나르이므로 보석 상인은 여관 주인에게 26디나르를 내면 됩니다. 이래야 누구나 만족할 수 있는 공평한 계산이 되지요.안 되는 걸 되게 하라카디는 농부의 세 딸을 자기 앞으로 데려오게 했지요. ... ...
거대동물 출현 잦아진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데이터를 분석하면 해파리의 개체 수는 12년을 주기로
증가
했다가 감소한다. 4~6년 동안은
증가
하다가 나머지 기간은 감소하는 식이다. 그런데 한국해양연구원에 따르면 노무라입깃해파리의 개체 수는 2000년부터 지금까지 대번식이 멈추지 않고 있다.지구온난화와 환경오염의 탓이다. 대왕오징어나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클록 속도에 정체돼 있다. 결국 처리회로 수를 늘리는 쪽으로 발전을 꾀하지만, 비용
증가
가 문제다. 맥케이 교수는 “지금처럼 오류가 거의 없는 하드웨어를 생산하는 데 드는 비용이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휴대전화의 경우 실제 통화에서 생기는 오류는 시스템에 큰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COS)를 새로 장착했다. 이 수리로 허블우주망원경은 자외선에서 민감도가 10배
증가
했다. 앞으로 차세대 우주망원경과 함께 행성과 은하 탄생의 비밀을 밝히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1▼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지진도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덫’에서 허우적대고 있었다. 1800년 이전만 해도 인류의 소득과 식량
증가
는 인구
증가
에 번번이 가로막혔다. 부의 축적 부분에서 사실상 석기 시대나 크게 다를 바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산업혁명은 맬서스의 저주를 단번에 풀어 버렸다. GMO,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하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그만큼 열을 발산하기 위해 동물의 몸집(부피)은 커진다. 하지만 표면적의 넓이는 몸집의
증가
량을 따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코끼리는 운동 효율을 높이는 대신 대사율을 낮추는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것이 과학자들의 해석이다.인간 활동이 거대동물 멸종 앞당겨그렇다면 세상을 ... ...
이전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다음
공지사항